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여인의 향기', 시한부로 삶을 바라보니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여인의 향기', 시한부로 삶을 바라보니

D.H.Jung 2011. 9. 15. 10:01
728x90


뻔한 소재 '여인의 향기'의 깊은 여운, 그 이유

'여인의 향기'(사진출처:SBS)

'여인의 향기'에서 암 선고로 시한부 판정을 받았던 연재(김선아)는 아직 죽지 않았다. 물론 언젠간 죽을 것이다. 그것은 빨리 올 수도 있고 아주 천천히 올 수도 있다. 누구나 다 그런 것처럼. 하지만 연재의 삶은 달랐다. 암 선고를 받은 후 시한부로 삶을 바라봤기 때문이다. 그녀는 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고 새삼 주변 사람들을 다시 돌아본다.

그러자 거기 아무 생각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왔던 자신의 삶이 달리 보인다. 도대체 무엇 때문에 그렇게 아득바득 버티는 삶을 살았던가. 그 흔한 여행 한 번 못가보고 좋은 옷 한 벌 사 입어보지 못한 자신을 발견한다. 무엇보다 진정 하고 싶었던 일을 하지 못하고 쥐꼬리만 한 월급에 목매며 살아온 자신이 한스럽다. 죽음 앞에서 발견한 자신의 삶은 초라하기 그지없다.

하지만 절망감 앞에서 우연히 만난 탱고의 선율은 그녀를 다시 춤추게 만든다. 음악에 몸을 맡기고 마음이 전하는 대로 탱고를 추며 한 발 한 발 움직이는 것. 그것이 바로 삶이라는 것을 예감한다. 자신이 자신의 운명을 알고 스스로의 삶에 애착을 갖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연재는 자신의 삶이 바뀌는 것을 보게 된다.

'여인의 향기'에는 너무나 많은 고전들의 향기가 버무려져 있는 게 사실이다. 거기에는 전형적인 신데렐라 스토리도 있고, 진부한 시한부 인생이라는 소재가 덧붙여져 있다. 영화 '여인의 향기'나 '버킷리스트'는 이 드라마의 영감 그 자체이며, 탱고라는 춤이 가진 경쾌함과 비의까지 모두 그대로 이어받았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이야기들을 가져왔어도 이 작품이 깊은 여운을 남긴 것은 그 진지함 덕분이다.

신데렐라가 있지만 신데렐라를 뒤집고, 시한부 인생이 있지만 그래서 바뀌는 삶을 그린다. 영화 '여인의 향기'나 '버킷리스트'는 우리네 상황에 맞는 정서로 바뀌었고, 탱고는 '자신이 아닌 또 다른 나'를 만나는 마법처럼 그려진다. 그래서 이 드라마는 멜로드라마의 차원을 넘어서 마치 삶의 통로가 막혀버린 한 청춘이 죽음을 마주하고 변해가는 성장담처럼 읽힌다.

그리고 그 성장담은 연재의 성장에서 점점 주변사람들로 확산되어 간다. 연재의 삶에 의해 삶에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했던 지욱(이동욱)의 가슴이 두근거리고, 타인의 삶을 바라보지 못했던 은석은 연재를 통해 그것을 경험한다. 연재의 어머니인 김순정(김혜옥)은 비로소 자신의 삶을 찾게 되고, 심지어 재벌가에서 부족함 없이 자라난 세경(서효림)마저 자신의 결핍을 찾아낸다. 그 결핍의 발견은 변화의 시작이다.

어쩌면 뻔해 보이는 이야기지만 그래도 '여인의 향기'는 그 진지함을 통해 우리의 시선을 잠시 그들의 시점으로 돌려놓았다. 연재의 시선으로 바라본 세상은 그저 지나치기 안타까울 정도로 아름다웠고, 지욱의 시선은 틀 바깥에 놓여진 또 다른 세상을 보게 해주었다. 죽음을 앞에 세워두자 비로소 인간에 대한 예의를 발견하게 했고, 그것은 어쩌면 이 태생이 정해진 대로 굴러가는 세상을 변하게 할 수도 있을 거라는 희망을 바라보게 했다. 물론 하나의 드라마이고 판타지일 뿐이겠지만, 바로 그런 시선 때문에 우리는 살아가는 것이 아닌가. 삶 또한 하나의 드라마이고 판타지가 아니겠는가. '여인의 향기'는 바로 그 삶의 향기를 다시 느끼게 해주는 드라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