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무한걸스', '무한도전'이 될 수 없다면 본문

옛글들/명랑TV

'무한걸스', '무한도전'이 될 수 없다면

D.H.Jung 2012. 6. 19. 14:56
728x90

<무걸>이 살 길과 <무도>에 대한 예의

 

<무한걸스>의 지상파 입성은 과연 약일까, 독일까. 첫 방송에 쏟아지는 반응들은 <무한걸스>가 앞으로 갈 길이 평탄치 만을 않을 거라는 걸 예상케 한다. 호평과 혹평이 갈라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그것은 그 이면에 <무한도전>이라는 거대한 예능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기 때문이다.

 

 

'무한걸스'(사진출처:MBC)

<무한도전>을 무려 20주 동안 보지 못한 팬이라면 <무한상사>를 그대로 패러디한 <무한걸스>의 첫 방송인 <무걸출판사>가 반가웠을 수 있다. 즉 <무걸출판사>를 보면서 <무한도전>의 공백을 잠시나마 채울 수도 있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제 아무리 내놓고 패러디하는 것이라고 해도 <무한걸스>가 <무한도전>이 될 수는 없다. 그러니 또한 실망할 수밖에.

 

<무한걸스>는 <무한도전>의 여성판으로 기획된 전형적인 케이블형 프로그램이다. 즉 <무한걸스> 독자적으로 서 있다기보다는 본래 <무한도전>의 패러디 성격이 짙기 때문에 지상파, 그것도 주말 저녁이라는 황금시간대에는 어울리기가 어렵다. 어디서 본 듯한 아이템들을 여성판이라는 미명 하에 반복 생산하는 것을 경쟁이 치열한 주말 저녁에 굳이 챙겨볼 시청자가 얼마나 있겠는가.

 

케이블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무한도전>의 팬들이라면 자연스럽게 <무한걸스> 역시 <무한도전>의 곁가지로서 즐길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무한걸스>를 보면서 우리는 <무한도전>을 늘 떠올린다. 이것은 <무한걸스>가 가진 가장 큰 힘이지만, 또한 가장 약한 단점이기도 하다. <무한걸스>는 <무한도전>을 업고 있을 때 도드라지지만, 홀로 서야할 때는 초라해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무한도전>은 내용 그 자체보다도 그 매번 시도되는 소재나 형식 실험에 더 열광하는 프로그램이 아닌가. <무한걸스>의 첫 아이템이 <무한도전> 패러디라는 것은 그래서 어쩌면 이 프로그램이 가진 성격을 가장 잘 드러낸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새로운 도전이나 실험이 아니라, 이미 <무한도전>이 시도했던 것들을 가져와 여성의 관점에서 재해석하는 것. <무한도전>을 비교점으로 가진 팬들에게 지상파 프라임타임대에 들어온 <무한걸스>가 좋게 보일 리가 만무하다.

 

<무한걸스>가 지상파에 발을 딛는 그 시기도 좋지 않았다. <무한걸스>가 <무한도전> 20주 결방으로 인한 팬들의 갈증을 채워주기보다는 마치 빈 자리에 들어와 주인행세를 하는 듯한 인상을 만든 것. 물론 <무한걸스>의 제작진이나 출연진에게 그런 의도가 있을 리 없다. 하지만 편성이란 그 자체로 때론 모든 이야기를 해주기도 하는 법이다.

 

기왕에 <무한걸스>가 지상파에 들어오겠다고 했다면 더 도전적인 모습을 보일 필요가 있었다. <무한도전>이 시도하지 않았던 아이템들을 갖고 와 마치 짝퉁이 진짜를 넘어서겠다는 자세를 보였다면 오히려 흥미로웠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케이블에서 보여주었던 <무한걸스>를 싹 잊게 만드는 좀 더 과감하고 도전적인 면모가 필요하지 않았을까.

 

현재 <무한걸스>는 두 가지 시선에 붙잡혀 있다. 하나는 <무한도전>의 공백이 주는 갈증을 채워줄 수 있다는 시선이고 다른 하나는 새로운 것도 없이 대충 따라하면서 <무한도전>의 빈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시선이다. 그러나 이 두 시선 어느 것도 <무한걸스>에는 도움이 되지 못한다. <무한걸스>는 좀더 <무한걸스>만의 세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무한도전>에서 빠져나온 프로그램이지만 그렇다고 <무한도전>을 염두에 둘 필요는 없다. 본래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이 '도전'이라는 하나의 주제만 같을 뿐, 매번 거의 완전히 다른 형식들을 실험하는 프로그램이 아닌가. 그렇다면 <무한도전>을 제대로 여성판으로 만들어내는 입장에서도 지상파에 입성한 <무한걸스>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독자적인 형식과 소재의 실험에 도전해야 한다. 그것이 <무한걸스>가 살 길이고, 또한 <무한도전>에 대한 예의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