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나가수2', 어쩌다 뭘 해도 욕먹게 됐을까 본문

옛글들/명랑TV

'나가수2', 어쩌다 뭘 해도 욕먹게 됐을까

D.H.Jung 2012. 8. 12. 09:16
728x90

<나가수2>의 추락, MBC에 시사하는 것

 

<나가수2>는 새로운 가수를 오디션으로 뽑겠다는 이른바 ‘새 가수 선발전’으로 또 논란을 겪었다. 9월의 새 가수를 뽑기 위해 정규앨범 및 싱글을 한 장 이상 발매한 가수를 대상으로 오디션을 보겠다는 것. 이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가수들에게서 볼 멘 소리가 나올 법 하다. 이것은 사실상 <나가수>의 무대를 이제 어느 누구에게나 오픈하겠다는 얘기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나가수'(사진출처:MBC)

섭외가 어려워 선택한 고육책이라는 추측들이 나왔지만 여기에 대해서 김영희 PD는 기자간담회를 통해 “의도와 달리 잘못 해석된 부분”이라고 일축했다. 오히려 <나가수2>에 출연하려는 너무 많은 가수들이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이 무대에 한 번이라도 설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 했다는 것이 ‘새 가수 선발전’의 진짜 의도라고 했다. 김영희 PD는 이미 9월에 들어올 가수 두 명 중 한 명과 10월에 들어올 가수들도 섭외가 끝난 상태라 ‘새 가수 선발전’은 1회성 이벤트에 그칠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다지 인지도가 없는 가수가 오디션을 통과해 <나가수> 무대에 오르게 되면 기존 가수들이 갖고 있는 권위는 사라질 수밖에 없다. 여기서 그 가수가 1등이라도 해버리면 더 곤혹스러워진다. 노래에서 순위라는 게 뭐 그리 변별력이 있을 것인가 하겠지만 당하는 입장에서는 그 순위에 일희일비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건 가수들의 얘기다. 가수들은 반발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하다. 왜 대중들 역시 <나가수2>의 이 선택을 탐탁지 않게 여기는 걸까. 이것은 대중들이 원하던 것이 아니었던가. 말 그대로 계급장 떼고 대중들을 감동시킬 수 있는 실력 있는 이들이 그 무대에 오르는 것.

 

<나가수2>가 시작됐을 때 대중들이 비판한 것은 그 무대가 지나치게 신격화되는 것이었다. ‘신들의 무대’니 ‘신들의 축제’니 하면서 특정한 자격을 갖춘 이들만이 그 무대에 오를 수 있다고 선을 긋고 특권의식을 부여하는 행위가 어딘지 현재의 대중정서와 맞지 않아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종종 <불후의 명곡2>와 비교하면서 위 아래 구분 없이 누구나 원하면 열려있는 그런 무대를 요구하기도 했다. 그래서 투입된 가수들이 국카스텐이고 소향이다. 실제로 이들에 대한 반응은 뜨거웠다. 이들은 등장하자마자 쟁쟁한 가수들을 물리치고 1위에 올랐다.

 

사실 이미 국카스텐과 소향이 <나가수2> 무대에 오르면서부터 이 무대가 가진 특권의식은 벗어던진 것이나 마찬가지다. 무대가 반복되면서 대중들의 관심은 이렇게 어딘지 새로운 가수들에게만 집중되었다. 김건모나 이영현, 박상민, 김연우 같은 가수들이 노래 잘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여러 번 반복 출연하면서 다소 참신함이 떨어지게 된 것도 사실이다. <나가수2>가 어려운 것은 매회 새로운 느낌이 부족하다는 것인데, 이것은 새로운 가수가 너무 적고 같은 가수들은 너무 많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나가수2>가 이 식상해지는 패턴을 벗어나려면 결국 참신한 새 가수들이 더 많아져야 한다. 현재처럼 ‘고인 물’의 인상을 준다면 연말에 벌어질 ‘올해의 가수전’은 찻잔 속의 폭풍에 머물 수도 있다. <나가수2>는 확실히 너무 닫혀 있다. 열린 구조가 아니라면 진정한 가왕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것은 결국 현재 <나가수2>에 살아남아 있는 가수들에게도 좋은 것이 아니다. 이것을 위해서는 더 과감하게 <나가수> 무대가 가졌던 그 특유의 권위의식이나 메리트 같은 것은 버리는 편이 낫다. 이미 그들끼리만 ‘신들의 무대’가 되어버린 <나가수2>가 대중들과 함께 호흡하면서 진정한 ‘신들의 무대’로 부활하려면 그들도 신들의 권위를 버리고 대중들의 눈높이로 내려와야 한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새 가수 선발전’이라는 카드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이다. 권위를 내려놓겠다는 선언과도 같은 이 카드에 대해서 대중들은 그렇게 되면 “아무나 오를 수 있는 무대”가 되어버린다는 우려 섞인 비판을 쏟아냈다. 이것은 <나가수> 무대에 대한 대중들의 이중적 시선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나가수1>이 보여주었던 그 ‘신들의 무대’에 대한 강한 여운이 남아있는 반면, 이제 ‘신들의 무대’가 되지 못하는 <나가수2>에 대한 변화에 대한 욕구도 있다는 얘기다. 도대체 어느 장단에 맞춰 춤을 춰야 할 것인가.

 

물론 그 내용들이 이중적이라고 하더라도 비판이나 요구는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나가수>에 대한 비판들은 이제 뭘 해도 나오는 그런 상황인 것 같다. 어쩌다 <나가수>가 이런 지경에까지 이르렀을까. 김영희 PD는 <나가수2>의 시청률이 낮은 것에 대해 “파업의 여파”로 떨어지게 된 완성도와 서바이벌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낮아진 것을 이유로 들었다. 정확한 지적이다. 하지만 그것뿐일까.

 

가장 큰 것은 MBC라는 방송사 자체에 대한 대중정서가 좋지 못하다는 점이 아닐까. MBC는 사실 최근 들어 뭘 해도 욕을 먹는 방송사가 되었다. 올림픽 방송에 잇따라 쏟아져 나온 논란들은 대중정서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가를 잘 말해준다. 이것은 프로그램에도 그대로 영향을 주기 마련이다. 제 아무리 좋게 잘 만든 프로그램이라고 해도 정서적으로 좋게 보이지 않으면 정반대의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물론 <나가수2>는 김영희 PD의 말대로 파업 여파 때문에 완성도가 떨어졌고, 그 후에 프로그램 운용에 있어서도 원활하지 못했던 점이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MBC에 대한 대중들의 생각이 예전 같지 못하다는 점이다. 이게 바뀌지 않는 한, <나가수2>가 어떤 포맷의 변화를 시도한다고 해도 대중들에게 받아들여지기보다는 논란과 비판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다. 프로그램의 실수는 있을 수 있고 또 고치면 되는 것이지만, 방송사에 대한 이미지는 좀체 바뀌기가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나가수2>의 문제는 어쩌면 MBC가 처한 진짜 중대한 문제를 보여주는 것일 수 있다. <무한도전>이 MBC에 있다는 것이 더 이상 자랑거리가 아니라 불쌍하다고 여기는 작금의 대중정서. 이것이 바뀌지 않는다면 백약이 무효일 수 있다. 질을 떠나서 그 어떤 프로그램이든 지지받지 못하는 방송사가 과연 방송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