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법> 논란의 최대 피해자는 김병만이다
공든 탑도 무너진다. 심지어 땀으로 차곡 차곡 쌓아놓은 탑이라고 할지라도. <정글의 법칙>의 계속되는 논란과 그로 인해 눈물 흘리고 있는 김병만을 보며 드는 생각이다. 김병만은 과연 무슨 죄를 저질렀던 것일까. 우리에게 진짜 ‘달인’으로서 개그를 훌쩍 뛰어 넘는 그 땀과 노력에 박수를 치게 만들었던 그였다.
'정글의 법칙'(사진출처:SBS)
또 정글에서 나무를 타고 올라가 바나나를 따 먹고, 나무를 해서 잠자리를 마련하거나 배를 띄우고, 통발로 잡은 물고기로 라면 스프 넣은 어죽을 해서 멤버들과 나눠 먹었던 그였다. 콩가 개미에 물려 온 몸에 두드러기가 나면서도 촬영을 강행하려 했던 그가 아니었던가. 그런데 그렇게 하나 하나 땀으로 세워놓은 자기만의 세계가 한 순간에 거짓으로 매도당하게 되는 데는 그다지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김병만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한 매체가 무슨 대단한 일이나 되는 양 폭로한 것처럼, <정글의 법칙>에 등장했던 많은 장소들은 관광 상품으로도 존재한다. 사실 그 어느 오지라고 하더라도 관광 상품이 존재하지 않는 곳은 없다. 히말라야도 그렇고 사하라 사막도 그러하며 툰드라 지대라고 그렇다. 이것은 전 지구적인 상황이다. 자본이 지배하는 세상에 상품 아닌 것이 없는 것처럼.
다만 관광 상품으로 가는 것과 제대로 체험하기 위해 낯선 길을 가는 것이 다를 뿐이다. 실제로 관광 상품이 있는 루트라고 하더라도 그 길을 처음 가는 이들이 스스로 겪게 한다면 그것은 또 다를 수 있다. 사전에 그 길이 어떤 것이든 가보지 않은 김병만으로서는 그 낯설고 뭐든 개척해가야 할 길이 진짜 힘겨운 길이었을 게다.
‘관광 상품’이라는 표현은 그래서 너무 포괄적이며 자극적이다. 마치 <정글의 법칙>이 지금껏 지나온 길들이 그저 돈 내면 누구나 할 수 있는(그것도 관광이니 즐길 수 있다는 뉘앙스가 있다) 것처럼 치부되기 때문이다. 오지를 체험하는 여행과 도시 여행은 다르고, 군대 체험과 시골 체험도 다를 수밖에 없다.
또 그 여행을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꾸리고 계획하느냐에 따라서도 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것을 그저 ‘관광 상품’이라는 표현 하나로 묶어버리는 것은 그래서 너무나 의도적이고 자극적인 행위다. 특히 김병만이 영상에서 보여줬던 때로는 피가 나고 때로는 목숨에 위협을 느끼는 위험천만했던 상황들이 모두 조작이며 ‘관광 상품’ 체험이라고 치부하는 것은 너무 과한 일이다.
김병만은 주어진 상황 속에서 열심히 한 죄밖에는 없다. 죄가 있다면 프로그램의 제작진들이 100% 리얼을 강조했다는 것일 게다. 아무리 수사적인 의미라고 하더라도 김병만이 말한 것처럼 카메라가 돌아가는 데서 100% 리얼이란 있을 수 없다.
사실 이것은 수많은 리얼을 표방한 프로그램들이 리얼리티 논란을 겪는 이유이기도 하다. 논란은 그것이 100% 리얼이 아니라서 생기는 것이 아니라, 굳이 100% 리얼이라고 강조하는데서 생기는 것이다. 제작진들은 리얼을 강조함으로써 영상의 실감과 자극을 높이려는 목적이지만 이것은 때론 부메랑처럼 돌아와 리얼리티 논란으로 불거지곤 한다.
