역사가 외면한 낮은 자들의 죽음을 기억하라
‘추노’는 왜 그토록 많은 죽음을 보여주었을까. 혜원을 호위하던 백호(데니안), 명나라 출신 여자 자객 윤지(윤지민), 원손을 지키던 궁녀 필순(사현진)의 죽음은 소소한 것이었다. 죽을 때까지 세상을 저주한 천지호(성동일)의 죽음은 시청자들을 가장 안타깝게 했으며, 태하의 심복 한섬(조진웅)의 죽음은 시청자들을 울렸다. 본래 죽을 운명이었던 최장군(한정수)과 왕손이(김지석)는 극적으로 목숨을 건졌다(?).
순진하게 ‘노비들의 세상’을 꿈꾸던 개놈이(이두섭)나 끝봉이(조희봉)를 위시한 노비당 인물들은 한꺼번에 떼죽음을 당했다. 업복이(공형진)는 그들의 죽음을 헛되이 하지 않기 위해 이경식(김응수)과 그 분(박기웅)을 죽이고 결국 죽음의 길로 들어섰고, 주인공 대길(장혁) 역시 사랑하는 여인 혜원과 이제는 같은 길을 걷게 된 송태하(오지호) 그리고 원손이 만들어갈 새로운 세상을 위해 죽는 길을 선택했다.
이처럼 드라마의 캐릭터들이 줄초상을 당한 경우가 있을까. 캐릭터는 일종의 시청자들이 몰입할 수 있는 대리자라는 점에서 그 캐릭터들의 연속된 죽음은 실로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다. 따라서 ‘추노’의 줄초상에 대한 일부 시청자들의 비판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그래서일까. ‘추노’는 엔딩에 공을 들였다. 실제 엔딩은 대길의 죽음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고, 살아남은 초복(민지아)과 은실이 해를 바라보는 장면(이를 통해 이 실패한 혁명이 실패가 아니라는 전언을 남겼다)과 대길이 해를 향해 화살을 먹이는 장면으로 끝난다.
그것도 아쉬웠는지 드라마가 완전히 끝난 그 자리에 왕손이와 최장군이 땅을 일구는 장면까지 삽입되었다. 그만큼 실패했지만 실패하지 않았고 죽었지만 죽은 게 아니라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을 것이다. 드라마 속에서 캐릭터들은 죽었지만, 그 캐릭터들이 우리들의 기억 속에는 생생히 살아있다는 이야기다.
물론 캐릭터들의 죽음에 어떤 의미를 부여해도 결국 새드엔딩을 벗어나기는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이들의 죽음을 기억하는 것’이 이 사극이 가진 메시지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되지 않는 일도 아니다. 사실 우리는 수많은 사극 속에서 우리의 시선조차 받지 못하고 죽어간 많은 낮은 자들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 전쟁 사극 속에서는 한 신에 수십에서 수백 명이 목숨을 잃지만 그들을 기억하는 이들은 없다. 말 그대로 ‘높은 자들’, 주인공들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다.
그런 사극과 비교해볼 때, 이 사극 속의 죽음은 실로 그 수가 적다고도 말할 수 있다. 다만 그 죽음을 다루는 방식이 저들과는 달랐을 뿐이다. 그저 산 속 나무 둥치에 쓰러져 죽어간 낮은 자들을 ‘추노’는 하나하나 찾아가 그들이 어떻게 살다가 그 자리에 이르렀는가를 보여주었다. 그러니 그 강도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여타의 사극이 지나쳐버린 이름 모를 낮은 자들의 죽음에 대한 조명. 역사가 외면한 그들을 기억하라는 것. ‘추노’의 줄초상이 안타까우면서도 한편으로 이해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지랖과 발연기는 어떻게 만났을까 (0) | 2010.04.05 |
---|---|
3사 수목극, 그 3색 멜로가 특별한 이유 (1) | 2010.04.02 |
'추노'의 혁명, 그 실패가 실패가 아닌 이유 (0) | 2010.03.25 |
해피냐 새드냐, 왜 엔딩에만 몰두할까 (0) | 2010.03.23 |
시트콤이라서? 시트콤이어서! (0) | 2010.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