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크쇼로 주병진만이 할 수 있는 것옛글들/명랑TV 2011. 12. 8. 12:39728x90
'주병진 토크 콘서트', 무엇이 강점일까'주병진 토크 콘서트'(사진출처:MBC)
굳이 '주병진 토크 콘서트'라고 주병진이라는 MC의 색깔을 명확히 한 데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1인 토크쇼가 그러하듯이 그 1인만이 할 수 있는 독특한 색깔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그렇다면 토크쇼에서 주병진만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얼까.
주병진을 흔히 '코미디계의 신사'로 부른다. 양복 차림에 또박또박 정확한 발음을 찾아서 하는 멘트, 매너 있는 게스트에 대한 배려 같은 것이 그에게는 몸에 배어있다. 그래서 토크쇼를 보면 시끄럽다기보다는 차분한 것이 특징이다. 좀 더 진솔한 이야기를 끄집어내는데 효과적이라는 얘기다.
물론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 웃음의 포인트들이 있다. 이것은 '신사 같은' 주병진이 그러한 태도와 매너를 살짝 벗어나는 지점에서 나온다. 첫 손님으로 나온 박찬호가 말실수로 "야"라고 하자, 그것을 그대로 받아치며 "우리 편하게 하자고."하면서 짐짓 반말로 진행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식이다. 매너 바깥으로 살짝 벗어나며 의외의 모습을 보여줄 때 그 이완에서 웃음이 터져 나온다.
토크쇼지만, 앉아서 이야기만 하는 그런 토크쇼는 아니다. 주병진은 첫 방송에서 박찬호와 함께 무대 위에서 공을 던져 속도 대결을 벌이기도 했다. 방청객 두 명을 불러서 공을 던지게 하고 그 속도를 합쳐 160킬로가 넘으면 선물을 주는 이벤트도 펼쳤다. 이런 말이 아닌 몸으로 보여주는 코너는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토크쇼에 생동감을 부여한다. 주병진은 '일밤' 시절부터 코미디로 잔뼈가 굵은 코미디언이다. 즉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연기가 가능하다는 얘기다. 즉석에서 만들어지는 자잘한 이벤트적 상황에 대한 뛰어난 그의 대처능력은 현장에서 생겨나는 돌발적인 순간의 재미를 만들어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을 차치하고라도 주병진만이 토크쇼를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비연예인 게스트를 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 과거에도 몇몇 비연예인 게스트를 초대하는 토크쇼들이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런 토크쇼가 거의 사라진 것이 사실이다. 유일한 비연예인 게스트를 포용하는 토크쇼가 '무릎팍 도사'였지만, 이마저 사라져버린 상황. '주병진 토크 콘서트'는 그 없어져가는 명맥을 이을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물론 연예인이 출연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다. 또 비연예인 게스트가 출연한다고 해서 연예인만큼의 재미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것도 아니다. 즉 연예인이든, 비연예인 게스트든 똑같이 포용해 주병진식의 재미와 의미를 끄집어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이것은 최근 비슷비슷한 연예인 게스트들의 반복 출연으로 식상해진 토크쇼를 생각해보면 '주병진 토크 콘서트'가 갖는 최대의 차별점이자 강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토크쇼는 그 형식에 의해 사실상 게스트의 폭도 정해진다. '주병진 토크 콘서트'는 주병진 특유의 신사 이미지와 점잖으면서도 때론 확실히 망가지며 웃음을 만들어내는 상황 코미디의 강점을 부각시켜서, 사실상 누구든 그 게스트 자리에 앉을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놓았다. 그것이 정치인이든, 경제인이든, 스포츠 스타든 아니면 연예인이거나 심지어 일반인이든 활짝 문호가 열려진 토크쇼. 그러면서도 확실한 웃음의 포인트를 잃지 않는 토크쇼. 이것이 주병진만이 할 수 있는 토크쇼, '주병진 토크 콘서트'의 강점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콘'과 'SNL', 정치풍자라는 블루오션 (1) 2011.12.12 '무한도전', 12살 박명수가 짠한 이유 (0) 2011.12.11 'SNL 코리아', 어떻게 콩트를 살렸을까 (0) 2011.12.07 유재석도 못이기는 프로그램 매너리즘 (1) 2011.12.01 '라스', 5초 폭소의 동력 김구라 (1) 2011.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