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기대만큼 아쉬움도 많은 '황진이'

728x90

역사 속에서 찾아낸 현대적인 여성상, 황진이라는 시의적절한 소재, 칼 없이도 빛나는 카리스마, 가장 한국적인 풍경 속에서 그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영상미, 무엇보다도 시청자들의 시선을 잔뜩 잡아끌었던 치열한 대결구도와 멜로라인. ‘황진이’, 종방에 즈음해 떠오르는 문구들이다. 하지만 기대가 너무 과했던 탓일까. 아쉬움 또한 많이 남는 것이 사실. 마지막 주 방영된 2회분에 이르러 무언가 허전함이 남는 건 왜일까.

사랑의 길vs인간의 길 - 멜로vs성장
24부작.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시간이다. ‘황진이’의 애초 기획의도를 보면 최종적인 목표로 이런 문구가 적혀있다. “사랑할 자유를 위해 끊임없이 싸웠고, 고통받았으며, 잠시 사랑을 얻어 지리한 장마 끝에 보이는 푸른 하늘을 보듯 삶의 희열을 맛보았을 황진이. 오늘 그녀의 삶과 만나 ‘사랑의 길’ 나아가 진정한 ‘인간의 길’을 보고자 한다. ”

여기서 ‘사랑의 길’이란 다름 아닌 드라마 내내 지속된 멜로라인이다. 은호도령, 김정한, 벽계수 그리고 호위무사 이생까지 이 드라마의 골격을 이룬 것은 이들의 밀고당기는 사랑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간의 길’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기녀 황진이가 예인 황진이를 거쳐 인간 황진이가 되는 성장드라마 속에서 발견될 것이다.

‘황진이’라는 소재가 매력적인 것은 이 멜로드라마와 성장드라마 사이의 팽팽한 줄다리기에 있다. 기녀로서의 멜로가 예인의 예술로 승화되고 그러면서 황진이를 성장시킨다는 그 구조가 매력적인 것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드라마 속 황진이에서 인간 황진이를 발견한 것은 후반부 몇 회분에 있어서였다. 그것은 마지막 2회분에서 드디어 서화담을 만나며 잠깐 언급되었을 뿐이다. 사실 황진이가 걸어갈 ‘인간의 길’은 마지막회에서 그녀가 서화담 앞에 앉아 나레이션으로 읊조리듯이,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황진이’의 아쉬움은 바로 여기서 비롯된다. 멜로에 너무 많은 힘을 배분한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다.

전쟁사극보다 더 많은 사상자들(?)
드라마 ‘황진이’의 정서는 눈물이다. 그녀의 삶 자체가 기구한 운명이었기 때문이다. 초기 은호도령의 죽음부터 비롯된 눈물바다는 동기 기녀인 섬섬이의 죽음으로 이어졌고, 황진이의 스승인 백무의 죽음에 이르러서는 혼절지경에 달했다. 게다가 김정한은 거의 죽음 직전까지 몰려서야 살아났고, 마지막회에서는 황진이의 어

머니인 현금의 죽음으로 눈물을 이어갔다. 중요한 인물들의 죽음으로 치면 전쟁사극보다 더 많은 인물들이 죽은 셈이다. 그 죽음은 모두 황진이의 눈물로 이어졌다. 그녀는 꽤나 많은 눈물을 흘렸던 셈.

그러나 그렇다고 시청자들이 보고 싶은 게 눈물만이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사실 속으로는 울고 있었다 해도, 겉으로는 예술의 힘으로 그걸 깨치고 일어난 한 예인, 큰 인간의 모습은 아니었을까. ‘황진이’는 분명 ‘웰 메이드 사극’의 가능성을 가졌지만, 너무 멜로드라마의 눈물쪽으로 흐르면서 그 힘이 약화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황진이’에 힘을 부여한 것은 눈물보다는 경연장에서 보여준 그녀의 카리스마가 아니었을까.

너무 울어서 더 이상 울 수만은 없다
끝나기 마지막 몇 개의 시퀀스들은 이 드라마가 보여준 한계와 가능성을 모두 드러내는 것이었다. 갑작스런 현금의 죽음은 사실 드라마 진행에 있어서 그닥 중요한 부분은 아니다. 다만 경연장의 팽팽한 대결이 무난하게 해결되면서 자칫 벌어질 수 있는 허전한 결말(박수치며 끝나는)을 막기 위한 장치일 뿐이다. 현금의 죽음은 예인으로서의 성공으로 끝나버릴 ‘황진이’가 다시 슬픔에 젖어 서경덕을 찾게 하려 의도했다는 혐의가 짙다. 그리고 황진이는 ‘울기 위해’ 찾아간 서경덕 앞에서 ‘울 수만은 없다’는 그 마지막 대사를 읊게된다.

‘황진이’ 스스로도 이 드라마의 정조를 잘 알고 있으며, 그래서 ‘울지 않는 황진이’의 모습이 아쉽다는 반증이다. 그리고 바로 이어지는 장면은 저자거리에서 활짝 웃으며 서민들과 춤을 추는 황진이의 모습이다. 마지막 한 장면에서야 겨우 기녀에서 예인을 거쳐 성장한 인간 황진이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어머니 현금의 죽음이 울던 그녀를 웃게 한 사건이 되었을까. 그건 분명 아니다. 사실은 어머니의 죽음과 저자거리의 ‘황진이’ 사이에는 엄청난 축약이 들어있다. 멜로에 들어갔던 많은 시퀀스들을 줄였다면 그 축약 속에서 비로소 저 물을 먹고 활짝 피어나는 찻잔 속의 꽃처럼, 웃는 인간 황진이를 볼 수 있지 않았을까. 그 멜로 때문에 축약되어버린 많은 이야기들의 가능성들이 못내 아쉬운 것은 그만큼 이드라마가 많은 기대를 하게 해주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