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연예인 자살, 상품화된 사람의 문제

728x90

지난 ‘100분 토론’은 ‘베르테르 효과’를 우려하게 될 정도로 계속되는 ‘연예인 자살’문제에 대해 다뤄졌다. 파급효과가 클 수 있는 연예인의 자살은 단지 연예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 하에 이뤄진 이 토론에서 쟁점으로 다뤄진 것들은, 왜 이런 자살이 빈번하게 벌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시작해 그것이 개인의 문제인가 아니면 사회와 스타시스템, 무한경쟁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구조적인 문제인가였다.

논의에 의하면 연예인들을 자살로 내모는 이유 중 하나로 그 직업상 포장된 이미지와 실제의 자신 사이에 괴리가 크다는 점을 들었다. 사생활이 노출되면서 즉각적으로 피드백을 가져오는 미디어 환경 변화 또한 이유 중 하나였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보았을 때, 연예인이라는 특성의 한 면인 ‘상품화된 사람’의 문제로 보인다.

고인이 된 유니, 정다빈씨의 공통점으로 가장으로서 가족을 돌봐야 하는 압박감에 인기 하락 국면을 맞이했다는 것, 또한 성형 논란 이후 안티팬의 악성 댓글이 급증했다는 점 등을 들었는데, 이것은 사실 대부분의 연예인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고충이기도 하다. 소위 ‘잘 나갈 때’는 자신의 상품화가 아무런 문제를 만들어내지 않지만, 갑작스레 자신의 상품가치가 떨어질 때, 상실감은 바로 그 상품화된 자신에 대한 자조감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렇다. 여기에 자신의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논란에 휩싸여 악플의 공격을 받게 되면 걷잡을 수 없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상품은 외모적인 측면을 더욱 강조하는 여배우에게 더 가중된다. 패널로 참여한 김일중 방송작가에 의하면 “여배우들은 연기도 해야하고, 요조숙녀 같은 사생활을 가져야 하며, 게다가 섹시함을 갖춰야 하고 또한 소녀가장으로서의 역할도 해야하며, 공인으로서의 책무를 다하고 여기에 자연미인으로서의 이미지까지 가져야 하는 실제로는 불가능에 가까운 부역”에 시달리고 있다. 그렇다면 연예인들이 그렇게 된 데는 상품가치를 만들려는 기획사들 때문인가, 아니면 그 모든 것을 요구하는 상품구매자 즉 팬들 때문인가.

이것은 사실 어느 쪽의 문제가 아니라 연예인이라는 특정직업인을 사이에 두고 이루어지는 기획사와 상품구매자들 간에 공조에서 비롯된다. 한 패널이 말한 것처럼 “기획사의 역할은 라디오 스타의 안성기 역할”처럼 낭만적이지 않다. 기획사의 존재이유는 대중의 입맛에 맞는 연예인이라는 상품 개발과 그 개발된 상품을 활용한 이윤 창출에 있다. 물론 여기에는 이미지 관리 같은 연예인의 관리 부분이 들어가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상품으로서의 이미지 관리다.

어찌 보면 연예인의 길로 들어서는 그 순간부터 본인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상품화할 각오를 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그 상품화되는 것이 물건이 아닌 사람이라는 것이다. 최불암씨는 “상품화되는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사명감이나 본분 같은 걸 가져야 한다”고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연예인을 연예 상품이 아닌 한 사람으로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상품이미지로서의 관리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고통받는 한 사람으로서의 관리도 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 관리 주체가 기획사가 되든 스타 스스로가 되든, 사람으로서의 관리가 이루이지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상품의 종말로 이어질 수 있다.

영화평론가이자 심리학자인 심영섭씨는 ‘우울증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한다. 즉 연예인들이 마음놓고 상담을 할 수 있는 창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는 이 우울증이라는 정신질환을 우리네 대중들이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것이다. 이것은 정신질환자를 괴물 보듯 하는, 그래서 정신병원을 출입하는 것을 절대로 숨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와도 맞닿아 있다. 아마도 연예인들이 우울증 상담을 선뜻 하기 어려운 것은 바로 이런 점들 때문일 것이다.

연예인 자살에 대해 다뤄진 ‘100분 토론’에서 드러나지 않게 논의된 것은 바로 상품으로서의 연예인과 인간으로서의 연예인 사이에 벌어진 대립이다. 자에 더 많은 방점이 찍혀지길 기대하며, 상대적으로 더 빈발하는 우울증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연예인들이 나오길 기대한다. 어쩌면 연예인들의 이런 적극적인 모습이 우울증에 대한 우리의 편견을 깨줄 수도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