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역사를 꿰뚫는 영화라는 창, ‘300’

728x90

퓨전사극, ‘300’의 역사논쟁
영화 ‘300’에 대한 간략한 스포일러. 다가오는 페르시아의 100만 대군 앞에 맞서는 스파르타의 왕 레오니다스(제라드 버틀러). 그들의 숫자는 불과 300명. 팬티 하나에 망토 하나씩 걸친 그들이 가진 것이라곤 창과 방패, 헬멧 그리고 칼이 전부다. 시간적으로는 단 3일이며 공간적으로도 영화는 테르모필레 협곡이라는 천혜의 요새를 벗어나지 않는다. 이것이 ‘300’의 단순한 줄거리다.

그런데 이렇게 줄거리를 다 얘기해도 스포일러가 되지 않는 건, 이 영화가 스토리를 보는 영화가 아니기 때문이다. 아니 오히려 이런 역사적 사실을 각색한 스토리는 하나의 장을 마련해줄 뿐이다. 이 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역사보다는 재미이며, 멋진 대사보다는 그림 같은 액션이고 스토리보다는 근육이다. 그러니 아무리 스토리를 백 번 얘기하고, 역사를 들춰보는 것은 이 영화를 이해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 영화는 봐야 안다. 그것도 꼭 대형스크린으로.

재미가 된 역사, ‘300’
우리에게 ‘주몽’이 있다면, 저들에게는 ‘300’이 있다. 스케일에서도 이야기에서도 전혀 다른 이 두 작품을 한 문장 안에 쓸 수 있는 이유는 단 한 가지다. 둘 다 퓨전사극이라는 것. 퓨전사극, ‘300’에서 역사는 재미가 된다. 실로 수많은 해석을 낳았던 테르모필레 협곡 전투에 대한 장황한 이야기들을, 영화는 영화 속에서 마치 스파르타인들이 이성적이라는 아테네인들을 졸장부나 심지어는 남색가로 불러대는 것처럼 영화 밖으로 밀어낸다. 레오니다스 왕이 페르시아의 사신을 끝을 알 수 없는 우물 같은 어둠 속으로 밀어 넣을 때부터 역사나 해석 따위 역시 그 속으로 밀어 넣어졌다.

그리고 이어지는 것은 살과 살이 부딪치고 뼈와 피가 난무하는 하드코어 폭력의 세계다. 창이 날아갈 때마다 페르시아인들의 몸은 꿰어지고 칼이 날아갈 때마다 두 조각이 나버린다. 피는 비처럼 쏟아지고 때론 꽃처럼 흩날린다. 이것은 하나의 게임을 보는 것 같다. 뇌 속에 있는 자판과 마우스를 움직이면 거기 거대한 모니터 속에서 피칠갑을 한 시체들이 쌓여간다. 헤비메탈 기타 음이 울려대며 전사들의 아드레날린이 과부하되어 호흡이 가빠질 때, 그걸 보는 이들은 캐릭터와 접속되어 함께 숨을 할딱거리게 된다. 역사? 그런 건 불끈불끈 솟아나 있는 300개의 근육들과 왕자 복근들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영화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재미는 ‘300 : 100만’의 대결. 게임에서는 본래 아군은 적을수록 적군은 많을수록 좋다. 그래야 혼자서 해치울 수 있는 적이 많아지는 법이니까.

퓨전이 도를 넘을 때, 시작되는 논쟁
이 역사를 뒷전으로 한 채 스타일리스틱한 재미에 몰두하는 퓨전사극에서 갑자기 역사논쟁이 불거지는 지점은 상상력이 역사적, 혹은 현실적인 한계를 뛰어넘는 순간이다. 1차 전투에서 방패전술(여러 명이 방패를 덧대 하나의 방패처럼 싼 뒤 적을 밀쳐내고 창으로 공격하는 전술)이 스파르타식의 리얼한 전투장면을 끌어온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그 후에 이어지는 괴물 같은 임모탈의 등장은 피 튀기는 전장을 본 뒤 잔뜩 흥분된 관객의 감정적 기반 위에서는 그럴듯할지 몰라도 그 흥분 속에서도 바위처럼 냉철함을 잃지 않는 레오니다스 왕 같은 관객이라면 좀 생뚱맞게 느껴졌을 것이다. 심지어 이 부분에서 사극은 환타지와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 같은 아슬아슬함을 연출한다. 그런데 이런 장면은 우리에게도 익숙한 것들이다. 퓨전사극 ‘주몽’을 통해 보여졌던 환타지 같은 세계가 바로 그것이다. 상상력이 도를 넘어서 불가능을 보여줄 때 논쟁은 불거질 수밖에 없다.

