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브레인', 우리를 열광하게 한 것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브레인', 우리를 열광하게 한 것들

D.H.Jung 2012. 1. 18. 10:17
728x90


'브레인', 심지어 컬트적인 문제작

'브레인'(사진출처:KBS)

"이건 우리의 마음이거든요. 사람이 마음을 만질 수 있다는 게, 신경외과 의사가 정말 멋지지 않습니까. 이토록 경이로운 뇌를 만져온 인생을 바친 저는 여한이 없습니다. 뇌를 통해서 사람을 이해했고 연민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브레인'의 뇌의학자 김상철(정진영) 교수의 이 진술은 마치 작가의 진술처럼 들린다. '브레인'의 작가는 드라마 속 캐릭터들의 뇌를 들여다보고 만짐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연민하는 지금까지 어떤 드라마도 시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이 드라마를 이끌어왔기 때문이다.

'브레인'은 확실히 지금까지의 어떤 드라마와도 다르고, 특히 그 어떤 의학드라마와도 차별화되어 있다. 환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의사의 이야기를 다루는 이 드라마는 그러나 흥미롭게도 그 의사를 환자처럼 다룬다. 이강훈(신하균)은 어린 시절 뇌수술을 하다가 갑자기 죽음을 맞게 된 아버지의 기억을 깊은 트라우마로 가진 인물로, 오로지 실력 하나로 세상과 대적하려 한다. 실력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심지어 인물을 유아적으로까지 비춰지게 만든다. 그는 사랑에 있어서 어린아이 같고, 함께 사는 삶에서 오로지 맨 꼭대기에만 서려 한다. 자신의 결점이나 실수를 용납하지 않고 인정하지 않으려는 완벽주의. 그는 어쩌면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이런 병을 앓고 있다.

이강훈의 아버지를 죽음에 이르게 만든 김상철 교수는 그 죄책감에 기억을 지우고 성인군자처럼 살아가지만, 그 이면에는 그 상처가 만들어내는 괴물 같은 욕망이 꿈틀댄다. 누르고 눌렀던 기억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그것은 뇌에 종양으로 자라난다. 그러자 김상철 교수는 마치 에일리언이 침투한 사람처럼 종양이 자란 뇌의 조종을 받게 된다. 난폭해지고 성격이 급변하는 그는 이렇게 말한다. "정상하고 비정상의 차이가 뭐죠? 정상이라... 포장하고 사는 거겠지요. 저는 포장지가 다 뜯어져버렸나 봅니다." 그는 포장을 뚫고 나온 죄책감의 기억에 시달리는 환자다.

이처럼 '브레인'의 의사들은 저마다 뇌의 병을 앓고 있다.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만든 서준석(조동혁) 교수는 그 일 때문에 수술실에 심지어 발을 들이지 못하는 공황장애를 겪게 되고, 심지어 환자에 대한 배려가 지나칠 정도로 강한 윤지혜(최정원)가 이강훈을 좋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그 상황 역시 뇌 사진을 통해서다. 어쩌면 '브레인'에서는 사랑이라는 감정 또한 하나의 뇌의 반응으로 읽고 있는 지도 모른다. 마음은 뇌의 조종을 받고, 또 뇌는 마음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니 이 드라마의 캐릭터들은 우리가 흔히 보던 드라마의 전형적인 캐릭터들과는 전혀 다를 수밖에 없다.

드라마의 캐릭터란 일관성을 갖게 마련이다. 하지만 '브레인'에서 탐구하듯 열어 보이는 캐릭터들의 뇌는 이 캐릭터의 일관성이라는 것이 얼마나 연약한 것인가를 잘 말해준다. 뇌의 작은 부분 하나만 건드려도 캐릭터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하기도 하니까. 따라서 '브레인'의 캐릭터들은 그 성격이 급변하고 그 변화의 폭도 대단히 넓다. 이것은 만일 '브레인'이 캐릭터들의 뇌를 진단하고 열어 보이지 않았다면 설득될 수 없는 캐릭터일 것이다. 하지만 뇌의 변화까지 근거로 제시하는 '브레인'의 인물들은 사실상 전날 성인군자였다가 다음날 폭군으로 변하는 인물도 수긍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이 부분은 이 드라마가 가진 때로는 기괴하게까지 여겨지고, 심지어 컬트적이라고 생각되는 상황들을 가능하게 하는 지점이다. 이강훈을 포함해 김상철, 서준석, 고재학(이성민) 같은 인물들이 서로 욕망을 위해 연합하고 대립하지만 그 누가 선이고 악인지 구분할 수 없게 된 것은 '브레인'의 이 캐릭터를 바라보는 독특한 시점 때문이다. '브레인'에는 선악이 없다. 다만 저마다 (크고 작건 간에)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 인물들이 있을 뿐이다.

