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렛미인', 그 공포와 공감이 환기시키는 현 시국

728x90

타자에 대한 시선, 공포에서 공감으로

"들어가도 돼?" 뱀파이어의 운명을 타고난 소녀가 소년에게 묻는다. 소년은 망설인다. 그 소녀가 뱀파이어임을 알기 때문이다. "꼭 그렇게 물어야 해? 그냥 들어오면 되잖아." 하지만 소년의 허락을 받지 않고 들어온 소녀는 갑자기 경련을 일으키며 온 몸에서 피를 쏟아낸다. 그러자 소년이 소녀를 꼭 껴안는다. 이 짧은 장면은 '렛미인'이라는 영화가 서 있는 공포와 공감 사이의 어느 지점을 정확히 짚어낸다. 문지방 하나, 벽 하나의 차이일 뿐이지만, 뱀파이어 소녀와 왕따 소년이 서 있는 거리는 그만큼 멀다. 소년은 소녀를 두려워하지만, 또 한 편으로는 소녀의 처지를 공감한다.

'렛미인'이라는 제목에서부터 드러나듯이 이 영화는 서로 다른 두 존재가 그 가운데 그어진 어떤 선을 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인간의 피를 빨아야 살 수 있는 뱀파이어 소녀의 운명은 그 지독한 외로움 속에서 한 왕따 소년을 만난다. 그리고 그 외로움을 공감하기 시작한다. 이 영화가 흥미로운 것은 이처럼 인간들의 사회에서 타자로 내몰려진 뱀파이어와 학교에서 따돌림 당하는 왕따 소년을 같은 선 상에서 바라본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렇게 넘지 말아야할 선을 넘어 서로를 사랑하게 된 그들은, '로미오와 줄리엣' 같은 이루어질 수 없어 더 절절한 사랑을 하게 된다. 타자에 대한 공포가 공감으로 변하는 순간이다.

조지 로메로 감독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에서 좀비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 공포는 차이에서 비롯된다. 인간이라면 살아있거나 죽어야 하는데, 좀비는 그 중간에 걸쳐져 있다. 즉 시체지만 살아 움직이는 존재인 것. 따라서 이 인간과 다르다는 차이는 좀비를 공포의 대상으로 만든다. 게다가 이 좀비들은 인간들을 자신들과 같은 종족(?)으로 만들려 한다. 물어뜯긴 인간이 그들과 같은 좀비가 된다는 이 설정은 마치 인류의 종말을 예고한다는 점에서 더욱 공포스럽게 다가온다. 이것은 인간의 형상을 지녔으나 피의 욕망 앞에 흡혈귀로 변신하는 뱀파이어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 공포의 존재들은 파괴되고 제거되어야할 대상으로 그려진다. 심지어 로베르토 로드리게스 감독의 '플래닛 테러'나,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황혼에서 새벽까지' 같은 영화에서 좀비와 뱀파이어를 때려 부수는 장면들은 유희적인 성격까지 띤다. 어찌 보면 좀비와 뱀파이어라는 인간이 아닌 존재를 세워두는 것으로(그 인간이 아니라는 이유로) 마구 도륙하는 장면을 허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최근의 콘텐츠들의 시각은 이것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띤다. 일찍이 뱀파이어 신드롬을 일으켰던 '트와일라잇'은 인간과 뱀파이어 그리고 늑대인간 같은 전혀 다른 존재들이 함께 공존하는 모습을 그려낸다. 심지어 서로를 사랑하면서.

'렛미인'은 이렇게 타자에 대한 시선이 공포에서 공감으로 바뀌어가는(혹은 공존하는) 최근 경향을 이어받고 있는 작품이다. 타자를 바라보는 시각이 이질성을 보던 것에서 동질성을 보는 방향으로만 흘러온 것은 아니다. 이미 오래 전에도 이질성보다는 동질성을 바라보는 콘텐츠들이 존재했다. 예를 들면 'E.T.' 같은 영화가 그렇다. 그 전까지 외계인 하면 공포의 존재로 그려졌던 것이 이 영화에서는 지구인의 친구처럼 그려진다. 이것은 아마도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이 2차 세계대전에서 대학살을 경험한 유태인의 후예였다는 점도 작용했을 것이다. 자신과 타인을 다른 존재로 분리하는 시각이 가져온 가장 비극적인 사건은 그의 핏 속 깊이 각인되었을 테니까. 즉 20세기에도 이런 동질성을 찾는 콘텐츠들이 등장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문화의 경향은 하나의 흐름이 되고 있는 건 최근의 일이다.

이것은 단지 해외의 문화 콘텐츠들만의 경향이 아니다. 최근 드라마화 된 '내 여자친구는 구미호'처럼, 구미호라는 이질적인 존재와 인간은 이제 대결하기보다는 사랑하고 공존하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이런 변화들 중에서 최근 연재되고 있는 강풀의 새로운 만화 '당신의 모든 순간'은 흥미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어느 날 갑자기 좀비 세상이 되어버리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이 만화는 이들 좀비와 싸워나가는 그런 이야기가 아니다. 주인공은 어느 날 그 좀비들 틈에서 자신의 형을 발견하고는 그들 역시 누군가의 가족이라는 것을 알아차린다. 주인공은 좀비들에게서 인간과 다른 점을 바라보기보다는 인간의 흔적을 찾아내려 애쓴다.

같은 민족이 남과 북으로 갈라져 전쟁을 치르고 여전히 그 대치국면으로 서 있는 우리들에게 타자에 대한 공포와 공감은 늘 뒤얽혀있다. 반공교육이 한창이던 시절에 우리는 저네들을 마치 피에 굶주린 뱀파이어 보듯 생각하지 않았나. 하지만 이산가족이 만나는 그 모습들을 보면서 저들 역시 우리의 형제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나. 연평도에서 갑작스럽게 벌어진 한 시간 여의 포격은 우리를 다시 혼란 속에 빠뜨린다. 이들과 우리는 과연 공존할 수 있을 것인가. 이제 공존을 생각하는 시대에 여전히 대결국면으로 되돌리려는 이 역행을 우리는 어떻게 또 넘어서야 할 것인가. 뱀파이어 소녀 앞에 서 있는 소년처럼 당혹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