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야왕', 뻔한 복수극인데 왜 끌릴까

728x90

<야왕>, 이건 복수극이 아니라 게임이다

 

우리는 <야왕>의 시작과 끝을 이미 알고 있다. 이미 첫 회에 영부인이 된 주다해(수애)를 찾아온 하류(권상우)가 서로 안은 채 피를 흘리는 것으로 그 끝이 드러나 있기 때문이다. 누가 죽음을 맞이할 지는 알 수 없지만 결국은 파국이다. 주다해의 끝을 모르는 욕망이 만들어낸 비극. 착하기만 하던 하류의 복수극. 그런데 참 희한한 일이다. 이 뻔한 복수극에 끌리는 것은.

 

'야왕'(사진출처:SBS)

더 희한한 것은 이 뻔한 복수극의 얼개 역시 대단히 느슨하다는 점이다. 아마도 하류가 애초에 복수를 하겠다 마음먹었다면 그저 과거 행적이 드러나는 사진 몇 장을 언론에 뿌려버리면 그만일 일이다. 스스로 자기도 죽을 결심까지 섰다면 같이 죽는 극단적인 선택을 해도 충분한 복수가 될 것이다. 잃을 게 없는 하류와 모든 걸 잃어야 하는 주다해가 맞는 죽음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야왕>의 하류는 그런 손쉬운 복수를 하지 않는다. 하류의 말을 빌면 “그건 너무 쉬운 복수”이기 때문이다. 하류는 주다해의 피를 바짝바짝 말려 주는 그런 복수를 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주다해의 재단 이사장 취임식 날, 과거 딸과 자신이 그녀와 함께 찍은 사진을 기자들에게 퍼뜨리겠다고 협박을 해서 그녀를 이리 뛰고 저리 뛰게 만들고는 그녀 스스로 이사장직을 포기하겠다는 얘기를 하게 만든다. 역시 그녀의 치부가 드러나는 녹음된 말을 취임식에 틀어버리겠다는 협박을 통해서다.

 

그런 하류에게 고분고분해질 주다해가 아니라는 점은 <야왕>의 복수극을 이상한 방향으로 틀어버린다. 주다해는 심지어 하류의 아버지까지 죽음의 위기로 몰아넣으며 하류를 협박한다. 자신을 자극하면 주변사람들까지 다 다칠 수 있다는 경고다. 격분한 하류가 주다해를 끌고 외딴 창고로 가서 따귀를 올려 부치지만 주다해는 두려움에 떨기는커녕 하류의 따귀를 맞받아친다. 죽음까지 내몰리는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류와 주다해는 두려움이 없다. 다만 어떻게 하면 상대방의 마음을 긁어놓을 지에만 혈안이 된 사람들 같다.

 

그래서 이미 결론이 나와 있고 결정적인 한 방을 주저하고 있는 하류를 보면 마치 이 뻔한 복수극이 ‘시간 끌기’를 하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끝까지 시청자들의 마음을 갖고 이른바 마인드 게임을 하고 있는 느낌. 그런데 이상하게도 바로 이 지점이 시청자들의 눈길을 끄는 이 드라마만의 묘한 매력을 만들어낸다.

 

현실성에 벗어난 전개, 결정적인 한 방이 있으면서도 오히려 조금씩 파국을 향해 접근하는 방식. 이건 복수극이라기보다는 한 판의 게임에 가깝다. 하류가 한 방을 때리면 주다해가 맞받아 때리는 따귀처럼 <야왕>은 이 복수와 분노와 통쾌함을 주고받으며 굴러가는 한 편의 게임이다. 결과는 알고 있지만 그 끝까지 가는 과정을 즐기는.

 

이것은 아마도 <야왕>의 원작이 만화라는 점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만화란 훨씬 더 현실을 벗어나 그 자체의 게임적인 면만으로도 충분히 재미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야왕>은 초반부에 상당히 전형적인 드라마적 리얼리티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빈부의 문제와 자본 하에서 가난한 자들이 성공하기 위해 치러야 하는 대가 같은 것들을 깔아두었다. 하지만 이런 현실적인 바탕은 중반을 넘어가면서 이제 사라진 지 오래다. 오로지 관계 속에서 만들어지는 인물들 간의 치열한 마인드 게임이 지금 <야왕>을 움직이는 추동력이 되었다.

 

물론 아쉬운 점은 많다. 이러한 치고받는 마인드 게임 아래 충분한 현실적인 공감대를 유지했다면 <야왕>은 훨씬 더 폭발력 있는 드라마가 될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야왕>은 그 태생적인 설정의 비현실성 때문에 그런 드라마로 완성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번 준 <야왕>에 대한 눈길을 뗄 수 없는 건 그 뻔한 복수극 속에 존재하는 게임적인 재미 때문이다. 이번엔 누가 한 방을 먹일 것인가. 또 그 반격은? <야왕>을 보는 관전 포인트는 그래서 여느 복수극과는 다른 지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