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무엇이 서영이를 홀로 서게 만들었나

728x90

<내 딸 서영이>가 관계의 피곤을 넘어서는 법

 

“왜 아버지 하고 싶은 대로만 사랑이라고 하세요?” <내 딸 서영이>에서 아버지 이삼재(천호진)를 다시 만난 서영이(이보영)는 이렇게 말한다. 이삼재가 딸 서영이를 잊지 못하고 그 주변을 빙빙 돌며 심지어 딸의 남편인 강우재(이상윤)를 구해주기까지 한 것에 대해서 서영이는 고마움을 표현할 수가 없었다. 그것이 아버지의 사랑이라는 것을 알지만 바로 그 사랑 때문에 모든 게 들통 나고 결국 강우재와 헤어질 수밖에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내딸 서영이'(사진출처:KBS)

“늘 아버지 행동이 자식들 위할 거라는 착각 이제 제발 그만 좀 두세요.” 모진 말이지만 이 말 속에는 그간 아버지가 가족을 위해 돈을 벌겠다는 미명하에 했던 무모한 사업으로 오히려 가족들을 힘겹게 했던 것에 대한 서영이의 감정이 들어 있다. “잘 해보고 싶었는데 어쩔 수가 없었다”는 아버지의 말은 서영이에게는 여전히 되돌이표처럼 반복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셈이다.

 

이것은 <내 딸 서영이>가 보여주는 부모 사랑에 대한 새로운 생각이다. 부모는 자식을 위해 모든 사랑을 쏟아 붓는다고 말하지만, 그것이 자식에게 사랑으로 다가오는가 하는 건 별개의 문제다. 때론 그 사랑이 오히려 자식을 힘겹게 만들기도 한다. 우리 사회에서 관계란 바로 이 양면성을 갖는다. 그 어느 사회보다 끈끈한 정과 가족애로 똘똘 뭉쳐 살아가지만, 또 그것이 우리 사회가 갖는 특별한 힘을 만들어내지만, 바로 그 끈끈함은 때론 서로를 파괴하는 관계의 피곤을 가져온다.

 

그렇게 모진 말을 아버지에게 던지고 차를 타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서영이는 버스 정류장에 고개를 숙인 채 초라하게 서 있는 아버지가 못내 밟힌다. 자꾸만 외면하려 해도 백밀러로 들어오는 아버지를 외면할 수가 없다. 결국 차를 돌리지만 아버지는 이미 버스를 타고 떠나버렸다. 아버지는 버스를, 딸은 차를 타고 각자 가지만 그들은 서로를 생각하며 가슴으로 피눈물을 흘린다. 떨치려 해도 떨쳐지지 않는 그 관계의 이중성이 그 장면에는 묻어난다.

 

이 관계의 피곤은 자식에게만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또 한 측면인 부모에게도 똑같이 주어진다. “상우야. 서영이... 니 누이 그렇게 만든 거 내 탓이다. 내가 니 누이 그렇게 만들었다....내가 그런 인간이다.. 능력도 없고 생각도 없으면서 그렇게 모자란 놈이다.” 이삼재는 딸을 그렇게 만든 게 자기 자신이라고 자책한다. 자식을 위해서 아버지라는 이름을 지우는 것까지 기꺼이 받아들였던 자신이 이 모든 일들의 원인이라고 말한다.

 

아버지라는 존재를 심지어 지워버리고 싶었던 딸 서영이, 또 딸의 부정을 받아들이면서도 좀체 그 관계를 지워낼 수 없었던 아버지 이삼재. 이 둘의 비극은 왜 만들어진 것일까. <내 딸 서영이>는 우리 사회만이 가진 끈끈한 가족애의 또 다른 면을 끄집어내 보여준다. 우리는 효와 자애라는 가족의 미덕을 말하지만, 그것은 때론 과잉된 교육열이나 치맛바람 혹은 가족애를 변명 삼는 가족 내의 폭력을 정당화시키기도 한다. 결국 이 문제는 관계에 매몰되어 독립적인 주체로서 가족 구성원들이 각자 서지 못한(혹은 못하게 된) 데서 생겨난 비극이다.

 

“집으로 가자”는 아버지에게 “저한테 돌아갈 집이 있어요?”라고 묻는 서영이는 지금 가족이라는 틀에 묶여있는 우리 사회에서 그 틀 바깥으로 밀려난 인물이다. 그녀는 이삼재라는 가족의 틀을 벗어나 강우재라는 가족의 틀에 안기려 했지만 그것 역시 불가능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것은 아픈 경험이지만 그래도 서영이에게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계기가 된다. 그녀는 행복할 줄 알았지만 강우재와 살면서도 “겁나서 미안해서 불안해서 한 순간도 편한 적이 없었다”고 토로한다.

 

“다시 시작해볼 거야. 이서영으로 한번 살아보고 싶어. 상우야 나는 한 순간도 이서영으로 살아본 적이 없어. 나는 아버지 딸로 뒷수습하며 살다가 우재씨를 만났지만 그것도 실패했잖아... 난 그냥 나로 살고 싶어.” 이서영의 홀로서기는 그래서 이 관계의 피곤을 벗어나 독립적인 개체로서 가족을 다시 바라보겠다는 의지의 선언이다. 그리고 이것은 아버지 이삼재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이야기다. 잊고 있었던 목공 일을 하면서 방심덕(이일화)과 다시 새 삶을 엮어가는 이삼재의 모습은 그래서 이 비극 속에서 어떤 희망을 발견하게 해준다. 독립적인 주체로 서게 될 때 가족은 구속이 아니라 사랑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