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그 겨울', 바람이 불 것 같은 예감의 이유

728x90

<그 겨울> 빛낸 조인성과 송혜교의 연기

 

어디를 바라보는지 모를 송혜교의 텅 빈 눈빛은 단지 시각장애인이라는 캐릭터를 넘어서 그 안에 담겨진 알 수 없는 공허함과 체념, 절망을 담고 있었다. 돈 때문에 자신에게 접근해 오빠 행세를 하려는 오수(조인성)에게 “사랑 따윈 필요 없어!”하고 외치는 오영(송혜교)의 그 대사 속에는 역설적으로 그녀에게 지금 절실히 필요한 것이 바로 사랑이라는 것을 말해주었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사진출처:SBS)

반면 버려진 길바닥 삶에서 그저 죽지 못해 살아가는 오수는 멀쩡한 눈을 갖고 있으면서도 삶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는 공허한 눈빛을 보여주었다. ‘삶의 의미’ 따위는 필요 없다고 외치는 그지만 그것 역시 거꾸로 그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삶의 의미’라는 걸 말해주었다. 청부폭력배인 조무철(김태우)에게 칼을 맞고 죽음을 느낀 후에야 그저 “살아있으니 살아 봐야겠다”는 그는 그래서 그 삶의 이유를 찾는 중이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이하 그 겨울)>가 첫회 파격적인 1,2회 연속 편성을 했지만 그 144분이 언제 지나갔는지도 모를 정도의 몰입감을 주었던 것은 이 두 인물이 주는 절망감이 그 눈빛만으로도 절절하게 묻어났기 때문이다. 재벌가의 상속녀와 길거리 건달이라는 전혀 다른 환경 속에 있지만, 그들을 묶어주는 건 이 공통된 절망감이다. 비록 그것이 ‘돈’이라는 매개처럼 보이지만 그것은 그저 겉으로 드러나는 것일 뿐이다.

 

그래서 이미 1년 전 오누이가 아니라 남남으로 만났던 그들이 1년 후 오누이 행세를 하는 건 마치 양자가 심적으로 합의한 연기처럼 보인다. 오영은 오수가 진짜 오빠가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그 누구라도 곁에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 그를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이고, 오수 역시 돈을 뜯어내기 위해 오영에게 접근하지만 단지 그 이유 때문만으로 그녀를 애잔하게 바라보고 있지 않는 듯하다.

 

지하철역에서 돈이 목적이라면 지금 자신의 등을 밀라며 지하철로 뛰어드는 오영과 그런 그녀를 내버려두기보다는 애써 살려내려는 오수의 절박함에는 이 오누이 연기에 가려진 속내가 드러난다. 그들은 그렇게 서로의 절망과 상처를 위무해주는 존재가 되어버렸다. 물론 그것은 오누이라는 가짜로 만들어진 외적 관계 때문에 결국 파국을 예고하지만.

 

이미 일본드라마 <사랑 따윈 필요 없어, 여름>으로, 또 문근영이 주연을 맡았던 영화 리메이크작 <사랑 따윈 필요 없어>로 익숙할 수 있는 작품이지만 <그 겨울>이 전혀 다른 느낌을 주는 것은 노희경이 가진 특유의 진지함과 조인성, 송혜교의 놀랍도록 발전한 내면 연기가 감각적인 연출과 잘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사랑과 삶에 대한 의미를 추구하는 노희경 특유의 색채는 보호본능을 일으키는 상처받은 수컷 눈빛의 조인성과 절망과 공허함을 눈빛 하나에 담아내는 송혜교의 연기와 맞물려 극적 긴장감을 만들어내고 있다.

 

무엇보다 깊어진 송혜교의 연기는 <그 겨울>이라는 작품의 쓸쓸한 정서를 충분히 담아내고 있다고 여겨진다. 어디로 튈 지 알 수 없는 절박한 삶 속에서 뛰어다니는 조인성을 따뜻한 사랑과 삶으로 잡아끄는 송혜교는 그래서 그 시각 장애라는 틀이 오히려 하나의 흡인력이 되게 만들고 있다. 144분 간의 몰입감은 그래서 이 작품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놓기에 충분했던 시간이다. <그 겨울> 바람이 불 것 같은 예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