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을 비웃는 본능, ‘향수’
영화의 첫 장면. 감옥, 그림자처럼 어둠 속에 서 있는 그르누이(벤 위쇼)가 앞으로 나온다. 그러자 코 하나만 달랑 빛 속으로 튀어나온다. 어둠의 섬 위로 떠오른 그르누이의 코. 이 간단한 장면 하나는 그러나 영화 전체의 이야기를 모두 압축하는 힘을 갖고 있다. 거기에는 이 영화가 다루려 하는 후각과 시각, 어둠과 빛, 이성과 본능에 대한 상징이 숨겨져 있다.
어둠과 빛이 의미하는 것
그것은 영화가 앞으로 다룰 이야기가 바로 코, 후각에 대한 것이라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먼저 봐야 할 것은 이 첫 장면에서 보이는 어둠과 빛의 대비다. 어둠 속에 없는 듯 서 있는 그르누이는 영화 전체에서 드러나듯 그림자 같은 존재. 늘 거기 있지만 없는 것으로 치부되는 어떤 존재다. 그것은 그가 세상의 모든 향기를 맡을 수 있지만 자신의 체취가 없다는 캐릭터의 설정으로 나타난다. 그는 늘 어둠 속에 숨어 빛의 세계 속에 놓여진 사람들에게 손길을 뻗는다.
처음 매혹적인 향기의 세계로 끌어들인 한 여인에게 다가가는 장면에서도, 로라(레이첼 허드우드)의 집 미로 같은 정원에서도, 그는 어둠 속에서 빛을 본다. 자신과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그들은 자신에게는 없는 체취를 가진 존재들. 그는 바로 그 체취를 자신도 가지려 한다. 영화는 바로 이 어둠과 빛의 상치를 통해 어둠의 세계를 빛으로 덮어 마치 없는 것처럼 생각하는 인간의 허위의식을 고발한다. 그것은 후각이 가진 특성이기도 하다. 눈에 보이진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후각을 시각화한다는 도전
‘향수’라는 제목의 영화 속, 그르누이라는 괴물의 탄생이 악취가 진동하는 생선시장이라는 건 아이러니한 진실을 보여준다. 그것은 향수의 존재이유를 드러낸다. 즉 악취 나는 인간이란 진실을 덮어버리는 어떤 것이다. 그 속에서 그르누이가 처음 목도하는 현실은 후각으로 집약된다. 그 머리가 어질어질할 정도의 악취가 버려진 자신의 현실과 조우하면서 그는 시대의 잔인한 진실을 목격하게 된다.
그리고 그가 살아내는 현실은 바로 그 악취 속이다. 그는 철저히 그림자로 어둠 속에서 악취에 쌓여 살아간다. 그러다 문득 알게된 매혹적인 향기를 그는 수집하려 한다. 그는 사람들을 매혹시키는 그 향기의 원천이 사람들이 생각하듯 꽃과 같은 낭만적인 이미지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다. 향기를 모으기 위해서는 결국 그 향기를 갖고 있는 대상을 죽여야 가능한 것. 매혹적인 향기라는 빛의 이면에는 살인이라는 그림자가 따라붙는다. 그르누이는 바로 그것을 현시해보이고 싶은 욕망에 사로잡힌다.
후각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영화는 대단한 도전이었을 것임에 틀림없다. 후각의 시각화.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영화는 먼저 강렬한 악취의 그림들을 연속적으로 내보내 먼저 시각을 후각화한다. 그리고 이것이 익숙해질 즈음, 향기가 가져오는 이미지를 환상으로 엮어낸다. 어느 순간, 우리들은 그르누이의 눈을 감고 숨을 들이마시는 장면 하나 만으로도 이미지와 뒤섞인 후각적인 자극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생각해봐야할 것. 왜 작가는 다른 감각도 아닌 후각을 소재로 선택했던 것일까.
본능에 무릎꿇는 이성
그것은 후각이 그만큼 우리 감각에서 억압된 구석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른 감각기관과 달리 좀더 직접적으로 뇌와 만난다. 우리는 어떤 냄새 하나에서 수만 가지 기억을 떠올릴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후각이 노리는 것은 뇌가 가진 이성이라는 능력이다. 이성은 과연 후각으로 촉발되는 본능적 기억을 이겨낼 수 있을 것인가. 이 영화는 결국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명제를 뒤집는다.
