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짝패', 의적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728x90


'짝패', 자기 운명과 대결하는 사극

'짝패'(사진출처:MBC)

왈짜패들은 폭력으로 민초들의 피를 빨아 부를 축적하고, 포청의 관원들은 잡아야할 이들 왈짜패들의 뇌물을 받아먹고 오히려 그들을 비호해준다. 그렇게 관원들에게 들어간 검은 돈은 구석구석 상납되면서 조정을 썩어 문드러지게 만든다. 왈짜패의 두목, 왕두령(이기영)은 그렇게 얻은 권력으로 포청까지 가마를 타고 들락거린다. 관원들마저 민초들을 핍박하는 도적이 되어버린 상황. 민초들에게 희망이 있을 리 없다. 부정축재한 관원들을 털어 민초들에게 되돌려주는 아래적의 탄생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이다.

'짝패'는 의적이 어떻게 탄생하는가 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아래적의 수장 강포수(권오중)는 일찍이 소명을 깨닫고 썩어빠진 조정을 향해 먼저 총을 겨누는 인물. 그러자 뜻을 같이하는 인물들이 하나 둘 그의 밑으로 들어온다. 하지만 어찌 목숨을 거는 이 의적의 길이 쉬운 선택일까. 장꼭지(이문식)는 그저 도적으로 살아가는 인물이었으나, 아들인 도갑(임현성)이 아래적에서 활동하다 죽음을 맞게 되자 자신도 아래적이 된다.

천둥(천정명) 역시 마찬가지. 그는 거지 움막에서 자라나면서 천민 출신들의 삶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인물이지만 처음에는 아래적의 활동에 비판적이었다. 의적의 봉기가 실패로 돌아갔을 때 그 피해가 고스란히 민초들에게 되돌려지는 것을 봐왔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를 가로막는 것은 귀동(이상윤)과의 우정과 동녀(한지혜)에 대한 연정 때문이기도 하다. 양반집 자제이지만 자신을 짝패로 여기는 귀동과 역시 양반집 규수지만 자신을 존중해주는 동녀 사이에서 천둥은 핍박받는 민초들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이다. 즉 그들은 천둥의 조력자처럼 여겨지지만, 어찌 보면 천둥이 넘어서야할 벽이기도 한 셈이다.

하지만 강포수의 죽음을 기점으로 해서 천둥은 자신의 그런 생각이 착각이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자신을 존중해준다고 생각했던 동녀가 사실은 철저히 반상을 나누고 차별하는 인물이었다는 것이 밝혀지자, 반쪽 양반의 운명을 가진 그는 "양반이 자랑이냐. 양반들이 지금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모르느냐"며, "내 몸에 흐르는 더러운 양반의 피, 아씨 면전에서 한 방울도 남기지 않고 뽑아버리고 싶다"고 외친다. 자신의 운명을 넘어서겠다는 선언인 셈이다. 결국 천둥은 강포수의 유지대로 아래적의 수장이 되기로 마음먹고 그 징표라도 보이겠다는 듯이 민초들을 괴롭히는 왕두령을 척살한다.

천둥의 캐릭터가 선명하지 않고 어딘지 이리저리 끌려 다니는 듯한 인상을 준 것은 이 사극이 그리는 것이 단순히 홍길동 같은 의적의 활약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짝패'는 대신 그 과정을 포착한다. 남부럽지 않게 살아갈 수도 있는 한 상단의 행수가 어떻게 해서 의적의 수장이 되는가를 아주 느린 속도로 보여준 것. 그 과정에서 천둥의 행보를 가로막는 인물로서 동녀와 귀동의 존재 역시 확실한 어느 한 선을 보여주지 못한다. 즉 동녀는 어찌 보면 민초들을 이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철두철미하게 반상을 나누는 인물이고, 귀동은 천둥과 반상을 넘어 우정을 쌓는 인물로 포청의 부패를 혐오하면서도 어쩔 수 없는 자신의 소속, 즉 김진사(최종환)의 아들이자 포청의 관원이라는 뿌리를 부인할 수 없다.

즉 '짝패'는 태생적으로 결정되어있는 자신들의 운명과 스스로 대결하는 사극이다. 즉 천둥은 반쪽 양반이라는 운명을 넘어 의적이 되는 인물이고, 동녀는 그 양반이라는 틀 속에 갇힌 인물이며, 귀동은 반상을 구별하는 세상과 정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인물이다. 어찌 운명을 넘어선다는 것이 쉬운 일일까. '짝패'의 캐릭터들이 어딘지 방황하는 인상을 주는 것은 이 과정 자체가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반증일 수도 있다. 이것이 드라마의 대중성을 위해서는 단점으로 작용하는 게 분명하지만, 그 개인적인 갈등의 양상이 이해되지 않는 건 아니다. 의적의 탄생은 우리가 생각하듯 그렇게 낭만적이고 명쾌하며 간단하게 벌어지는 일이 아닐 테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