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슈스케3', 케이블은 한계 아닌 가능성이다

728x90


명불허전, 역시 '슈퍼스타K'인 이유

'슈퍼스타K3'(사진출처:Mnet)

과연 케이블은 한계일까. '슈퍼스타K3'를 보면 케이블은 한계가 아니라 또 하나의 가능성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무려 8.5%의 첫 방송 시청률에 이어 2회에 10%를 간단히 넘겨버린 이 금요 오디션의 최강자는 케이블의 장벽을 뛰어넘어 오히려 케이블만이 할 수 있는 것들을 마음껏 펼쳐 보이고 있다.

사실 첫 회에 난동녀로 나와 논란을 일으켰던 최아란은 지상파라면 감히 내보내지 못했을 장면들이다. 자신이 떨어졌다며 욕을 하고 기물을 파손하는 등의 난동을 부리는 장면은 그러나 케이블이라는 매체에 대한 상대적인 관대함(?) 때문에 논란 자체도 화제로 전환되었다. 이것은 단적인 예이지만, 편집과 연출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실로 케이블만이 가능한 과감함을 엿볼 수 있다.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이하늘이 합격 티셔츠를 나눠주는 여성을 두고 하는 농담은 어찌 보면 지나치다고 여겨질 정도다. 하지만 '슈퍼스타K3'는 이마저도 재미요소로 연출해버린다. 즉 이하늘의 농담을 통해 이 여성의 캐릭터를 만들어놓은 후, 오디션 참가자가 나왔을 때 이하늘의 반응에 이 여성의 리액션을 살짝 끼워 넣는 식이다. 이 절묘하면서도 독하기 그지없는 연출은 지상파라면 시도하기 어려운 것이지만 적어도 '슈퍼스타K'에서는 가능하다. 케이블에 대한 대중들의 암묵적인 허용치가 있기 때문이다.

케이블적인 독한 연출은 심사위원에게도 여지없이 적용된다. 서인영은 마치 잘 생긴 남자들만 나오면 '합격'을 주고, 예쁜 여자가 나오면 '불합격'을 주는 것처럼 연출되는 것도 그것이 서인영 당사자의 이미지에는 어떨 지 모르지만 시청자들에게는 묘한 재미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이승철이 '슈퍼스타K'의 대표적인 심사위원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이 케이블적인 허용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늘 선택과 지적에 있어 과감하고 또 그러면서도 정말 괜찮은 가능성의 후보자가 나타났을 때 한 발 물어날 줄도 아는 심사위원이다. 이 독설가의 이미지와 멘토로서의 이미지가 모두 선명하게 드러나는 건 역시 과감한 케이블의 연출 덕이기도 하다.

이것은 어찌 보면 지상파가 좀체 버리지 못하는 '품격'에 관한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슈퍼스타K'는 국내 오디션 프로그램의 원조인데다 시청률에 있어서도 이미 지상파를 압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깨에 힘을 주는 연출을 하지 않는다. 말 그대로 엔터테이너들의 세상을 가감 없이 보여줌으로써 좀 더 본성에 솔직한 그림들을 잡아낸다.

이것은 어쩌면 B급의 '저렴한' 프로그램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하지만 '슈퍼스타K'는 그 외관으로서의 규모를 강조하고 세련된 영상을 위한 제작비를 아끼지 않는다. 헬기와 리무진이 동원되고, 엄청나게 운집한 참가자들의 모습이 말 그대로 스펙터클하게 보여진다. 총 상금 5억 원, 오디션 참가자 수 197만 명, 제작비 100억 원, 제작 기간 1년. 이런 스케일 속에서 B급 프로그램의 이미지는 휘발되어버린다. 지상파도 선뜻 만들어내기 어려운 특 A급의 스케일에, 역시 지상파가 그려내기 어려운 B급 정서의 연출. 이것은 케이블에 자리한 '슈퍼스타K'만이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수많은 오디션 프로그램들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서도 '슈퍼스타K3'에 대중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도저히 지상파가 따라갈 수 없는 영역을 이 프로그램이 개척해가고 있기 때문이다. '슈퍼스타K'는 그래서 케이블이 아니면 만들어낼 수 없는 대체불가능의 프로그램이 된다. 김용범 PD의 "우리의 경쟁자는 타 오디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슈퍼스타K 시즌1, 시즌2"라는 말이 단지 수사가 아닌 건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