이성이 모든 것을 해결해줄거라 믿었지만 전쟁과 참화가 끊이질 않는 20세기(당시 책이 출간되던)를 비웃기 위해 쥐스킨트는 그르누이라는 괴물을 만들어낸 것이다. 즉 이성은 빛이고 또한 시각으로 구현되는 세계이며, 반면 본능은 그 빛에 의해 억압된 어둠이며 후각으로 구현되는 세계다. 여기서 그르누이와 대결점에 있는 로라의 아버지인 안토인 리치스(알란 릭맨)는 바로 그 빛과 이성을 대변하는 캐릭터다. 그는 자신의 딸을 보호하기 위해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추리하며 행동한다. 그러나 결과는 딸의 죽음. 딸이 죽어있는 방으로 들어가는 장면에서 안토인의 눈을 순간적으로 찌르는 것은 바로 그가 믿었던 빛이다.
그는 붙잡힌 그르누이에게 고문을 가하며 묻는다. “도대체 왜 그랬나?” 이것은 이성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그르누이의 행동에 대해 어떤 답변을 듣기 위함이다. 그러나 그르누이의 답은 “그녀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안토인이 원하던 이성적인 답변이 아니다. 그르누이라는 괴물에 대한 처결은 잔인한 고문 후 사형이라는 이성보다는 감정과 본능이 앞선 해결책이다. 그래서 마지막 군중들을 향기로 취하게 만들어 광기에 빠뜨리는 충격적인 장면은 하나의 퍼포먼스가 된다. 그것은 안토인이 자신의 딸을 살해한 자에게 “아들아 미안하다”고 하는 것처럼 이성의 굴복을 의미한다.
통쾌한 그르누이의 퍼포먼스
영화의 첫 장면으로 다시 돌아가서 그루누이가 개처럼 사슬에 매인 채 끌려나가는 장면을 보면, 군중들의 “죽이라!”는 고함소리 속에서 한 수문장의 흥분된 얼굴이 잠깐 스쳐지나간다. 그리고 곧이어 군중들 앞에 세워진 그루누이에게 판결문이 읽혀진다. 그것은 형식을 갖춘 글귀이지만 그 내용은 전혀 이성적이지 않다. “절대로 한번에 죽이는 일 없이...”라는 문구가 그걸 말해준다. 군중들과 판관들은 모두 흥분한 상태이다. 마지막 장면에서도 이것은 마찬가지. 사형대 위에 올라선 그르누이를 중심으로 모든 군중들은 잔뜩 흥분해있다. 그 앞 뒤 장면에서 유일하게 이성적으로 서 있는 인물은 바로 그르누이다. 그는 그 자리에 서서 이성에 대한 통렬한 조소를 보낸다.
영화에서 통쾌함을 느꼈다면 그것은 바로 이 빛의 허울 속에 가려진 어둠의 실체를 보았다는 말이다. 이성이라는 허울뿐인 잣대를 내세워 정의를 운운하며 결국에는 비이성적인 살인과 전쟁으로 몰아넣는 세계의 비정함을 목격했다는 말이다. 동화적이면서도 세계를 꿰뚫어보는 놀라운 시선과, 기괴하면서도 거기서 보편성을 끌어내는 작품, ‘향수’. 쥐스킨트의 소설을 읽어본 독자라면 어떻게 그 후각의 세계를 영상화했을까만으로도 충분한 의미를 주는 작품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컷의 향기, ‘수’가 남긴 아쉬움 (0) | 2007.03.26 |
---|---|
역사를 꿰뚫는 영화라는 창, ‘300’ (0) | 2007.03.20 |
거미줄 하나로 세상과 맞선 거미, 샬롯 (0) | 2007.02.22 |
한류와 민족주의의 위험한 동거 (0) | 2007.02.18 |
‘그놈 목소리’, 내 일인가 남 일인가 (0) | 200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