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이경실, 이 땅에서 개그우먼으로 산다는 것

728x90

일하는 여성을 보는 사회의 이중잣대

"아들에게 미안해서 무릎 꿇고 빌었어요." '밤이면 밤마다'에 출연한 이경실은 끝내 참던 눈물을 흘렸다. 자신의 아들 보승이가 4살 때 안 좋은 일이 벌어져 신경을 써주지 못했고, 심지어 아들이 조금만 잘못을 해도 아이에게 다른 모습을 투영해 더 크게 혼을 냈다는 말을 꺼내는 이경실의 눈은 붉게 충혈됐다. 아마도 자식 가진 모든 부모의 인지상정이었을 것이다. 그 얘기를 들은 조혜련도 "나와 우주의 관계가 그렇다"며 눈물을 흘렸다.

이경실을 비롯한 많은 개그우먼들은 그 직업상 '대가 센' 여성으로 이미지화되어 있다. 이경실이 스스로 밝힌 대로 직업이 사람들을 웃기는 일이다 보니 자신의 사적인 불행한 일에서도 눈물을 감추고 심지어는 쾌활한 척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미 사생활이 다 노출된 개그우먼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은 '참 독하다'는 것일 게다. 하지만 진짜 그런가. '밤이면 밤마다'에 출연한 이경실의 눈물은 개그우먼으로 산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것은 이경실만의 얘기가 아니다. '세바퀴'에서 이상용이 '우정의 무대'에서 부르던 '그리운 어머니'를 부르면서 애끓는 사모곡을 내레이션으로 말했을 때, 그 자리에 있던 개그우먼들은 모두 눈물을 흘렸다. 아이를 낳은 지 얼마 안 된 박경림이 그랬고, 그 엄마들이 군대 간 아들에게 하는 말이 "깻잎 나오냐? 너 좋아하는 거."라는 이상용의 말에 이경실이 "그 말이 더 슬프다"며 울었다. 그러자 진행자인 박미선도 따라 울었다. 그 눈물 속에서 이경실이 농담처럼 던진 "남자들이 뭘 알아"하는 푸념은 한 아이의 엄마로서도 살아가야 하는 개그우먼의 고충이 담겨져 있었다.

이경실을 포함해 이영자, 정선희 같은 개그우먼들이 더 도드라지게 '대가 센' 여성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그녀들이 불행을 겪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불행을 겪으면서도 웃음을 주기 위해 그걸 억누르는 모습을 '독하게'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은 다분히 이중적이다. 아들을 교통사고로 잃고도 여전히 대중들에게 웃음을 주려 애쓴 고 이주일씨의 아픈 사연을 들으면서 우리는 모두 그 프로정신에 박수를 쳤던 적이 있다. 속으로 울면서도 내색없이 웃겨야했던 코미디언들의 삶에 대한 진심어린 공감.

하지만 개그우먼의 불행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차갑다. 여기에는 사회생활을 하며 살아가는 여성들을 바라보는 우리네 사회의 차가운 시선이 느껴진다. 아이를 갖고 출산하는 것조차 업무의 손실로서 여기는 게 우리 사회 워킹우먼들이 겪는 일상사가 아닌가. 다행스러운 것은 지금은 그나마 나아지고 있다는 것을 게다. 예능 프로그램이 그동안 마치 금기시된 것처럼 웃음만을 강요했던 개그우먼들을 통해 진심어린 눈물을 보여주는 것에서도 그 작은 변화를 느끼게 한다.

불행 앞에서 밝게 웃으며 카메라 앞에 서는 개그우먼들은 '대가 세다'거나 '독한' 여성들이 아니다. 그녀들은 그만큼 자신의 일에 있어서 프로라는 것이고, 상대방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자신의 불행을 감출 줄 아는 천상 모성애들의 소유자라는 것이다. 이경실의 눈물은 그래서 이 땅에서 살아가는 개그우먼, 아니 나아가 워킹우먼들의 그 눈물을 떠올리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