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조인성, '그 겨울'이어서 더 매력적인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조인성, '그 겨울'이어서 더 매력적인 이유

D.H.Jung 2013. 3. 16. 07:43
728x90

조인성의 남몰래 흘리는 눈물과 <그 겨울>

 

조인성의 연기에 대한 대중들의 기억은 오래도록 <발리에서 생긴 일>에 멈춰져 있었다. 그것도 예능 프로그램에서 개그맨들이 흉내 내곤 했던 입에 주먹을 넣을 듯 눈물을 삼키며 전화를 거는 장면으로. 이렇게 된 것은 그 역할이 조인성이 가진 이미지와 가장 잘 맞아 떨어졌기 때문이다. 당시 찌질하다고 표현될 만큼 자기 욕망에 충실한 그가 전화를 통해 말로는 “괜찮다”고 하면서도 상대방 몰래 솟구치는 눈물을 흘리는 연기에는 연약함과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고통스럽게 참아내야 하는 마음이 절절히 묻어났던 것이다.

 

'그 겨울, 바람이 분다'(사진출처:SBS)

바로 그 겉으론 강한 척(심지어 나쁜 척) 하면서도 사실은 그 연약하리만치 섬세한 감정이 터져 나올 때 조인성이라는 연기자는 자신의 매력을 드러낸다. 한 마디로 ‘남 몰래 흘리는 눈물’이랄까. 드라마적으로 이런 장면이 효과적으로 표현되려면 조인성과 상대역 사이에 어떤 차단막이 필요하다. <발리에서 생긴 일>에서 전화기가 그 소통과 차단막의 역할을 해주었듯이 <그 겨울 바람이 분다>에서는 오영(송혜교)이 시각장애인이라는 설정이 그 차단막 역할을 해주고 있다.

 

보이지 않는 상대인 오영과 오수(조인성)가 엮어가는 멜로가 가슴 아픈 것은 그들 간의 소통이 거의 말로 이뤄질 수 있지만 시청자들의 눈에는 그들이 하는 말 이면에 놓여진 숨겨진 얼굴이 보이기 때문이다. 오영 앞에서도 심지어 오수는 짐짓 나쁜 척, 쿨한 척 하지만 자꾸만 솟아나는 먹먹해지는 마음을 애써 숨기려 한다. 그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런 장면이 주는 소통의 일시적인 단절은 시청자들을 애타게 만들 수밖에 없다.

 

물론 시각장애인이라는 설정 이외에도 이 드라마는 꽤 많은 차단막들을 설치해두었다. 예를 들어 돈 때문에 접근한 오수라는 겉면과 점점 돈이 아닌 마음으로 다가가는 오수의 속내도 조인성이라는 연기자의 애써 다문 입술과 힘준 눈빛을 통해 드러나고, 잠자는 오영의 입술에 닿을 듯 멈춰서 있는 그의 입술은 연인 감정을 느끼지만 결국 오빠라고 속일 수밖에 없는 그 상황의 차단막에 의해 머뭇거린다.

 

겉으로 드러나는 표현과 속내 사이에 놓여진 이러한 차단막은 오수와 오영이 가진 삶에 대한 태도 속에도 들어가 있다. 사랑 따윈 필요 없고 살고 싶지 않다는 오영과 삶의 의미 따윈 필요 없고 그저 살아 있으니 살아봐야겠다는 오수는, 서로 만나 감정을 나누면서 상대방을 통해 자신의 속내를 드러낸다. “왜 날 이렇게 자꾸 약하게 만들어 넌. 왜 날 자꾸 살고 싶게 만들어 넌.” 겉으론 화를 내고 있지만 오영은 오수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드러낸다.

 

오영에게 “살고 싶다”는 얘기를 들으려는 오수와, 오수에게 자꾸만 오빠 이상의 감정을 갖게 되는 오영. 결국 이 오영과 오수의 사랑을 더 절절하게 만드는 순간은 이들의 단단한 겉껍질이 벗겨져나가고 서로의 진짜 알맹이가 드러날 때이다. 죽음을 앞두고 있으나 그 앞에서 애써 쿨한 가면을 써오던 두 사람이, 바로 그 죽음을 앞두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결국 마음을 열고 더 아프게 서로를 껴안는 것. 이것은 어쩌면 우리네 삶과 사랑에 대한 작가의 시선이 아닐까.

 

조인성이 <그 겨울 바람이 분다>에서 특히 그만의 매력을 폭발시키는 이유는 이 작품이 갖고 있는 차단막(시각장애, 오빠동생 설정, 돈과 사랑 같은)이 워낙 훌륭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조인성이라는 연기자가 가장 자신의 매력을 끌어낼 수 있는 영역이니까. 그가 미간을 찡그리고 시선을 살짝 피하며 입술을 앙다물면서 속에서 솟구치는 감정을 억누르려 할 때 그 아픈 감정은 시청자들의 마음에 바람을 불게 만든다. 마치 차가울수록 자그마한 따뜻함에도 눈물 흘리는 겨울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