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유재석 토크쇼의 위기, 어디서 왔나 본문

옛글들/명랑TV

유재석 토크쇼의 위기, 어디서 왔나

D.H.Jung 2012. 9. 7. 09:45
728x90

<놀러와>와 <해투>, 그 위기의 원인은

 

유재석의 MC로서의 최대 강점은 게스트들의 캐릭터를 뽑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예능에 있어서는 거의 무명에 가까운 배우들이나 가수들조차 유재석이 캐릭터로 발굴한 예는 부지기수다. <해피투게더>의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된 박미선은 대표적인 사례다.

 

'놀러와'(사진출처:MBC)

자신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고 오히려 게스트들을 앞으로 끌어내는 그의 토크 방식은 그래서 그를 배려의 아이콘으로 만들었다. 이런 특성은 그대로 토크쇼에 묻어났다. <놀러와>와 <해피투게더>는 약간의 형식적인 차이들이 존재하지만 유재석의 이런 특징이 깔려있다는 점에서 그 토크쇼의 본질은 유사하다. 모두 게스트를 편안하게 해주고 부각시켜주는 ‘긍정의 토크쇼’인 셈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이른바 유재석 토크쇼가 흔들리고 있다. <놀러와>는 최근 400회 특집(사실 400회라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다!)을 보여줬지만 시청률은 고작 4%에 머물렀다. 한 때 20%에 육박하던 <놀러와>로서는 위기가 아닐 수 없다. <해피투게더>는 그래도 나은 편이다. 조기에 <개그콘서트>의 개그맨들을 투입, 좀 더 공격적인 토크방식을 부여함으로써 어떤 변신을 하려 노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생각만큼 그 효과가 두드러지는 건 아니다. 물론 12% 정도의 시청률을 유지하지만 요즘 토크쇼는 시청률보다 중요한 게 화제성이다. 화제성에 있어서 <해피투게더>는 최근 들어 과거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이런 유재석 토크쇼의 위기상황을 불러왔을까. 먼저 달라진 대중들의 기호를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들어 토크쇼는 ‘넓이’보다는 ‘깊이’에 천착하는 경향이 생겼다. 즉 버라이어티한 면보다는 한두 사람이 나와도 그 사람과의 깊이 있는 대화에 더 집중하게 된 것. <힐링캠프>의 성공은 이 ‘깊이’있는 토크쇼의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한때는 기세등등했던 <강심장>이 <승승장구>에게 밀리고 있는 것도 비슷한 이유 때문이고 <라디오스타>가 홀로 잘 버티고 있는 <황금어장>에 <무릎팍도사>의 빈자리가 여전한 것도 그 때문이다. 수박 겉핥기식의 가벼운 웃음과 재미보다는 차라리 마음을 울리는 이야기에 더 몰입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토크쇼에 대한 대중들의 기대가 달라지게 된 것은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그만큼 대중들은 각박한 현실 속에서 ‘위안’을 찾고 있다는 얘기다. 이것은 최근 서점가에 불고 있는 ‘위로형 에세이’들의 열풍과도 무관하지 않다. 가벼운 웃음으로 잠시 동안 현실을 벗어나는 것만으로는 현실의 무게가 너무 크다는 방증이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라고 깊게 말해주는 그 위로와 공감을 대중들은 더 원하고 있다.

 

물론 유재석 토크쇼가 위로와 공감을 주지 않는다는 얘기는 아니다. 다만 그 화법이 대화보다는 ‘버라이어티’에 더 가깝고, 깊이보다는 넓이에 더 가깝다 보니 토크쇼의 느낌도 그렇게 대중들에게 인식되는 것뿐이다. 그렇다면 이런 변화를 모를 리 없는 제작진들은 왜 토크쇼를 ‘넓이’에서 ‘깊이’로 전환시키려 하지 않는 것일까. 여기에는 유재석이 가진 유일한 한계점이 숨겨져 있다.

 

유재석은 배려의 아이콘이고 캐릭터 발굴의 달인이지만 그에게도 부족한 점이 있다. 그것은 게스트를 때론 쿡쿡 찌름으로써 그 안에 숨겨진 ‘깊이’를 끄집어내는 토크에 약하다는 점이다. 사실상 유재석 토크쇼의 이런 부분은 다른 MC들이 맡기 마련이다. <해피투게더>의 박명수가 그렇고, <놀러와>의 이하늘(지금은 빠졌지만)이나 김나영이 그런 역할을 하는 MC들이다.

 

깊이는 주고받는 데서 나올 수밖에 없다. 상대방의 마음 속 깊이 들어가려면 그걸 끄집어낼 수 있는 과감한 질문이 필요하다. 이것은 또한 자신의 속내를 먼저 드러내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유재석은 그런 점에서 그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는 MC다. 그것은 늘 남을 배려하고 자신을 낮추는 오랜 습관에서 비롯된 것일 게다. 하지만 이 좋은 습관은 현재의 달라진 화법 속에서 약점이 되기도 한다. 유재석처럼 진행의 달인이 본인의 이름을 딴 1인 토크쇼를 갖지 못한 것도 어쩌면 이런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는 장점이자 약점 때문이 아닐까.

 

물론 <놀러와>나 <해피투게더>는 좋은 프로그램이다. 거기에는 유재석만이 가진 배려의 화법이 오래도록 배어있었다. 그러니 그 오랜 세월동안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일 게다. 하지만 현재의 상황은 유재석 토크쇼에 새로운 도전을 요구한다. 물론 그렇다고 유재석이 강호동이 될 수도 없고 김구라가 될 수도 없을 것이며 그렇게 되도 안될 것이다. 유재석만이 가진 자신만의 진솔한 대화법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점점 나이를 먹어가는, 그래서 어떤 시점에는 토크쇼가 진정 어울리게 될 유재석이 앞으로도 더 오랫동안 대중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이 되기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