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보는 두 가지 눈, 다름 혹은 같음
당신에게 '다르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나와 다르기 때문에 당신은 그를 배척하는가. 아니면 거꾸로 같은 점을 찾는가. '초능력자'는 오락영화의 외피를 갖고 있지만 그 겉껍질을 벗겨내고 나면 그 속에 꽤 진지한 질문이 들어있다는 걸 발견할 수 있다. 제목은 '초능력자'이지만, 그 타인을 보는 것만으로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초인(강동원)이 한쪽 다리가 없어 의족을 끼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또 그 초인의 능력이 유일하게 미치지 않는 단 한 사람, 임규남(고수)이 마지막에 전동휠체어를 탄다는 것 역시 아이러니다. 왜 이 영화의 초능력자들은 그 엄청난 힘을 가졌음에도 마치 장애를 가진 사람들처럼 그려지는 걸까.
'초능력자'는 인간 이상의 능력을 가진 이들이 등장하지만 여타의 슈퍼히어로 영화처럼 그들이 지구를 구한다거나, 멸망시킨다거나 하는 이야기는 등장하지 않는다. 공간도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지 않고, 서울의 한 공간, 그것도 세운상가나 시장통 같은 지극히 서민적인 공간에 국한되어 있다. 눈으로 사람을 조종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초인이 하는 것은 지구를 손에 넣는 것이 아니다. 그저 전당포나 사채를 빌려주는 회사, 은행 같은 곳을 털어 먹고 사는 게 그가 하는 일이다. 그에게는 야망이 없다. 다만 이렇게 다른 존재로 태어나 다르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세상에 대한 저주가 있을 뿐이다. 지구 전복의 욕망이 거세된 초인이 가진 유일한 욕망은 다른 사람들처럼 평범하게 사는 것이다.
따라서 이 영화는 비범함이 가진 욕망과 그 욕망의 올바른 사용, 즉 정의에 대한 것이 아니라, 거꾸로 비범함이 다름이 되고 다름이 차별이 되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또 다른 축에 서 있는 비범한 존재, 임규남이 외국인 노동자들과 더불어 형 동생하며 살아가는 인물이라는 것은 그래서 의미가 있다. 임규남은 다른 존재에 대해서(사실 나와 타인은 모두 다른 존재들이다) 다른 점을 찾기보다는, 같은 점을 찾는 인물이다. 그는 타인과 공감하려하고 소통하려 한다. 따라서 어느 날 맞닥뜨린 초인이 '다르다'는 그 특별한 능력을 가졌다는 이유로 사람을 마음대로 움직이고 죽이는 것에 임규남은 분개한다. 흥미로운 것은 초인이 타인을 마음껏 죽일 수 있는 것은 그들을 '다른 존재'로서 인식하기 때문인 반면, 임규남이 지나가는 행인의 불행을 막기 위해 죽을 지도 모르는 상황에 몸을 던지는 것은 그들을 그래도 '같은 존재'로서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초인과 임규남의 '다름'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싸움처럼 보인다.
이런 진지한 질문들이 넘쳐나는 '초능력자'는 그래서 그저 슈퍼히어로물을 기대하고 보는 관객의 뒤통수를 친다. 대결의 롤러코스터를 신나게 질주하기보다는 타인들 앞에서 무언가를 선택해야 하는 갈등상황들이 계속 전개되면서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질문을 진지한 마음으로 듣다보면 나중에 "남들과 다르단 거 정말 힘들다 그치"하고 묻는 초인과 그 다르다는 것을 차별로 인식하는 초인에게조차 "너 이름이 뭐냐?"고 묻는 임규남의 의미심장한 대사가 주는 지적인 쾌감을 가질 수도 있다.
'초능력자'의 그 능력이 눈에서 비롯된다는 것은 이 작품이 가진 메시지를 명확하게 한다. '초능력자'는 세상을 보는 인식의 문제를 초인과 임규남의 대결로서 그려내는 것이다. 세상에 우리는 모두 다른 존재로 태어난다. 그런 우리들이 타인을 보는 시각은 두 가지다. 저들은 나와 다르다는 시각과, 저들은 나와 같다는 시각이다. 다른 점을 찾는 시각이 20세기까지의 분류의 시대를 이끌어왔다면, 같은 점을 찾는 시각은 21세기의 통섭의 시대로 열리고 있다. 지금은 제레미 리프킨이 말하듯 '공감의 시대'다. 당신의 눈은 어느 쪽인가. 여전히 타인과 나를 구별 짓고 그것을 심지어 차별로까지 여기는 초인의 눈인가, 아니면 타인과 공감하려는 임규남의 눈인가. 강동원의 반짝거리지만 어딘지 외계인 같은 눈인가, 아니면 고수의 흐리멍덩해 보여도 어딘지 정감가는 눈인가.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렛미인', 그 공포와 공감이 환기시키는 현 시국 (2) | 2010.11.24 |
---|---|
신은경과 심이영, 이 '두 여자' 공감간다 (0) | 2010.11.19 |
'불량남녀', 임창정이어서 가능한 멜로란? (0) | 2010.11.08 |
더스틴 호프만의 중년멜로, 그 특별함 (1) | 2010.11.06 |
'심야의 FM', 수애를 발견하는 두 시간 (0) | 201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