보통의 드라마들이 대미에 와서 서로 행동이나 대사를 통해 부딪치는 것으로 그 갈등을 해소시킨다면, 이 드라마는 그래서 이 모든 인물들을 수술실로 불러들인다. 단지 겉으로 드러나는 성격적인 문제가 아니라 뇌라는 문제까지 동시에 해결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상철 교수의 뇌 종양 제거수술에 이강훈이 메스를 들고, 서준석이 보조를 하는 건 이 모든 갈등을 단번에 풀어내는 효과적인 설정이다. 이 수술 장면으로 김상철 교수는 각성수술을 통해 자기의 뇌를 바라보고 쓰다듬는다(이 얼마나 컬트적인 장면인가!). 마치 자신의 아픈 과거를 담은 뇌를 인정한다는 듯이. 이강훈은 늘 자신의 앞에 있다고 생각하는 김상철 교수의 뇌수술을 하는 것으로 그 콤플렉스를 넘어선다. 물론 서준석은 공황장애를 이겨낸다.

스승이 제자를 위해 자신의 뇌를 수술하게 하는 이 장면은 어찌 보면 '허준'에서 스승인 유의태가 자신의 몸을 제자에게 맡기는 장면처럼 감동적으로 그려질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브레인'은 이미 마음을 조종하는 뇌를 본 마당에 이런 낯간지러운 상황을 만들지 않는다. "우리나라 최고 뇌 의학자의 뇌수술 아무나 하겠습니까? 교수님의 뇌에 메스를 댄다는 것 자체가 교수님의 뒤를 잇는다는 것인데. 제가 이 좋은 기회를 놓칠 리 있겠습니까?" 이강훈은 늘 그렇듯 도전적으로 김상철교수에게 이렇게 말하고, 김상철 교수는 "끝까지 나를 마지막까지 이용할 생각이구만."하고 답한다. 이것은 분명 애정의 표현이지만, 뇌를 다루는 그들에게 애정표현이란 이렇게 쿨한 면모가 있다.

이것은 이강훈과 윤지혜의 멜로에서도 드러난다. 이강훈은 아픈 윤지혜를 찾아가 그녀를 보살펴주지만, 깨어난 그녀 앞에서 어린 아이처럼 마음을 숨긴 채 버럭 댄다. 그런 이강훈에게 윤지혜는 뜬금없이 노래를 불러달라고 한다. 어찌 보면 어색하기 이를 데 없고, 거기서 노래를 부르는 장면은 코미디가 될 수도 있지만, 이강훈이 실제로 노래를 읊조리듯 부르는 순간 상황은 반전된다. 그 장면에서 왜 우리는 마음 한 구석이 뭉클해졌던 걸까. 그것은 이강훈이라는 마치 엄마의 사랑을 갈구하면서 어떻게 사랑표현을 해야할 지 몰라 투덜대기만 하던 인물이 그 아픔을 넘어서 자기 마음을 표현하는 치유의 장면처럼 읽히기 때문이다. '브레인'에서는 멜로조차 하나의 치유로 그려진다.

'브레인'은 문제작이다. 여러 드라마들이 지금껏 캐릭터를 그려내면서 그 일관성이니 전형성이니 또 성장이니를 운운했다면, 이 드라마는 캐릭터를 뇌 차원으로까지 확장해 그 고전적인(?) 캐릭터 작법을 무너뜨린다. 이 얘기는 캐릭터로 인해 구축되는 장르들 예를 들면 멜로나 스릴러, 미스테리 같은 장르들 역시 그저 하나의 관습적인 약속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때론 멜로처럼 보이다가 때론 공포처럼 읽혀지는 '브레인'이 가능한 것은 그 캐릭터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심지어 사랑의 차원까지 뇌를 통해 만질 수 있는 어떤 것으로 그려낸 '브레인'은 그래서 기존 드라마들 바깥에 세워진 새로운 세계를 우리에게 보여주었다. 물론 여기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이런 캐릭터를 가능하게 해준 신하균이나 정진영 같은 발군의 연기자들일 것이다. 그들이 있어 '브레인'이라는 놀라운 드라마는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