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진화하는 <고쇼>, 그 중심의 고현정 본문

옛글들/명랑TV

진화하는 <고쇼>, 그 중심의 고현정

D.H.Jung 2012. 7. 29. 08:34
728x90

<고쇼>, 싸이가 들려준 ‘쇼 머스트 고 온’

 

“관객분들이 춤을 추시면서 울더라구요.” <고쇼>에 출연한 싸이는 엄지발톱이 빠지는 부상을 입은 채 강행했던 쇼의 에피소드를 들려주었다. 관객들에게 그 사실을 알리고는 호응해주는 “여러분이 진통제”라고 선언한 싸이는 그렇게 한참을 관객과 하나 되어 쇼를 하면서 진짜 통증이 사라지는 경험을 했다고 한다. 그래서 “진짜 안 아프다”고 외쳤을 때 관객들이 눈물을 흘렸다는 것이다. 이것은 완벽한 공감의 힘이 만들어내는 기적이다.

 

'고쇼'(사진출처:SBS)

함께 나온 박칼린은 싸이의 에피소드에 더해 자신의 경험담을 들려주었다. 지휘를 하다가 너무 힘들어 쓰러졌는데, 누워서도 지휘를 했다는 것. 그리고 잠시 인터미션이 있은 후 언제 그랬냐 싶게 다시 벌떡 일어나 지휘를 하더라고 했다. 또 <명성황후>를 맡았을 때 유독 많았던 단원들의 사건사고들을 얘기하면서 “그런데 관객들은 그런 거 하나도 신경 안 쓰거든요”라는 말로 아무리 힘겨운 상황에서도 왜 쇼는 계속되어야 하는가(Show must go on)에 대해 이야기해주었다.

 

싸이는 처음 데뷔하던 시절의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범상치 않은(?) 비주얼 때문에 고민하는 윗분들에게 싸이는 자신이 갖고 있는 끼를 보여주려 안간힘을 썼다는 것이다. 그는 그들이 가는 주점에까지 따라가 자신의 주체할 수 없는 끼를 노래와 춤으로 보여주었다고 했다. 사실 가수로서는 독특한 외모를 가진 그가 어떻게 그 불리한 조건들을 뒤집었던가를 잘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사실 <고쇼>가 시작할 때 고현정은 이 프로그램에서 주목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것이 그만한 부담으로 다가갔을 거라는 건 누구나 알 수 있는 일이다. 예능 출연이 사실상 처음인데다, 그것도 자신의 이름을 건 쇼라는 중압감이 그녀를 얼마나 짓눌렀겠는가. 고현정은 초반 이 대중들에 의해 집중되는 시선을 견디기가 어려웠다. 사실 이건 웬만한 프로 예능인들도 이겨내기 어려운 일이다.

 

리액션은 과장되게 보였고, 때로는 너무 과도하게 쇼를 만들려는 욕구가 앞서기도 했다. 자신을 너무 드러내려 하자 게스트가 잘 안 보이는 결과도 만들었다. 시청자들의 반응도 영 좋지 않았다. “왜 예능을 하겠다고 해서 이 고생인지 모르겠다”는 한탄이 나올 법 했다. 옆으로 서 있을 때는 그 자체로 반짝반짝 빛나던 그녀가 중심에 서니 모든 기대를 짊어져야 하는 상황에 이른 것이었다.

 

사실 자신의 이름을 내건 토크쇼를 한다는 것은 그만큼 부담 가는 일이다. 진행의 신이라는 유재석도 선뜻 자신의 이름을 건 토크쇼를 하지 않는 이유가 있다. 그것은 토크쇼는 기본적으로 초대받는 게스트에 집중시켜야 성공할 수 있는데, 자신이 과도하게 부각된 토크쇼 형식 자체가 이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금만 못해도 비난을 혼자 다 받을 수밖에 없고, 잘 해서 게스트를 부각시킨다고 해도 자신의 공은 그다지 티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고현정은 최근 들어 초반보다 확실히 <고쇼>에 적응하고 있다. 먼저 자신에게 주목되는 과도한 시선을 떨쳐낸 것이 주효했다. 윤종신이 거의 전면에서 이끌고 고현정은 자신의 위치에서 자기만의 개성을 드러내는 질문들(때론 직설적으로)을 툭툭 던지는 식이다. 박칼린에게 “저는 뮤지컬 그거 간지러워서 못 보겠다”는 식의 과감한 질문도 그녀 특유의 솔직함이 덧붙여지면 그다지 부담스럽지 않게 느껴진다. 게다가 누군가 나이나 과거 외모에 대해 언급하면 스스럼없이 공격을 받아주는 여유까지 보여준다.

 

이렇게 된 것은 고현정이 첫 예능이라는 여러모로 힘겨운 상황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조금씩 자신의 위치를 찾아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싸이와 박칼린이 들려준 ‘쇼 머스트 고 온’의 에피소드가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고쇼>를 하면서 차츰 성장하고 있는 고현정의 이야기처럼 여겨진 것은 그 때문일 게다. <고쇼>. 이제 이 쇼는 ‘고현정 쇼’라는 부담스러운 외형을 벗고 ‘쇼 머스트 고 온’의 의미를 담은 <고쇼, Go show>로 진화하고 있는 인상이다. 물론 그 중심에는 여전히 고현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