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한류가 들뜬 사이, 일류는 어떻게?

728x90

한류의 위기, 일류의 도전, 그 이유

우리가 물건을 팔면, 돈은 일본이 벌어간다는 말이 있다. 과거 제품 생산에 있어서 부품을 국산화하지 못하고 일본에서 거의 수입해 조립하면서 벌어졌던 상황이다. 그런데 이런 상황은 지금 우리네 문화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한 양상을 떠올리게 한다.

1998년 “일본 대중문화 개방에 두려움 없이 임하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지시로 시작된 일본 대중문화 개방 이래 부지불식간에 들어온 일본 문화들은 이제 우리 문화 저변 속으로 폭넓게 퍼져가고 있다. 오래 전부터 복제되어 유통되며 저변을 넓혀온 일본 만화에서부터, 대학생들의 가벼운 읽기 수요를 채워주고 있는 일본소설, 일드로 대변되는 일본 드라마는 ‘가랑비에 옷 젖듯’ 조금씩 우리 사회 속으로 파고들었다.

이것들이 수면 위에 올라온 우리 문화 속의 일본 문화라면, 일본영화들은 수면 아래서 한류로 대변되는 우리 문화의 근간을 뒤흔드는 요인이다. 2001년 1천만 달러 정도에 머물던 우리 영화의 수출 성적표는 2005년 7천6백만 달러에 이르렀다. 한류의 영향이었다. 그런데 이 2005년 빛나는 성적표를 만들어준 나라는 다름 아닌 일본. 2005년 일본에서 벌어들인 것만 6천만 달러에 이르러 전체 수입의 약 80%를 차지했다.

하지만 이것은 지금 한류 위기의 주범이 되었다. 2006년 일본으로부터 거둬들인 수입이 6분의 1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한류 열기가 급격히 냉각되기 시작한 것. 이유는 여러 가지지만 중론은 하나다. 한류열기로 상품에 대한 기대감은 점점 높아지는 반면, 양산된 작품들은 그들의 기대를 맞춰주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본에서 성공한 작품들의 면면을 보면 ‘쉬리’, ‘실미도’, ‘태극기 휘날리며’ 같은 일본인들이 민감할 수밖에 없는 남북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빼면 대부분, ‘스캔들’, ‘달콤한 인생’, ‘내 머릿속의 지우개’, ‘외출’ 같은 한류스타들이 포진한 작품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작품들의 거품은 차츰 빠지게 됐고 ‘야수’, ‘태풍’. ‘연리지’. ‘형사’ 같은 작품들이 연이어 고배를 마셨다.

한류의 원래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드라마의 경우에는 ‘겨울연가’와 ‘대장금’이후 ‘풀하우스’ 정도를 빼고는 그다지 한류로서 주목할만한 작품들이 보이지 않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국내에도 일드에 대한 폭발적인 관심이 늘고 있어, 일드와 한드(한국 드라마)의 상황이 역전되는 것 아니냐는 조심스런 예견들이 나오고 있다.

생각해봐야 할 것은 한류의 언저리에서 천천히 고개를 들고 있는 일류가 가진 득의의 미소이다. 한류가 일본에서 인기를 끈 것은 일본 드라마에는 이제 찾아보기 힘든 순애보 같은 향수 섞인 전통적인 이야기 소재가 직설어법으로 일본 시청자들의 마음을 움직인 덕이다. 즉 한류의 인기는 거꾸로 말해 당시 일본 드라마나 영화계가 매너리즘에 봉착하고 있었다는 말도 된다.

어찌 보면 한류는 일본의 침체되어 있는 시장을 일깨운 공이 크다. 현재 한류가 몇몇 스타들에만 의지해 기대에 못 미치는 작품들을 만들어내는 와중에, 일본영화가 그 공백의 대부분을 대체하는 상황이 그걸 말해준다. 한편 한류라는 전 세계 마켓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포장을 뜯어보면 어김없이 등장하는 ‘일본 부품들(일본 만화, 소설 같은 원작들)’은 한류의 이면에서 일류가 얻어간 이득의 실체를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보면 한류에 들뜬 상황에서 일류는 두 가지를 얻은 셈이다. 대내적으로는‘겨울연가’ 열풍 같은 자국의 새로운 시장을 발견했고, 대외적으로는 한류라는 흐름에 자연스럽게 자국의 문화 부품들을 띄워 세계 시장을 두드린 격이 됐다. 여기에 국내에서 불고 있는 일드 같은 일본 문화에 대해 갖게 된 호감은 덤이다. 아직 국내에 개봉된 일본영화들의 성적표는 좋지 않지만, 전보다 몇 배나 많이 일본영화들이 상영관이 걸리는 것은 앞으로도 그 성과가 미미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없게 만든다.

한류든 일류든 그것을 과거와 같은 한일전의 양상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일본의 것이든 중국의 것이든 이젠 작품의 질이 국가의 차원을 넘어 개인에게 직접 소구하는 상황이니 말이다. 하지만 지금처럼 위기론이 대두되는 상황을 외부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볼 필요는 있다. 그것이 샴페인 일찍 터트리고 실익은 주변에서 다 채가는 상황을 막는 길이며, 그것만이 좀더 좋은 우리네 작품들이 나올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길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