리얼리티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대명사처럼 불리는 베어 그릴스의 <인간과 자연의 대결>도 리얼리티 논란을 겪은 적이 있고 실제로 일부 장면에서는 재연을 하기도 한다. 이것은 프로그램이 방송되기 전에 이미 ‘생존기술을 보여주기 위해 재연된 장면도 일부 있습니다’ 같은 자막으로 설명되어 있다.
당연한 일이다. 만일 이런 어느 정도의 연출이 없이 모든 걸 말 그대로의 리얼로 찍는다면 그것은 안전성의 문제를 넘어서 인간을 시청률을 위해 사지로 몰아넣는다는 윤리적인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게다가 그것은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에게도 그 실감 그대로를 전달하기가 어렵다. 효과적인 스토리텔링에서도 떨어진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흔히들 이렇게 묻는다. 100% 리얼이 아닌데 왜 정글에 가는 걸까. 이 질문은 그 질문 자체가 잘못 되었다.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리얼 자체가 아니라 다른 데 있기 때문이다. <인간과 자연의 대결>은 사전 자막 고지에 들어 있는 것처럼 시청자들에게 생존기술을 알려주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그 목적에 부합하고 효과적이라면 재연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중들은 이 목적을 보지 않고 리얼이 주는 자극을 먼저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다 보니 본말이 전도되는 상황이 연출되곤 한다.
<정글의 법칙>의 목적도 리얼 그 자체가 아니다. <정글의 법칙>은 도시를 벗어나 정글이라는 상황 속에서 생존을 넘어선 공존의 의미를 찾아보는 목적을 갖고 있다. 원주민과의 만남은 그들이 문명과 이미 접촉한(대부분이 그럴 것이지만) 이들이라고 해도 그대로 남아있는 풍습들을 통해 한 인간으로서 어떤 공감하고 공존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는 것에 더 의미가 있었을 게다. 이 의미를 보지 못하면 결국 자극만 남게 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리얼 공방 속에는 자극에 대한 제작진과 시청자 사이에 놓여있는 모종의 약속이 깨진 것에 대한 허탈감이 들어있기 마련이다.
<정글의 법칙>의 가장 큰 잘못은 연출이 가능하고 때로는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프로그램을 통해 사전 고지하지 않았던 것이다. 예능 프로그램이 제 아무리 다큐와의 접목을 추구했다고 해도 결국은 예능 프로그램의 틀을 벗어날 수 없고, 예능은 어떤 식으로든 특유의 스토리텔링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자막은 상황을 좀 더 극대화시키고 편집은 아무런 의미 없어 보였던 행위들을 의미 있게 만들어낼 수 있다. 이것은 예능이 아니라 다큐에서도 마찬가지다. 하물며 재미를 추구하는 예능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매번 리얼리티 논란이 나올 때마다 먼저 드는 느낌은 달을 보지 않고 그걸 가리키는 손가락을 보고 있다는 안타까움이다. 리얼리티냐 아니냐는 자극의 틀은, 결국 제작진으로 하여금 100% 리얼처럼 보이려는 비뚤어진 욕망을 만들어내고, 시청자로 하여금 그 욕망만을 소비하게 만든다. 리얼리티 논란 속에서 <정글의 법칙>이 가졌던 본래의 좋은 기획 의도는 점점 잊혀지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논란으로 의도치 않은 피해를 보게 된 건 바로 김병만이라는 사실이다. 제작진이 사전에 준비해놓은 정글 속이라고 해도 김병만이 그 속에서 그 누구보다 열심히 뛰었던 것만은 사실이다. 이것은 제아무리 편집되고 연출된 영상이라고 해도 이미 대중들이 방송을 통해 무수히 봐왔던 것들이다. 결국 그렇게 찍은 영상을 요리하는데 있어서 생겨난 문제라면 그것은 제작진이 져야 할 책임이 아닐 수 없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성호, 갸루상만이 아니무니다 (0) | 2013.02.18 |
---|---|
반전 없는 '위탄3', 결국 한동근인가 (0) | 2013.02.17 |
최민수, 고 임윤택, 김병만, 진정성이 뭐길래 (1) | 2013.02.13 |
'위탄3', 저조한 투표율이 더 문제다 (0) | 2013.02.10 |
박보영을 아낀다면 김병만의 진정성은? (2) | 201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