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보고싶다', 사회적 멜로에 빠져드는 이유

728x90

<보고싶다>, 주홍글씨와 상처는 어떻게 치유되는가

 

10cm의 신곡 ‘Fine thank you and you'는 남녀 간의 사랑얘기를 담은 발라드지만 그 가사가 특이하다. ‘너의 얘길 들었어. 너는 벌써 30평에 사는구나. 난 매일 라면만 먹어. 나이를 먹어도 입맛이 안 변해.’ 발라드와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가사지만 이렇게 잘사는 너와 가난한 나 사이의 대비는 ‘I'm fine thank you thank you and you’라는 가사와 엮어지면서 절묘한 정조를 그려낸다. 거기에는 양극화에 대한 이야기가 슬픈 발라드 위에 펼쳐진다.

 

'보고싶다'(사진출처:MBC)

<보고싶다>를 보는 느낌 역시 10cm의 이 노래를 듣는 것처럼 슬프고 아프고 아련하다. 살인자 딸이라는 주홍글씨를 쓰고 이웃과 친구들로부터 손가락질 받고 살아가는 이수연(김소현)에게 어느 날 운명처럼 한정우(여진구)가 나타난다. “살인자 딸 이수연. 우리 친구하자.” 친구라곤 있어본 적이 없는 이수연에게 말을 걸어주고 이름을 불러주고 심지어 친구가 되자고 말하는 한정우. 그는 다시는 이수연을 외면하지 않겠다고 다짐하지만 납치범들에게 잡혀 성폭행까지 당한 이수연을 놔두고 홀로 도망친다. 그리고 그녀는 사라져버린다.

 

14년이 흘렀지만 담벼락에 이수연이 써놓은 ‘보고싶다’는 글자는 한정우에게는 여전히 가슴 한 구석의 생채기처럼 선명하게 남아있다. 그녀를 지키지 못하고 외면했다는 그 상처의 트라우마는 그의 시간을 14년 전에 붙박아 놓는다. 그리고 조이라는 이름으로 과거를 지워버린(지워버리고픈) 이수연이 다시 한정우와 마주친다. 그녀는 갈등한다. 과거에 그토록 절절했던 사랑이지만, 그 시간으로 돌아가자니 깊은 상처의 트라우마가 그녀를 가로막는다.

 

그리고 주홍글씨가 또 반복된다. 출소한 성폭행범이 살해당하면서 그녀가 살인용의자가 되는 것. 과거 살인자 딸이라 손가락질 받을 때 “나 아무도 안 죽여”라고 말했던 것처럼 “나 아냐.”라고 말하는 이수연에게 한정우는 과거 그녀를 이해해주었던 유일한 사람으로 그녀에게 고개를 끄덕여준다. <보고싶다>는 이처럼 한정우와 이수연의 멜로를 전면에 보여주고 있지만 그 바탕에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살인자 딸’이나 ‘성폭행 피해자’가 되어버리는 사회적 주홍글씨와 편견을 깔고 있다. 그 편견과 맞서는 인물로서의 한정우이기 때문에 이수연과의 사랑이 의미 있게 되는 것.

 

만일 10cm의 노래를 사회적 발라드라고 할 수 있다면 <보고싶다>는 사회적 멜로라고 말할 수 있을 게다. 언젠가부터 사적인 멜로 같은 순수 멜로물들이 그다지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반면, 사회적인 문제를 담고 있는 이른바 사회적 멜로가 대중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경희 작가의 종영한 드라마 <착한남자> 역시 이 부류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거기에는 멜로의 바탕으로서 비뚤어진 돈과 권력에 대한 욕망과 사회정의의 문제가 깔려 있다. 착한 남자 강마루(송중기)는 이 사회적 문제들을 멜로를 통해 복수하는 인물로 그려져 있다.

 

어째서 사적인 멜로는 시들해진 반면, 사회적 멜로는 주목받는 것일까. 당연한 얘기지만 작금의 대중정서는 나와는 아무 상관없는 신데렐라 부류의 사적인 멜로를 허용할 만큼 마음의 여유가 남아있지 않다. 게다가 이미 우리네 사랑의 문제 역시 어느새 사회적 시스템 속에 갇히게 된 지 오래다. 잘 사는 이들의 사랑은 가난한 이들의 사랑과 다를 수밖에 없고, 거기에는 태생적으로 모든 게 정해져버리는 이 사회적 시스템의 부조리가 깔려 있다. 또 사회적인 문제들(이를 테면 성폭행이나 사회적 왕따의 문제 같은) 역시 멜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하긴 본래 모든 멜로는 그 안에 기본적으로 사회적 계급의 문제를 담기 마련이다. 남녀의 살아온 삶이 다를 것이고, 그들을 둘러싼 가족이 또 다를 것이니 말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최근 등장하는 이른바 사회적 멜로들은 여기서 한 발 더 나간 듯한 인상이 짙다. <보고싶다>를 더욱 보고 싶게 만드는 요인은 바로 이 절절한 멜로 속에 담겨진 사회적인 메시지들 덕분이다. 그렇지만 발라드를 들으면서도 양극화를 떠올리고, 멜로를 보면서도 사회적 코드를 읽게 되는 이 현실. 참으로 씁쓸한 현실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멜로 같은 장르가 사회를 끌어안는 건 바람직한 일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