이란에서 이 영화에 대해 서명운동까지 펼쳐진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그들은 영화에서 보이듯이 괴물이 아니니까. 게다가 자신들이 괴물이 된 이유가 레오니다스라는 영웅을 만들기 위한 것이란 점에서는 분노마저 느꼈을 법하다.

영화는 그저 영화일 뿐이라고?
여기에 대한 제작사측의 답변은 ‘영화는 영화일 뿐 다큐멘터리가 아니다’라는 것이다. 이 작품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총괄한 프랭크 밀러의 그래픽 노블을 영화화한 오락영화일 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이다. 프랭크 밀러의 전작, ‘신 시티’를 로드리게즈가 영화화했을 때 그랬던 것처럼, 이 영화의 감독 잭 스나이더도 만화의 장면을 하나하나를 프레임으로 옮겨왔다. 영화적 문법을 무시하고 프랭크 밀러의 작품에 모든 걸 헌사하자 영화는 새로운 형태의 맛을 띄게 되었다. 만화 같은 영화. 하지만 그래서 더 매력적인 영화.

프랭크 밀러는 자신의 작품에 정치적인 담론을 담아내는 작가로 유명하다. 이것은 “코믹스는 현실 밖의 세상을 더 현실화시킨 것”이라는 그의 말에도 나타난다. 그가 테르모필레 협곡 전투를 모티브로 삼았을 때부터 그것은 이미 역사적인 선택을 한 것이다. 특히 이 전투가 갖는 상징성, 예를 들면 ‘동ㆍ서양의 충돌’에서 300명의 스파르타인의 영웅적 전사가 가져온 세계사적 의미 같은 것들에 잔뜩 호들갑을 떠는 서구인들임에야 오죽할 것인가.

그들은 영화는 영화일 뿐이라고 말하지만 정작 이 영화에서 중요한 것은 바로 그 역사적인 전투라는 배경이다. 이 배경은 주어진 것이고 사실 영화가 보여주려는 세계와는 하등 상관없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것이 없다면 이 영화는 말 그대로 ‘폭력의 하드코어’로 불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만일 그게 목적이었다면 애초부터 역사적 배경 따위는 집어치웠어야 옳다.

퓨전사극이 갖는 환타지의 위험
이러한 퓨전사극에 대한 비판에서 우리는 자유로울까. ‘주몽’이란 퓨전사극이 보여주는 역사왜곡, 예를 들면 고구려를 부각하기 위해 부여를 왜곡하는 것 역시 마찬가지일 것이다. ‘주몽’이나 ‘300’에서 드러나듯이 퓨전사극은 그 재미에 있어서 그 어느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 그것은 바로 환타지다. 하늘에게서 나라를 세우기 위해 계시 받은 인물이나, 괴물들 앞에서도 두려움 없이 맞서 이기는 헤라클레스에 대한 환타지는 또한 그것 때문에 치명적인 위험성을 내포한다.

‘300’. 살점과 피의 향연은 아드레날린을 자극하고 그 미학적인 인물의 동선들은 예술적인 차원으로까지 폭력을 끌어올린다. 영화적으로 보면 분명 이 영화는 충분한 미적 가치를 갖고 있다. ‘주몽’의 환타지를 귀엽게까지 느껴지게 만드는 이 영화의 치밀함은 그래서 더욱 무섭다. 환타지를 현실화하기 위해 300인의 연기자들을 지옥훈련 시키고, 의상 하나를 찾기 위해 전 세계를 뒤지며, 하나 하나의 프레임에서 구현해낸 완벽한 CG는 물론이고 병사들의 동선을 리얼하게 찍기 위해 감독조차 병사들 사이에서 구르고 뛰어다니며 만든 이 영화가 그래서 두려워진다. ‘역사가 아닌 영화일 뿐’이라고 하지만 헐리우드가 영화를 통해 세계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