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마의'엔 있고 '신의'엔 없는 것

728x90

이병훈 사극이 인기 있는 이유

 

똑같은 사극과 의학의 만남인데 어째서 이렇게 다를까. <신의>는 타임리프라는 코드를 활용해 공민왕(류덕환) 시절로 들어온 현대의 유은수(김희선)와 최영(이민호) 장군의 이야기를 다룬다. 사극과 의학이라는 두 극성 강한 장르가 만났지만 그 화학반응은 약하게만 느껴진다. 도대체 이유가 뭘까.

 

 

'마의'(사진출처:MBC)

가장 큰 이유는 대중들이 몰입할만한 요소들이 없기 때문이다. 사극과 의학드라마의 극성이 강한 이유는 그것이 드라마에서 극적 대결의 결과로서 인간의 죽음을 다루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건 거기 민초가 있기 때문이다. 사극이 늘 대중들의 관심을 끄는 것은 왕이건 평민이건 노비건 거기 등장하는 인물들이 서민들의 정서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의학드라마도 마찬가지다. 거기에는 아픈 서민들의 힘겨운 일상들이 투영된다.

 

하지만 <신의>에는 그것을 발견하기가 어렵다. 민초들은 거의 등장하지 않고 공민왕과 기철(유오성)의 권력 대결만 첨예화되어 있다. 중심인물인 유은수와 최영 역시 민초들을 향한 소명의식을 보이기보다는 자신들의 사적인 이야기만 보일 뿐이다. 이런 식으로는 작금의 대중들이 이 사극을 볼 이유가 없어진다. 완성도의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신의>가 좀체 시청률이 오르지 않는 이유다.

 

그런 점에서 이제 막 시작한 <마의>는 사극과 의학이라는 두 장르가 가진 힘이 어떻게 발휘되는가를 잘 보여준다. 말을 고쳐주는 수의사가 사극의 제목으로 등장하는 건, 그것이 당대 한의학 속에서 외과의학의 한 부분을 접목시키기 위함이다. 마의에서 어의에까지 오르는 그 성장드라마도 극성을 높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인술이다. 환자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는 그 마음은 의학드라마에 대한 대중정서를 끌어안는다.

 

또한 사극으로서 신분 계급의 차가 분명한 이들이 첫 회부터 그 계급을 넘어선 우정을 보여주는 장면 역시 시청자들을 끌어들이는 요인 중의 하나다. 양반이지만 의원의 길을 선택한 강도준(전노민), 마의에서 의원이 된 이명환(손창민), 그리고 의녀지만 천재적인 의술을 가진 장인주(유선)가 신분과 성별과 가문의 차별을 넘어 우정을 보여주는 모습은 작금의 청춘들의 판타지를 담아낸다. 태생과 상관없이 능력으로 서로를 인정하는 풍경이 주는 감흥이란.

 

이명환이 자신이 살기 위해 강도준을 고변해 죽게 만드는 그 과정은 사극이 다루는 계급적 상황 속에서의 선택과 한계를 보여준다. 그리고 태어나자마자 죽을 운명에 처하게 되는 강도준의 아들은 멀리 비천한 세계 속으로 던져졌다 다시 제 자리로 돌아오는 성장 과정을 보여주게 될 것이다. 이것이 사극이 대중들을 사로잡고 그 정서를 어루만지는 방식이다. 여기에 의학드라마의 장르로서 인술이 덧붙여지니 금상첨화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이런 구도는 우리가 익숙히 이병훈 사극에서 봐왔던 구조다. 대표적인 작품이 <대장금>일 것이다. <대장금>이 수라간 상궁에서 시작해 최고의 의녀로까지 성장하는 과정을 그렸다면, <마의>는 그 남자 버전처럼 보인다. 물론 그 디테일한 이야기는 다르겠지만, 그 정서가 같다는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이병훈 사극이 오래도록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마의>에는 있고 <신의>에는 없는 것. 바로 왜 대중이 그 드라마를 봐야 하는가 하는 이유, 즉 대중정서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