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내 딸 서영이'의 가족 판타지, 강렬했던 까닭

728x90

<내 딸 서영이>, 진정한 국민드라마였던 이유

 

자신의 존재를 부정한 딸의 주변을 빙빙 돌면서 그 딸이 잘 되기만을 바라는 아버지. 사위를 구하려다가 자신이 자동차에 치이고도 자기 정체가 밝혀질까 봐 제대로 검사도 받지 않고 도망쳐버린 아버지. 그렇게 존재를 부정한 딸을 위해서 그 딸이 편안히 앉을 수 있는 의자를 만드는 아버지. <내 딸 서영이>의 아버지 이삼재(천호진)가 국민 아버지가 된 이유다.

 

'내 딸 서영이'(사진출처:KBS)

아마도 이 땅의 부모들은 이삼재라는 존재를 통해 자신의 삶을 위안 받았을 지도 모른다. 오로지 자식만을 위해 살아왔고 그 자식을 위해 희생하는 한 평생의 삶. 그 삶에 대해 <내 딸 서영이>의 자식들은 그 부모가 쓰러지고 나서야 비로소 “죄송하다”고 회한의 눈물을 흘린다. 아마도 이 자식들의 뒤늦은 회한을 바라보며 눈물을 훔치는 부모세대들에게 <내 딸 서영이>의 국민 아버지 이삼재는 대단한 판타지임에 틀림없다.

 

가족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때로는 가족을 힘들게 만들었던 그 가부장제 하에서 숨조차 쉴 수 없었던 딸. 어느 날 불쑥 자기도 모르게 아버지의 존재를 부정해버린 딸. 그렇게 자신의 삶을 살면 될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 삶이 좀체 행복할 수는 없었던 딸. <내 딸 서영이>의 그 딸 서영이(이보영)가 국민 딸이 된 이유다.

 

아마도 이 땅의 젊은 세대들은 서영이를 통해서 자신들의 선택을 정당화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가족이 늘 보금자리가 될 수는 없는 거라고, 때로는 그 보금자리가 도망치고픈 족쇄이기도 한 거라고, 저 서영이가 당당하게 자기 삶을 선택한 것처럼 그렇게 자신의 행복을 향해 달려가는 것이 무에 잘못된 일이냐고 서영이를 통해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늘 눈에 밟히는 부모의 그림자를 무시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서영이의 눈물은 그래서 자기 삶을 선택했던 젊은 세대들이 그 당당함 뒤에 남겨진 아픔을 대신 씻어내주는 카타르시스가 될 수 있었다.

 

국민드라마라는 호칭은 어딘지 애매하다. 단지 시청률이 높다고 해서, 드라마의 완성도가 높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다고 해서 흔히들 국민드라마라고 부르지만 때로는 그것이 너무 과하게 여겨지는 건 과연 국민이라는 호칭을 붙일 만큼 모든 세대를 끌어안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삼재 같은 국민 아버지, 서영이 같은 국민 딸은 물론이고, 도무지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을 것 같은 착하디착한 이상우 같은 국민 동생에, 역시 세상에 없을 것 같은 국민 며느리 호정(최윤영)까지. <내 딸 서영이>는 ‘국민’이란 수식어가 어색하지 않은 드라마인 것만은 분명하다.

 

어찌 보면 뻔한 소재일 수도 있었고, 때로는 지나친 신파가 될 수도 있었으며, 혹은 너무 틀에 박힌 전개일 수도 있었지만 <내 딸 서영이>가 그토록 호평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 안에 우리네 가족에 대한 판타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어딘지 파편화된 우리네 가족관계는 <내 딸 서영이>가 보여준 것처럼 어쩌면 극단적인 상황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이 드라마 제공한 화해의 판타지는 더더욱 우리의 마음을 울렸는지도. <내 딸 서영이>를 진정한 국민드라마라고 부를 수 있는 건 그 가족 판타지가 모든 세대들을 끌어안을 만큼 강렬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