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에서 법의학 드라마를 한다는 것은
"CSI 같은 드라마 보고 멋있겠다 싶어 깝치는 부류를 보면 구역질난다." '싸인'에서 법의학자인 윤지훈(박신양)은 고다경(김아중)에게 이렇게 소리친다. 이 대사에는 '싸인'이라는 드라마가 지향하는 바가 함축되어 있다. '싸인'은 'CSI'처럼 쿨하지도 않고, 또 쿨할 수도 없으며 그래서도 안된다. 왜? 그것이 다루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네 삶과 직결된 인권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싸인'은 'CSI'가 보여주는 놀라운 과학의 힘보다 더 중요한 것이 '죽은 자의 인권'이라 생각하는 드라마다.
물론 'CSI'가 인권을 다루지 않는다는 얘기가 아니다. 그만큼 우리네 법의학의 역사에서 인권의 문제만큼 화두가 된 것이 없기 때문이다. 민주화 시대에 빈번하게 불거져 나왔던 의문사들, 그리고 권력과 연계되어 묻혀버린 죽음들이 여전히 우리네 공기에 흩어져 있는 상황에, 화려하게 꾸며진 연구실과 고가의 장비들이 다 무슨 소용일까. 물론 그런 과학적인 지원은 중요한 것이지만, 적어도 우리에게 있어 법의학은 법의학자들의 도덕적인 판단이 그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
윤지훈과 이명한(전광렬)의 대결구도는 바로 그 점을 부각시킨다. 학교 분교를 재건축한 듯 보이는 초라한 남부지원의 윤지훈과, 'CSI'를 방불케 하는 화려한 장비와 시설로 무장한 이명한의 부검실은 확실한 대비를 만든다. 몇 백 억을 들여 만든 장비로 사체를 부검하고 사인을 분석하는 이명한은 그러나 차관의 방문에 더 신경을 쓰는 반면, UV조명장치가 없어 노래방 조명을 떼다가 사인을 분석하는 윤지훈은 온통 사체에만 집중한다.
인권의 사각지대처럼 여겨져 온 강압수사가 횡행하던 시절, '과학수사'는 모든 걸 투명하게 해줄 것처럼 여겨져 왔지만, 과연 과학은 모든 문제를 해결해주었을까. 문제는 과학이 아니라 법의학의 기본정신인 인권을 다루는 법의학자들의 도덕성이다. 그래서 '싸인'은 'CSI'처럼 쿨하지 못하다. 보험금을 받기 위해 한 가장이 저지른 자살을 '과학적으로' 규명해내는 것보다, 그 가장이 왜 그런 자살까지 시도하면서 가족들을 챙기려 했는지에 더 주목한다. 윤지훈이 그 가족을 찾아가 안타까운 사정을 설명하는 장면은 'CSI'와는 다른 '싸인'이란 드라마의 정체성을 잘 말해준다.
혹자는 미드와 비교하며 왜 '싸인'이란 드라마가 쿨하지 못하고, 인간적인 관계에 집착하는지 의아해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바로 그것이 우리네 사회 속에서 법의학이라는 소재를 다룰 때 가져야 되는 태도다. 과학보다 중요한 건 인간관계이고, 정의에 대한 신념이다. 그래서 윤지훈이 있는 남주지원의 인물들은 전문가들의 집단이라기보다는 가족 같다. 윤지훈의 부검결과를 번복하면서 옷을 벗고 떠난 전 국과수 원장 정병도(송재호)가 윤지훈의 아버지 같은 인상을 주는 건 그 때문이다.
또 윤지훈이라는 캐릭터가 어떤 천재적인 능력을 보유한 인물로서 그려지지 않는 점도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이 드라마의 메시지 속에서 윤지훈이라는 캐릭터는 능력보다 신념이 중요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그는 화려한 기술보다, 냉철한 판단력과 따뜻한 가슴을 지닌 인물이어야 한다. 그것이 설령 드라마라고 하더라도, 이 땅에서 법의학에 접근하는 최소한의 예의이기 때문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스타K' 닮은 '드림하이'의 잠재력 (2) | 2011.01.18 |
---|---|
어메이징한 드라마, '시크릿 가든'이 저지른 짓 (0) | 2011.01.17 |
'시크릿 가든', 도대체 어떤 엔딩이 최선입니까 (2) | 2011.01.13 |
'드림하이', 배용준 없이도 괜찮을까 (1) | 2011.01.12 |
빈 수레가 요란하다? 겉멋에 빠진 드라마들 (0) | 2011.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