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정은궐, 이정명, 이들에 주목하는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정은궐, 이정명, 이들에 주목하는 이유

D.H.Jung 2012. 1. 25. 09:53
728x90


'뿌나'에서 '해품달'까지, 팩션 사극을 연 대표작가들

'해를 품은 달'(사진출처:MBC)

'해를 품은 달'이 방영 시작 전부터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데는 정은궐 작가라는 원작자의 작품이라는 기대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성균관 스캔들'의 원작인 '성균관 유생들의 나날'을 쓴 작가다. '성균관 스캔들'은 사극의 새로운 전기를 만들어낸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역사에 얽매이지 않고 시대적 배경을 과거로 돌린 채, 그 안에서 지극히 현대적인 청춘멜로를 담아냄으로써 사극의 외연을 확장시켰다.

청춘멜로나 사극 이 두 장르는 모두 어떤 침체기에 접어 들어있었지만, 이 두 이질적인 두 장르가 합쳐지면서 시너지 효과가 생겨났다. 청춘멜로가 갖는 어딘지 지나치게 가벼운 비현실적 느낌은 사극을 만나 그 무게감을 확보하게 되었다. 사극 특유의 강한 극성은 멜로조차 그 결과로서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스토리를 가능하게 했다. '성균관 스캔들'이 성균관이라는 금남의 지역에서 남장여자라는 아슬아슬한 청춘멜로를 실험했다면, '해를 품은 달'은 그 공간을 궁궐로 강화시키고, 세자와의 로맨스를 통해 삶과 죽음이 왔다 갔다 하는 극성 높은 청춘멜로를 그려냈다.

반응은 놀랍게도 단 6회 만에 마의 시청률이 되어버린 30%에 육박하는 결과를 내고 있다. 이것은 최근 사극의 시청률이 20%대 중반에 정체되어 있던 것을 염두에 둔다면 놀라운 결과다. 이제 겨우 도입부에 불과한 스토리에서 이 정도라면 '해를 품은 달'은 어쩌면 전성기 시절의 사극이 거둔 성과를 재연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진다. 이런 변화를 가져온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팩션 작가 정은궐을 지목하지 않을 수 없다. 역사의 틀에 갇히기 보다는 그 역사적 틀을 활용해 완전히 새로운 사극의 세계를 개척한 팩션 작가들의 그 과감한 파격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란 얘기다.

'성균관 스캔들'과 '해를 품은 달'의 원작자인 정은궐 작가와 함께 주목되는 팩션 작가는 이정명이다. 작년 말 화제를 불러일으킨 '뿌리 깊은 나무'의 원작자인 이정명 작가는 신윤복이 여자라는 파격적인 설정으로 그의 그림을 통해 스토리를 만들어내 화제가 되었던 '바람의 화원'의 원작자이기도 하다. '바람의 화원'은 겉으로 보기엔 여성으로 설정된 신윤복과 김홍도의 멜로처럼 보이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한 예술가의 초상을 그려낸 듯한 깊이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그들의 풍속화가 하나의 모티브가 되고 그 풍속화로부터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은 대단히 흥미로운 사극의 실험이었다.

이정명 작가는 이 두 작품을 통해 보여지듯이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끌어오지만 그것에 대한 파격적인 해석이 돋보이는 작가다. 그는 '뿌리 깊은 나무'에서 세종의 한글 창제를 소재로 하지만 그 과정에서 벌어지는 궁궐 내에서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루었다. 사실 세종 시대는 태평성대였기 때문에 사극처럼 극적 대립이 필요한 장르에 쉽지 않은 소재다. 하지만 연쇄살인사건이라는 역사 바깥에서의 극적 상황을 집어넣자 이 작품은 전혀 다른 긴장감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이 원작을 드라마로 재해석한 김영현 박상연 작가는 이 원작을 보고 나서 비로소 세종 시대를 사극으로 다룰 수 있겠다는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물론 이런 파격적인 실험에 대한 우려 섞인 시선이 있지만 확실히 사극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은 달라졌다. 정통사극의 시대는 왕의 시점으로 읽히는 역사를 강요받던 권위주의의 시대였다. 하지만 시대는 바뀌었고 역사를 보는 시각도 달라졌다. 푸코가 미시사를 가져와 본래 역사가 가진 권위를 해체시켰던 것처럼, 역사란 사실 권력자의 기록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다른 계층의 시각으로 보면 역사는 또 다르게 보일 수 있는 셈이다. 역사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물들의 이야기가 사극의 새로운 스토리로 들어오게 된 것이다. 이것이 좀 더 극대화되고 심지어 장르화된 것이 '바람의 화원', '성균관 스캔들', '뿌리 깊은 나무', 그리고 '해를 품은 달'로 이어지는 새로운 사극의 계보다. 그 중심에 이정명, 정은궐 같은 팩션 작가가 있었다는 얘기다.

사극의 이러한(역사를 벗어나 장르화 되는) 변화는 향후 이 장르가 한류 드라마의 대표 콘텐츠가 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사실 사극이 굉장히 글로벌하게 영향력을 가질 수 있는 장르라는 것은 '대장금'을 통해 확인되었다. '대장금'은 일본, 동남아를 넘어서 중동, 유럽까지 열광적인 반응을 얻어냈으니까. 그만큼 사극은 우리의 모습을 가장 특징적으로 잡아낼 수 있는 장르라는 것이다. 하지만 사극이 역사에 집착하게 되면 민족주의적인 틀에 갇히게 된다. 최근 사극의 변화는 이런 틀을 과감히 벗어던진다는 점에서 훨씬 더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고 보여진다. 물론 사극은 이제 더 이상 역사교과서가 될 수 없다. 그저 하나의 콘텐츠로 즐기는 대상이 된 것. 이정명, 정은궐 같은 사극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한 팩션 작가들에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