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요즘 케이블, 지상파보다 참신하네 본문

옛글들/명랑TV

요즘 케이블, 지상파보다 참신하네

D.H.Jung 2012. 2. 14. 10:34
728x90


'보이스 코리아', '더 로맨틱', 지상파보다 나은 이유

'보이스 코리아'(사진출처:mnet)

Mnet '보이스 코리아'가 첫 회부터 대중들의 열광을 이끌어낸 것은 그 참신한 형식 때문이다. '보이스 코리아'는 그간 오디션 프로그램이 갖는 불편한 문제들을 '블라인드 오디션'이란 장치로 손쉽게 넘어섰다. 외모도 춤도 아닌 오로지 가창력 하나만으로 승부할 수 있도록, 코치들은 무대를 등지고 앉아 오로지 귀에만 의지해 참가자를 자신의 팀으로 넣을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한다.

따라서 그 판정기준은 다분히 직관적이고 감성적일 수밖에 없다. 음정이 어떻고 표현이 어떻고 하는 논리적인 심사에 의해 참가자의 노래가 난도질당하는 상황은 그래서 절대 생겨나지 않는다. 오히려 복수의 코치들이 참가자에게 자신의 팀으로 들어오라고 애원을 하는 '역 오디션'의 상황은 지금껏 고압적인 심사위원들의 선택만을 동아줄처럼 바라봐야 했던 참가자나 시청자 모두에게 반전의 쾌감을 선사한다.

물론 '보이스 코리아'는 포맷을 수입한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참신한 시도나 형식 그 자체가 Mnet의 공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이것이 기획의 성공인 것만은 분명하다. 이제 기존 오디션 프로그램의 고전적인 형식들, 예를 들면 참가자들이 일제히 무대에 올라 한 명씩 부르고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당락을 결정하면서 마지막 생존자들이 최후의 생방송 무대를 펼치는 식의 형식들은 어딘지 식상해진 게 사실이다. '슈퍼스타K'의 성공 이후 지상파에서 쏟아져 나온 오디션 형식들이 그 소비를 더 가속화시켰기 때문이다.

케이블에서 '보이스 코리아' 같은 차세대 오디션 프로그램을 런칭하고 있는 상황에, 지상파의 '위대한 탄생2' 같은 프로그램이 애초 차별점으로 내세운 멘토제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점점 '슈퍼스타K'의 형식을 거의 따라하고 있다는 점은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언제부턴가 케이블이 전방위에 서서 다양한 프로그램 형식들을 시도하고 있는 반면, 지상파들은 적당히 그런 형식을 가져와 지상파 버전으로 방영하는 느낌이다.

물론 방송 프로그램이라는 포맷 특성에 있어서 누가 누구를 따라하고 무엇이 원조인지를 묻는 것은 이제 그다지 의미가 없어 보인다. 이제 프로그램들은 어떤 식으로든 상호 영향을 받으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요한 건 그렇게 만들어진 결과물이 참신한가 아닌가 하는 점이다. '위대한 탄생2'의 형식이 어디서 많이 본 어딘지 식상한 느낌을 주는 반면, '보이스 코리아'가 참신하게 다가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 아닌가.

게다가 프로그램의 자극성에 있어서도 '보이스 코리아'는 좀 더 진심에 닿아 있는 인상이 짙다. 오로지 노래가 전하는 그 진정성에 기울이게 만드는 형식 때문이다. 과거 케이블 프로그램이라고 하면 어딘지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것이라 여겨졌었다면, 이런 작금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다. 과도한 시청률 경쟁 때문인지, 최근 들어 지상파 프로그램들의 자극과 선정성은 케이블 못지않은 게 사실이다.

'짝'은 짝짓기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쇼 버전이라 일컬어질 정도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프로그램의 전형이다. 일반인 사생활 노출에 대한 논란들이 끊임없이 쏟아져 나왔고, 심지어 조작논란까지 나오기도 했다. 프로그램이 진정성을 보여준다기보다는 논란거리가 될 만한 자극들에 치중하는 경향도 보였다. 스펙이나 외모에 경도되는 일반인들의 모습은 그 자체로 논란의 불씨가 되었다.

tvN이 새롭게 시작한 '더 로맨틱'은 여러모로 '짝'과 비교될 수밖에 없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이다. 같은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지만, '더 로맨틱'은 자극보다는 설렘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이것은 결혼을 굳이 전제로 하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일상 바깥으로 나가 여행이 주는 새로운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마치 치열한 삶 속에서 이젠 없는 것이라 여겼던 한 편의 영화 같은 순간들을 우리에게 다시 전해주는 그런 느낌. 그 설렘만으로도 이 프로그램은 지친 현대인들에게 큰 위안을 주고 있다고 여겨진다.

물론 모든 케이블 프로그램들이 지상파보다 참신하고 더 유의미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최근 들어 케이블 프로그램들의 참신한 시도들이 눈에 띄는 건 분명한 사실이다. 한편 지상파 프로그램들이 어디서 본 듯한 형식을 가져와 구태의연한 반복을 하고 있거나, 또 지상파 프로그램이 맞는가 싶을 정도로 자극적으로 흐르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것도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런 식으로 가다간 자칫 젊어지는 케이블과 노회하는 지상파로 시청세대가 구분될 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