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급증과 성과주의가 <스플래시>의 비극을 낳았다
요즘 <우리동네 예체능>의 이예지 PD는 방송하는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프로그램이 다뤘던 종목들, 즉 탁구, 볼링, 배드민턴이 세간에 화제가 되면서 해당 스포츠 동호인들이 눈에 띄게 늘고 있기 때문이란다. 스포츠 협회들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도 어느 때보다 뜨겁다고 한다. 자신의 종목을 소재로 해달라는 요청이 끊이지 않는다고.
'우리동네 예체능(사진출처:KBS)'
이예지 PD는 “엘리트 스포츠 중심으로 되어있는 우리네 스포츠를 선진국들이 그렇듯이 생활 스포츠 중심으로 바꿔나가는 것에 자신들이 일조하고 있다는 걸 가장 큰 보람으로 여긴다”고 말했다. 방송의 힘은 실로 커서 실제로 해당 스포츠용품의 판매량이 급증했다고 한다. G마켓에 의하면 올 상반기 탁구용품은 28%, 배드민턴 용품은 20%, 그리고 볼링용품도 지난해에 비해 12%나 판매량이 늘었다고 한다.
<우리동네 예체능>의 사례는 스포츠 예능 프로그램의 정답처럼 다가온다. 과거 스포츠 소재 콘텐츠라는 것은 대중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수동적으로 보고 응원하는 것 중심이었다. 스포츠 중계는 이러한 후진국형 관중 스포츠 문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스포츠 프로그램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대신 선진국형 참여 스포츠 문화를 이끌어내는 프로그램은 그리 많지 않았다.
<날아라 슛돌이>나 <천하무적 야구단>이 생활 스포츠를 정면에서 다룬 거의 유일한 프로그램들이었고 기껏해야 <무한도전> 같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기획성으로 비인기종목을 조명했던 것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우리동네 예체능>은 아예 생활 스포츠 육성을 그 목표로 세우고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다양성의 측면에서나 또 집중도에 있어서나 훨씬 진일보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참여형 생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리얼 예능의 소재로서 스포츠 같은 ‘각본 없는 드라마’가 각광을 받으면서 스포츠 소재 예능이 생기고 있지만 그렇다고 모두가 <우리동네 예체능>처럼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최근 논란으로 촬영이 중지된 MBC <스타 다이빙쇼 스플래시>는 똑같이 스포츠를 다뤘지만 오히려 역효과를 본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다이빙 국제심판 민석홍 감독은 모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스플래시>로 다이빙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생길 것으로 기대했지만 오히려 ‘위험한 스포츠’라는 인식이 만들어진 것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렇게 된 데는 프로그램의 지향점과 목표가 달랐던 데서 비롯된 바가 크다. <스플래시>의 경우 스포츠 자체를 조명했다기보다는 다이빙이라는 종목이 가진 스펙터클에 더 집착한 바가 크다. 공중에서 두려움을 극복하고 뛰어내린다는 점과 그 사이에 회전을 하는 등 기술을 선보인다는 점 그리고 입수의 공포를 짜릿한 쾌감으로 바꾼다는 점에서 다이빙이라는 소재는 확실히 자극적인 맛이 있다. 여기에 맨 몸을 드러내는 스포츠가 갖는 원초적인 끌림까지 더하면 이 프로그램의 성공은 그 기획만으로도 따 놓은 당상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는 달랐다. 결국 전문 프로 선수가 하는 경기가 아니라 아마추어들이 도전하는 경기라는 점에서 생활 스포츠일 수밖에 없는 이 경기에서 프로처럼 보이려는 과욕은 부상 논란의 시발점이 되었다. 같은 프로그램에서 해외의 경우 6개월 이상의 준비기간을 주는 반면 지난 5월부터 갑자기 준비한 프로그램의 무리수는 결국 촬영 중단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빠르게 어떤 결과를 보이려는 조급증과 성과주의가 무리수가 되었던 것.
여기에 다이빙이 단체 스포츠가 아니라 개인 경쟁이라는 점과 <스플래시>가 일종의 오디션 형식을 갖고 있어 서바이벌의 갈급함이 더해졌다는 점도 문제를 키운 원인의 하나다. 생활 스포츠는 경기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동호인들 간의 친목이다. 다이빙을 생활 스포츠의 하나로 포착하려 했다면 바로 이 친목을 만들어내는 팀워크에 더 집중했어야 하지 않을까. 화려함보다는 동호인 특유의 정 같은 것이 더 중요한 정서였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보면 <우리동네 예체능>이 만들어가고 있는 방송 출연자들 그 이상의 끈끈한 팀워크는 생활 스포츠의 진면목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된다. 전국의 동호인들을 상대로 벌인 배드민턴 대결에서 예체능 팀은 단 한 번도 이기지 못했다. 그래서 그들은 경기가 끝나고 나서 펑펑 울기도 하고 자책하기도 하면서 아쉬움을 토로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이런 얘기를 한다고 한다. “저 분들은 몇 년 간을 하신 분들인데 고작 두 달 남짓 한 우리가 지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무리하지 않고 소걸음으로 다가가는 것. 또 경쟁 그 자체보다는 그 사이에 쌓여지는 친목과 단합을 도모하는 것. 이것이 생활 스포츠를 다루는 방송의 기본이다. 보는 시대는 지났고 이제 하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여전히 스포츠를 엘리트의 영역으로 세워두고 그 도전 자체를 프로에 도전하는 것처럼 그려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거기에는 여전히 엘리트 스포츠 중심적인 사고방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다. 생활 스포츠로 관심이 바뀌고 있는 요즘, <스플래시> 같은 불상사가 다시 발생하지 않으려면 철저히 생활 스포츠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걸 <우리동네 예체능>은 보여주고 있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도'의 추격전, 왜 새롭게 느껴지지 않을까 (2) | 2013.09.16 |
---|---|
'꽃할배'의 나영석 PD, PD의 차원을 넘어섰다 (0) | 2013.09.14 |
구라라된 클라라, 소속사가 안티인가 (0) | 2013.09.12 |
유희열과 클라라가 'SNL'에 미치는 영향 (2) | 2013.09.11 |
예능 정글 생존, 철인이거나 김병만이거나 (0) | 2013.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