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보급 개그 '달인', 개그의 차원을 넘다
'개그콘서트'의 달인(사진출처:KBS)
"그만 하려다가도 끝나고 나면 벌써부터 다음 회를 준비하게 된다." '밤이면 밤마다'에 나온 '달인들'의 진술이다.
KBS '개그콘서트'의 대표 코너인 '달인'의 김병만, 류담, 노우진이 SBS 토크쇼에 등장한 것은 이례적이다. 물론 심증은 있다. 이제 곧 SBS에서 시작할 '김연아의 키스 앤 크라이'에 김병만이 투입되었기 때문이다. 전문 스케이터와 스타들이 짝을 이뤄 피겨스케이팅을 배우는 이 프로그램에서 김병만에 대한 기대는 크다. '달인'을 통해 이미 보여주었듯이 그의 기예에 가까운 미션적응능력은 피겨스케이팅이라는 새로운 분야에서 빛을 발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또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기예와 웃음을 동시에 엮는 지점에서도 김병만에 대한 기대감은 높을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개그콘서트'에만 집중하던 김병만이 새 프로그램에 도전하는 데는 나름의 이유가 있다. 무려 3년 5개월 동안(약 260여회)이나 '달인'을 해왔기 때문이다. 김병만으로서는 '달인'으로 굳어지는 것이 부담이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달인'에 대한 애착이 없다는 얘기가 아니다. 다만 오래 지속되면 자칫 정체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도전을 하는 것일 뿐이다.
'개그콘서트'의 서수민 PD는 김병만의 새 도전을 격려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상에 대한 우려를 감추지 못했다. 피겨스케이팅 기술 자체가 고난도인데다가 부상 위험이 있고, 그 부상은 또한 '달인'에도 그대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수민 PD의 '달인'에 대한 애정은 각별하다. '달인'이 언젠가 '개그콘서트'의 코너에서 사라진다고 하더라도 그 '달인 캐릭터'마저 사라지면 안 된다고 말한다. 이것은 '달인 캐릭터'만큼 강렬한 새로운 캐릭터를 현실적으로 만들어내기 어려운 김병만에게도 중요한 얘기다.
하지만 '달인 캐릭터'를 보존(?)해야 하는 이유는 단지 김병만과 류담, 노우진 당사자들 때문만은 아니다. '달인'이 가진 가치가 국보급(?)이기 때문이다. '달인'만큼 우리네 고전 연희의 전통을 잇고 있는 개그 코너를 찾을 수 있을까. 대표적으로 남사당패 줄타기로 대변되는 우리네 연희의 독특함은 기예와 해학이 잘 어우러져 있다는 점이다. 줄 위에서 "잘 하면 살판, 잘 못하면 죽을 판"이라고 사설을 늘어놓으며 때론 넘어질 듯 아슬아슬함 속에서 빵 터지는 웃음을 만들어내는 그 독특함은, 아찔한 기예를 천연덕스럽게 해 보이며 그 속에서 웃음을 주는 '달인'을 그대로 떠올리게 한다.
사실 이런 기예와 해학이 어우러진 우리 식의 연희는 유랑극단이나 서커스의 광대놀음으로 이어졌지만 안타깝게도 그 명맥은 거의 사라진 상황이다. TV와 영화가 대중화되면서 이러한 연희 중심의 볼거리에서 대중들이 눈을 돌렸기 때문이다. 기예를 웃음과 연결시키는 웃음코드는 물론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아슬아슬한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장면에서도 등장하는 것처럼 우리 것만이 아닌 보편적인 소재다. 하지만 '달인'의 기예와 웃음은 저 찰리 채플린보다 좀 더 우리네 토속적 정서와 연결되어 있다. 좀 과장해서 말하면 줄타기 위에서 웃음을 주는 광대들처럼, 죽음 자체를 웃음으로 전화시키는 그 강렬한 긴장 속의 이완이 '달인'에서는 엿보인다. 그런 점에서 '국보급 개그'라는 상찬은 단지 수사가 아니다.
흥미로운 건 이 '국보급 개그'가 단지 국내용이 아니라는 거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일본에서의 '달인' 퍼포먼스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뜨거웠다고 한다. 게다가 '달인' 퍼포먼스에서 또 한 가지 연상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이미 '난타'나 '점프' 같은 우리네 논버벌 퍼포먼스에 대한 해외에서도 열광이다. '달인'은 여러 모로 그 코드가 논버벌 퍼포먼스를 닮았다. 말이 주가 되는 게 아니라 몸으로 전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해외에도 먹힐 가능성이 높다.
또한 '달인'은 말 그대로 실제 보여주는 리얼 개그다. 바로 이 리얼리티적 요소는 '달인'이 현 세계적인 트렌드에도 그만큼 잘 맞아떨어진다는 걸 말해준다. 이것만이 아니다. '달인'은 콘텐츠적으로도 현 매체 상황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유튜브 같은 채널을 통한다면 '달인' 같은 짧게 짧게 끊어지면서 연결성을 갖는 콘텐츠는, 마치 K-pop이 짧은 동영상의 강점으로 전 세계로 퍼져나간 것처럼 굉장한 파급력을 보여줄 가능성이 높다.
'달인'을 통해 우리네 문화를 전 세계에 자연스럽게 소개할 수도 있을 것이며 어쩌면 전 세계에 숨겨진 달인들을 찾아가는 글로벌한 도전을 통해 문화적인 교류의 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우리네 숨은 달인들, 예를 들면 남사당패 같은 경우 '달인' 같은 현재적 관점이 들어가면 훨씬 더 글로벌한 경쟁력을 가질 수도 있다. 무엇보다 우리네 문화를 지켜가고 있는 재야에 숨겨진 달인들을 발굴한다는 것만으로도 큰 가치가 되지 않을까.
물론 이 모든 건 '달인'을 지금처럼 소소한 개그 코너로 인식해서는 이뤄질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좀더 '달인'을 글로벌한 트렌드로 인식하고 다양한 문화 상품으로 개발해낼 때 가능해지는 일이다. '달인'을 낳은 KBS는 좀 더 제 자식의 뛰어난 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마인드를 갖춰야 하지 않을까. 그것이 이 국보급 개그 '달인'이 가진 수많은 가능성들을 놓치지 않는 길이며 공영방송인 KBS의 명분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탄'의 김경호, 그는 진정한 멘토이자 가수다 (2) | 2011.05.24 |
---|---|
'1박2일'의 강호동, 이것이 샐러리맨의 마음이다 (1) | 2011.05.21 |
'위탄', 갈수록 맥 빠지는 이상한 오디션 (2) | 2011.05.18 |
'나가수'는 어떻게 음악을 듣게 만들었을까 (0) | 2011.05.17 |
'1박2일', 엄태웅을 보면 왜 기분이 좋아질까 (1) | 2011.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