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국열차>가 비판하는 <설국열차> 독과점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지 않으신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설국열차>가 다루고 있는 것은 저절로 작동하는 자본주의 시스템의 실체다. 하층 계급이 무임승차한 대가로 사는 열차의 맨 꼬리 부분에서 상층 계급이 살고 있는 맨 머리 부분까지 달려가는 커티스(크리스 에반스)의 여정(?)은 그래서 이 계급으로 나눠진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저 스스로 작동하는 지를 절묘하게 보여준다.
'설국열차(사진출처:CJE&M)'
흥미로운 것은 하층 계급의 혁명가인 커티스가 일으키는 반란조차 적절한 인구수를 조절하는 이 시스템의 한 부분이라는 점이다. 하층 계급이 상층 계급으로 올라가려는 욕망은 그래서 이 열차의 통치자인 윌포드(애드 해리스)에 의해 때로는 부추겨진다. 결국 맨 머리 부분까지 올라간 커티스를 윌포드가 설복시켜 차기 통치자로 내세우려는 장면은 그래서 이 시스템의 통제방식이 하나의 반복적인 궤도를 이루고 있다는 걸 말해준다.
커티스가 혁명의 이름으로 맨 꼬리 부분에서 맨 머리 부분까지 달려가는 이 욕망의 시스템에 충실한 인물이라면, 남궁민수(송강호)는 이 시스템의 흐름에서 벗어나려는 인물이다. 영화에서 전면에 나선 인물이 커티스임에도 불구하고 남궁민수가 중요한 이유는 그가 결국 이 시스템을 깨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커티스의 오로지 앞으로만 나가려는 힘과 남궁민수의 자꾸만 옆길로 빠지려는 힘은 그래서 이 영화의 중요한 두 흐름과 그 부딪침을 만들어낸다.
크로놀 중독자처럼 보이던 남궁민수가 열차의 맨 머리 부분의 윌포드가 있는 문 앞에 서서 커티스와 나누는 설전은 그래서 대단히 흥미롭다. 남궁민수는 그 자리에서 커티스에게 “문을 열고 싶다”고 말한다. 그것은 남궁민수라는 캐릭터의 역할(각 계급의 문을 열어주는 역할)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가 열려는 문은 윌포드가 있는 곳으로 가는 문이 아니다. 열차 바깥으로 나가는 문. 여기서 크로놀은 마약이 아니라 폭탄으로 돌변한다. 시스템에 중독된 이들을 깨는 방식으로 크로놀을 사용한다는 설정에는 봉준호식의 블랙유머가 살짝 들어가 있다.
그렇다. <설국열차>는 단순하게 말하면 모두가 동승해야만 하고, 또 각자 부여받은 칸에서 살아야만 하며, 또 계급 상승 욕구를 갖고 있다고 해도 오로지 윗칸으로만 달려가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 무비판적이고 세뇌적인 시스템의 옆구리에 옆으로 나갈 수 있는 구멍을 뚫는 영화다. 모두가 다 앞으로만 달려갈 때 왜 그래야 하느냐고 질문하는 남궁민수의 역할은 그래서 봉준호 감독의 메시지를 전하는 메신저에 해당한다.
결국 이 <설국열차>는 자본주의의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식을 열차라는 상황으로 집약해 놓은 놀라운 작품이다. 마치 카프카가 만들어내는 세계가 그러하듯이 거기에는 비현실적이고 심지어 판타지적인 세계가 그려지지만 그 세계의 작동방식이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기 때문에 너무나 리얼한 공간처럼 느껴진다. 그저 시간 죽이는 블록버스터를 기대했다면 적잖이 옆길로 새는 이 영화는 다소 실망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그 안에 담겨진 상징이나 블랙 유머를 한 번 생각해보면 <설국열차>라는 작품이 가진 나름의 가치를 인정하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설국열차>라는 영화 자체가 이 자본주의 시스템의 산물이라는데 있다. 이 영화는 CJ E&M이 무려 450억을 투자해 만들어진 영화다. 할리우드라면 소자본 영화겠지만 우리로서는 블록버스터 중에 블록버스터임에 틀림없다. 그러니 이렇게 투자된 영화에 CJ가 총력을 기울이는 건 당연한 일일 게다. CJ가 구축하고 있는 CGV 멀티플렉스는 그래서 이 <설국열차>가 움직이는 시스템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움직인다. 스크린 독과점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 된다.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설국열차> 개봉 첫 주말 스크린 수는 1128개로 역대 6위라고 한다. 상영 횟수도 지난 13일만 두고 보면 1014개 스크린에서 무려 5213번 상영되었다고 한다. 이미 6백만 관객 수를 동원하고 7백만 나아가 1천만 관객을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는 것은 그다지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물론 괜찮은 영화지만 가장 많은 스크린을 확보함으로써 결국은 영화관을 찾는 이들이 볼 수밖에 없는 영화가 됐다는 것은 그리 기분 좋은 일은 아니다.
이뿐만이 아니다. 몇몇 언론에서는 아예 대놓고 관객 수 카운팅 기사를 하루에도 몇 번씩 올리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것 역시 영화 흥행의 시스템 중 하나일 것이다. 이렇게 되면 마치 <설국열차>를 보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분위기가 만들어진다. 이 관람의 행렬에 동참하지 않으면 소외될 것 같은 기분. <설국열차>에 올라탄 승객들이 가졌을 기분이 이렇지 않았을까. 영화 속에서 ‘열차 바깥으로 나가면 우린 모두 죽어요’라고 외치는 아이들처럼.
<설국열차>는 좋은 영화지만 그것이 관객들에게 보여지는 과정에는 이 영화가 메시지로 던지고 있는 ‘옆길로 샐 권리’ 자체를 봉쇄하는 씁쓸함이 담겨져 있다. 이 얼마나 놀라운 아이러니인가. 영화는 옆길로 샐 권리를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영화가 보여지는 방식은 그걸 허용하지 않고 자본주의 시스템에 굳건히 붙박여 있다는 것은. 이것은 이 영화가 대단하기 때문일까(그만큼 자본주의 시스템을 제대로 꿰뚫고 있기 때문?) 아니면 이런 메시지조차 시스템으로 묶어두는 자본주의의 힘이 대단한 것일까. 봉준호 감독은 이 시스템에서 남궁민수가 되고 싶었겠지만 그 윌포드식의 완벽한 현실의 시스템은 그것을 허락하지 않는 모양이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함', 이토록 평범한 다큐에 왜 발끈했을까 (11) | 2013.09.15 |
---|---|
'천안함', 영화 한 편 편히 보기 힘든 현실 (0) | 2013.09.10 |
'7번방', 류승룡은 왜 딸바보로 돌아왔을까 (2) | 2013.02.12 |
'레미제라블'과 대선, 서민들이 염원한 것 (9) | 2012.12.21 |
'26년'과 '남영동', 왜 속 시원한 복수가 없을까 (2) | 2012.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