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토크쇼, 연예인 게스트 안 먹히는 이유

728x90


'놀러와'와 '힐링캠프'의 추락이 시사 하는 것

'놀러와'(사진출처:MBC)

'놀러와'와 '힐링캠프'의 추락이 심상찮다. '놀러와'는 지난 1월30일 '쇼킹 기인열전'으로 14.4%(agb닐슨)의 시청률을 기록한 이후 12.3%(2월6일), 10.9%(2월13일), 8.5%(2월20일) 그리고 7.6%(2월27일)로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힐링캠프'도 마찬가지다. 지난 주 빅뱅의 대성과 G드래곤이 출연해 살짝 시청률이 반등(7.2%)하기도 했지만, 윤제문이 게스트로 나오자 윤종신이 출연했을 때의 시청률(6.4%)로 다시 내려갔다. 연초 박근혜, 문재인이 '힐링캠프'에 출연했을 때 12%를 상회하는 시청률을 기록했던 걸 생각해보면 너무 빠른 하락이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가장 핵심적인 것은 게스트다. '놀러와'나 '힐링캠프' 모두 토크쇼 형식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해왔던 것으로 보인다. '놀러와'는 그 특유의 편안한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해 골방이나 반지하 같은 공간을 고민하기도 했고, 게스트 섭외에 있어서도 카테고리화를 통해 공통 화제를 뽑아내는 방식을 쓰기도 했다. '힐링캠프' 역시 초반에는 '힐링'이 되는 공간으로 게스트를 초대했지만, 차츰 게스트에 맞는 공간을 찾아가는 콘셉트로 변화를 주기도 했다.

하지만 그 수많은 토크쇼 형식의 고민에도 불구하고 결국 시청률 변화의 가장 큰 동력으로 작용한 것은 게스트다. 누가 나왔느냐가 그 날의 토크쇼의 향배를 가르는 것이 되었던 것. 이렇게 된 것은 너무 많은 토크쇼들이 난립하다 보니 충성도 높게 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시청하기보다는 게스트에 따라 선별하는 시청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연예인들이 게스트로 출연하는 토크쇼들은 더더욱 확고한 팬층을 갖기가 어려워졌다. 여기에는 제 아무리 바꾸었다고 해도 본질적으로 '연예인(혹은 영화나 드라마) 홍보'에서 그다지 벗어나지 않는 형식 때문이다.

따라서 비연예인이 나왔거나, 혹은 잘 나오지 않던(하지만 관심은 가는) 게스트가 나왔을 때 오히려 주목도가 높아지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놀러와'에서 지난달 했던 기인 열전의 정동남씨나 통아저씨, 신바람 이박사 같은 게스트는 대표적이다. 이것은 '힐링캠프'의 박근혜, 문재인도 마찬가지다. 한편 '안녕하세요'가 그다지 큰 부침이 없이 꾸준한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은 그 게스트가 일반인이기 때문이다. 일반인 게스트 토크쇼는 이처럼 형식만 제대로 잡으면 다양한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인물들의 섭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연예인을 게스트로 섭외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시청률을 기록하고 있는 토크쇼는 '라디오스타'와 '해피투게더3' 정도다. 이것이 가능한 것은 이들 프로그램들이 좀 더 확실하게 '연예인 홍보'와는 거리가 먼 방식을 구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라디오스타'는 게스트를 배려하기보다는 공격하는 토크가 주를 이루고(이것이 결국 이 프로그램의 게스트 배려방식이지만), '해피투게더3'도 형식을 바꿔 개콘4인방이 투입되면서 서로 물고 물리는 토크 형태로 바뀌었다.

결국 게스트를 배려하는 편안한 토크쇼들은 물론 그 자체의 맛이 있지만, 게스트가 누구냐에 그만큼 민감해졌다는 얘기고, 거꾸로 게스트를 배려하지 않는(상대적으로) 토크쇼들은 그 형식 자체의 재미 때문에 보는 고정적인 시청층이 있다는 얘기다. 이렇게 된 것은 이른바 '편안한 토크쇼'들이 너무 난립해버렸기 때문이다. 여기저기서 연예인들이 나와 진심을 담은 이야기를 하지만, 그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주목받기 어려워진 상황이다.

대중들이 원하는 것은 결국 새로움이다. 새로운 게스트가 나왔을 때 주목되고, 똑같은 게스트가 나오더라도 '재발견'되어야 지지를 하게 된다. 연예인 홍보 같은 토크쇼에 더 이상 놀러가지 않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