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이 뿌리에서는 어떤 이야기들이 피어날까
'뿌리깊은나무'(사진출처:SBS)
"내가 조선의 임금이다!" 왕이 스스로 이렇게 외치는 이유는 명백하다. 왕이지만 왕의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송중기)은 아버지인 태종(백윤식)의 그늘 아래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허수아비 같은 존재가 되어버린다. 태종이 권력을 잡기 위해 친인척을 구분하지 않고 피의 숙청을 감행하는 것을 보면서도 세종은 아무도 구하지 못한다. "걸리적거리는 것들은 모두 치워버리는 것"이 정치라 생각하는 태종 앞에서 "나의 조선은 다를 것"이라 말하지만 세종은 "너의 조선이란 게 무엇이냐?"는 태종의 질문에 아무런 답도 제시하지 못한다.
그런 세종을 일깨운 것이 일개 똘복(채상우)이라는 민초 아이라는 사실은 세종의 정치철학은 물론이고 이 사극이 가진 메시지를 함축한다. 정치도 모르고 반역이라는 것은 더더욱 알 리 없는 이 아이가 역당의 무리가 되어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을 때, 세종은 그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태종의 칼날이 목에 드리워지지만 세종은 아이를 살리기 위해 처음으로 아버지에게 반기를 든다. 한 아이를 구하는 것, 그것은 세종에게 큰 의미로 다가온다. "어쩌면 마지막이 될 자신이 구한 백성"으로 그 아이를 생각하게 된 것이다.
'백성을 구한다'는 메시지와 그 백성이 위기에 처한 이유가 양반들에게만 독점된 글자로 인해 글을 읽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은 세종의 '한글 창제'의 충분한 동인으로 제시된다. 문자를 읽고 쓴다는 것이 사실은 '죽고 사는 문제'였다는 이 이야기는 현대인들에게는 어찌 보면 그다지 절실하게 다가오지 않을 한글 창제의 의미를 드라마에 깊게 각인시킨다. 세종의 이 분명한 목적의식은 앞으로 집현전을 두고 벌어질 사건들이 팽팽한 긴장감을 갖게 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제가 된다.
어찌 보면 이것은 지극히 교과서적이고 정치적일 수 있는 이야기들이다. 그만큼 세종의 한글창제에 대한 평가는 일상화되어버린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뿌리 깊은 나무'는 이것을 보다 강력한 대결구도와 흥미로운 장치들을 활용해, 쉬우면서도 드라마틱한 이야기로 만들어내고 있다. 태종과 세종의 팽팽한 대결구도는 이 사극이 굴러가는 추진력을 만들어내고, 그 대결 속에서 기묘하게 연결된 똘복의 이야기는 자연스럽게 세종의 소명의식을 드러낸다.
태종과 세종의 '다른 조선'에 대한 이야기 역시 마방진이라는 흥미로운 도구를 통해 쉽게 제시되어 있다. 즉 태종이 마방진으로 고민하는 세종에게 "이건 너무 간단한 문제"라며 다른 숫자를 다 떼어버리고 1자 하나를 가운데 세워두는 장면은 태종의 중앙집권식의 정치철학을 함축하는 장면이다. 반면 그 많은 숫자들을 나열해 어느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서도 조화로운 방진을 꾸리려 애쓰는 세종의 모습은 그대로 그의 민초들을 생각하는 정치세계를 잘 말해준다. 그 숫자 하나 하나는 수많은 똘복의 분신인 셈이다.
화려한 액션과 군더더기 없는 영상 연출은 한 프레임 한 프레임 이어나간 장태유 PD의 손길이 고스란히 느껴지고, 복잡할 수 있는 다양한 인물군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연결시키고 배치하며 그 속에 끊임없이 생겨나는 팽팽한 갈등구조는 돌아온 김영현, 박상연 작가의 공이 느껴진다. 여기에 거친 야성의 카리스마를 보여주는 백윤식과 그 중견연기자의 힘 앞에서도 굳건히 버티고 서 있는 송중기의 일취월장된 연기는 이 사극이 가져갈 초반의 힘을 만들어내기에 충분하다. 하지만 이것은 '뿌리 깊은 나무'라는 새롭고 특별한 사극의 시작이자 전제일 뿐이다. 이 깊은 뿌리에서 도대체 얼마나 많은 가지들이 이야기로 자라날 것인가. 실로 기대되는 대목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 꽃만이 아닌 뿌리가 튼튼한 사극 (1) | 2011.10.19 |
---|---|
'계백', 백제를 이렇게 그려도 되나 (6) | 2011.10.17 |
'여인의 향기', 시한부로 삶을 바라보니 (0) | 2011.09.15 |
'보스', 아주 볼수록 물건이네 이거 (1) | 2011.09.09 |
'여인의 향기', 왜 희망을 보지 않을까 (3) | 2011.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