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초한지'와 '그림자', 그 놈의 일자리가 뭔지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초한지'와 '그림자', 그 놈의 일자리가 뭔지

D.H.Jung 2012. 2. 20. 10:32
728x90


이범수와 안재욱, 그 카리스마의 정체

'샐러리맨 초한지'(사진출처:SBS)

'샐러리맨 초한지'에는 유방(이범수)이 세운 팽성실업이란 회사가 등장한다. 팽성실업의 '팽성(烹成)'은 '팽 당한 사람들이 성공을 이룬다'는 뜻이다. 천하그룹의 해고 노동자들을 모아 세운 이 회사의 출범식에서 유방은 두 가지를 약속한다. "딱 두 가지만 여러분께 약속드리겠어요. 여러분들이 열심히 일해가지고 수익이 많이 발생하면요. 그만큼 여러분들하고 수익을 많이 나눠가질 거여요. 그리고 또 하나 형사법에 저촉되는 짓만 안하시면요 여러분들이 절대 부당하게 해고당하는 일 없을 거예요."

아무리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대사라고는 해도 가슴 한 구석이 뭉클해지는 건, 정반대의 현실 속에 우리가 살고 있기 때문일 게다. "저도 대기업에 다녀봤지만 우리나라에 이윤보다 사람을 더 귀하게 여기는 회사가 몇이나 돼요. 거의 없어요. 하지만 우리 팽성실업은요. 이윤보다 사람이 우선예요. 진짜예요. 우리 회사에서 가장 큰 재산이 뭔지 아세요? 뭐 같아요? 기술요? 아녜요. 기술 개발하면 돼요. 제품요? 아녜요. 제품 만들면 되는 거예요. 바로 여러분들이에요. 여러분들이 존재하니까 기술도 개발하고 제품도 만드는 거예요. 우리 회사에서 가장 큰 재산은 바로 여러분들예요."

사장이 이러니 직원들도 다르다. 회사가 투자를 받지 못해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게 되자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나서 "봉급을 받지 않겠다"고 한다. 물론 투자 유치에 성공한 유방은 그 고마운 마음만 받지만, 이런 노사 간의 관계는 이제 심지어 판타지로 여겨지는 현실이다. 그만큼 현재 우리 사회가 겪고 있는 일자리에 대한 문제는 대중 정서의 가장 큰 밑바닥을 구성한다.

시대극으로서 전혀 다른 환경에 놓여진 것 같지만, '빛과 그림자'라는 드라마에서도 이런 대중 정서의 단면들이 묻어난다. 빛나라 쇼단의 단원들에게 가장 첨예한 문제는 스타가 되거나 하는 그런 것이 아니다. 당장 설 무대, 즉 생계가 보장된다면 뭐든 할 정도로 이들에게 일자리는 중요하다. 강기태(안재욱)가 빛나라 쇼단의 새로운 단장이 되어 이들에게 보장하는 것은 다름 아닌 일자리다. 그는 단원들의 무대를 확보하기 위해 심지어 캬바레에서 춤을 추기도 한다.

공교롭게도 '샐러리맨 초한지'의 유방과 '빛과 그림자'의 강기태가 주인공으로서의 매력을 유지하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 '일자리' 덕분이다. 강기태는 어떤 식으로든 단원들이 일을 할 수 있게 뭐든 협박에도 굴하지 않는 카리스마를 보여주고, 유방은 좀 더 민주적인 방식으로 일자리를 보전해주는 샐러리맨의 판타지를 채워주는 인물이다.

그런데 이 두 드라마의 판타지와 인물들의 카리스마를 보면서도 동시에 생기는 씁쓸함을 지울 수가 없다. 그것은 이 드라마 속 노동자들의 요구가 가진 소소함 때문이다. 도대체 이들이 뭘 그렇게 대단한 걸 요구했단 말인가. 그저 생계를 위한 일자리가 아닌가. 물론 드라마지만 이 지극히 기본적이고 또 당연한 것들이 하나의 판타지가 되는 것은 그만큼 작금의 현실이 상식적이지 않다는 반증이 아닐는지. 왜 우리네 현실은 기초적인 것까지 판타지로 만드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