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왕>, 몸 팔아야 생존하는 하류의 지옥도
19금은 드라마에 있어서는 큰 약점일 수밖에 없다. 보편적인 시청층을 가져갈 수밖에 없는 TV라는 매체에 어떤 좁은 문을 설치하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다. <야왕>은 하지만 초반에 굳이 19금을 달고 나올 수밖에 없었다. 남자 주인공인 하류(권상우)가 다해(수애)를 공부시키고 취직시키기 위해 몸뚱어리 하나로 돈을 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여성들에게 몸을 파는 호스트 일뿐이다. <야왕>은 결국 19금 드라마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 호스트라는 하류의 직업을 그대로 다루었다. 그것만큼 이 신자유주의의 지옥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이다.
'야왕'(사진출처:SBS)
하류(이름부터가 상류사회와 대비되는 하류인생을 의미한다)는 지중해라는 호스트바에서 ‘등신’이라 불린다. 여성들 앞에서 웃통을 벗고 잘 빠진 몸을 보여줌으로써(신 같은 등 근육) 여성들의 지갑을 열게 만든다. 하지만 하류는 그 별칭 그대로 등신이다. 다해와 딸 은별(박민하)을 위해 결국 웃음을 팔고 몸을 파는 처지. 심지어 그는 다해가 우발적으로 벌인 의붓아버지의 살인을 자신이 뒤집어쓰려고까지 한 인물이다. 게다가 다해가 유학을 보내달라고 하자 어렵게 끊어버린 호스트 일을 다시 시작한다. 등신이 이런 등신이 없다.
없는 자들이 신자유주의의 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가진 유일한 자산인 몸뚱어리를 팔아야 한다는 것은 하류에게만 해당되는 이야기가 아니다. <야왕>이 하류라는 남자 신파의 이야기를 다루면서도 사회적인 맥락을 찾아내는 건 그 교차점으로서 다해의 성공을 위한 안간힘 역시 하류와 다를 바 없는 삶으로 그려지기 때문일 게다. 하류가 유학 보낸 다해에게 부칠 삼백만 원을 벌기 위해 지금껏 피해왔던 진짜 호스트질을 하는 장면은, 잔인하게도 다해가 미국 유학에서 의도적으로 접근한 백학그룹의 장남 백도훈(유노윤호)과 사랑을 나누는 장면과 교차 편집되어 보여진다.
하류가 다해를 위해 몸을 팔고 나와 받은 돈 삼백만 원짜리 수표를 일그러뜨리며 눈물을 터트리는 그 순간 다해는 하류를 버리고 백도훈의 품에 안긴다. 이 두 장면은 하류나 다해나 똑같이 몸을 팔아야 살아남는 사회의 단면을 잡아내지만 그 풍경은 사뭇 다르게 그려진다. 즉 하류는 말 그대로 몸 파는 남창의 모습을 담는 반면, 다해는 무수한 멜로드라마에서나 나올 왕자님과 사랑에 빠진 신데렐라의 모습을 담는다(다해가 처음 백도훈을 지하철에서 만나게 된 것이 그 벗겨진 구두 때문이라는 건 의미심장하다).
하류가 보여주는 남창의 모습은 이 사회가 가진 처절한 현실의 맨얼굴을 보여주는 셈이다. 반면 다해는 사랑이나 성공이라는 가치로 포장되어 겉으로는 심지어 로맨틱하게 보여지는 그 행위가 사실은 저 남창 짓을 하는 하류보다도 못하다는 걸 보여준다. 고전적인 이야기지만 하류는 몸을 팔았지만 영혼까지는 팔지 않았다. 반면 다해는 성공과 욕망을 위해 남편과 아이까지 저버리는 영혼을 파는 행위를 서슴지 않는다. 몸을 파는 행위와 영혼을 파는 행위. 이것을 저울로 달 수 있다면 어떤 것이 더 무거운 죄일까.
하류라는 캐릭터가 신자유주의 시대 스펙 없이는 취업조차 어려운 청춘의 모습과 저 개발시대에 가족을 위해 기꺼이 자신의 삶 따위는 팽개쳐버린 우리네 가장들의 모습을 동시에 담고 있다는 건 흥미로운 일이다. 성장이라는 이름으로 개발시대에 우리 사회가 가장들을 희생시켰던 것처럼 이제 그렇게 성장된 나라는 신자유주의라는 기치 아래 우리네 젊은이들을 희생시키고 있다. 몸뿐만이 아니라 영혼까지 팔아야 겨우겨우 생존할 수 있는 우리 시대의 살풍경. <야왕>이 하류와 다해를 통해 보여주는 건 그 살풍경이 만들어내는 지옥도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 겨울', 바람이 불 것 같은 예감의 이유 (1) | 2013.02.15 |
---|---|
'마의', 이요원의 존재감 왜 살지 않을까 (2) | 2013.02.07 |
'서영이', 막판에 조동혁은 왜 투입됐을까 (3) | 2013.02.04 |
무엇이 서영이를 홀로 서게 만들었나 (0) | 2013.01.28 |
조승우는 남자 캔디, 권상우는 남자 신파 왜? (0) | 2013.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