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맨'의 꼼수가 '아빠 어디가'에 미친 영향
“프로그램 편성 시간은 유동적일 수 있다. 만나자는 시도조차 듣지 못 했고, 만난다고 해도 프로그램 런닝타임을 협의할 생각은 없다. 좋은 콘텐츠를 시청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생각으로 새로 만든 프로그램을 길게 보여줄 수도 있는 것 아닌가. 재방송을 편성하는 것보다는 낫다는 입장이다.” 한 매체와 인터뷰를 가진 KBS 박태호 예능국장의 말이다.
'슈퍼맨이 돌아왔다(사진출처:KBS)'
지금 현재 일요일 저녁은 예능의 격전지가 되었다. 지상파 3사의 격차가 겨우 1,2% 차이로 1,2위가 왔다 갔다 하는 상황. 문제는 KBS가 방송시간을 조금씩 늘림으로써 방송3사 간의 편성 전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KBS는 <해피선데이>의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시작 시간대를 지난해 12월1일 편성 고지보다 13분 빠른 오후 4시42분에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에도 조금씩 점점 앞당겨 방송이 시작되더니 지난 1월부터는 아예 4시30분에 방송이 시작되고 있다.
이런 움직임을 MBC와 SBS가 가만히 두고 볼 수는 없는 일이다. 방송을 먼저 시작한다는 것은 시청자들을 선점하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결국 시청률로 이어지고 광고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MBC와 SBS가 울며 겨자먹기로 방송 시간대를 앞당기기 시작했고 편성 과잉 경쟁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KBS는 아예 지난 달 30일부터 오후 4시20분으로, MBC와 SBS는 같은 달 23일과 16일부터 오후 4시30분으로 방송시간을 변경 고지했다.
사실 5시부터 시작해 8시에 끝나는 일요예능 3시간도 적은 건 아니다. 하지만 이 과열 경쟁된 편성 시간으로 인해 4시20분부터 방영된다면 거의 4시간 가까이 예능이 편성되는 셈이다. 제 아무리 집중도가 높은 시청자라도 이런 양적인 편성은 버텨낼 재간이 없게 된다. 제작진도 마찬가지다. 10분 늘리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에 3,40분 분량을 늘린다는 건 프로그램의 질적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결국 이 경쟁의 피해는 고스란히 시청자들에게 돌아간다.
결국 방송3사가 제살 깎아 먹기 하는 출혈경쟁일 수밖에 없다. 드라마의 경우 방송분량을 늘리는 꼼수 편성이 경쟁적으로 이뤄지자 방송3사가 모여 어떤 나름의 규칙을 정하는 노력을 보여 왔다. 따라서 이번 문제에 대해 협의하기 위해 방송3사가 모이려 했지만 KBS 측에서 거부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유독 KBS는 이런 꼼수편성을 앞세우고, 출혈경쟁을 하면서도 조정을 거부하고 있는 것일까.
이것은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꼼수편성으로 실제적인 효과를 봤기 때문이다. 이 프로그램이 기획되고 만들어져 일요일 저녁 시간대에 배치된 이후 <아빠 어디가>는 그 자체로 커다란 불이익을 맛봤다. KBS가 <슈퍼맨이 돌아왔다>라는 프로그램으로 한 일은 물론 법적인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방송사들의 윤리적인 차원에서 보면 결코 해서는 안 되는 일이다. 특히 공영방송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슈퍼맨이 돌아왔다>는 <아빠 어디가>가 작년 한 해 큰 인기를 끌자 생겨난 프로그램이다. 소재와 형식이 거의 같은데다 그것도 같은 시간대에 편성했다. 이것은 직접적으로 <아빠 어디가>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는 일이다. 작년 새로운 출연자들을 섭외하는 과정에서 <아빠 어디가>가 난항을 겪었던 이유 중 하나는 <슈퍼맨이 돌아왔다>라는 유사 프로그램이 같은 시간대에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출연자들 입장에서도 어느 한쪽을 선택하면 다른 방송사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게 된다.
최근 <아빠 어디가>의 침체는 근본적으로 이 캐스팅 문제와의 관련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새로운 것을 창의적으로 만들어내기보다는 잘 된다 싶으면 우선 베끼고 보는 이런 식의 방송 제작 행태가 가져온 영향도 적지 않다. <아빠 어디가> 같은 프로그램은 그 특성상 내용 그 자체보다 어떤 아이가 등장하는가가 더 중요할 수 있다. <슈퍼맨이 돌아왔다>가 주목받게 된 것은 추사랑의 영향이 크다. 결국 내용이나 기획적인 노력보다 캐스팅 하나의 성공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점이다.
이런 식의 성공이라면 제작 일선에서 일하는 PD들은 허탈해질 수밖에 없다. 창의적인 프로그램을 고생해서 만들어내면 뭐 하겠는가. 유사 프로그램이 아무런 윤리적인 고민 없이 버젓이 만들어져 같은 시간대에 세워짐으로써 그 노력이 순식간에 허사가 되어버리는 상황에 ‘창조 경제’는 물 건너간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같은 시간대 편성 자체도 꼼수로 보이지만, 그 시간대를 한없이 늘려 당장의 시청률과 시청자를 확보하겠다는 것은 다 같이 죽자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시청자들도 이렇게 한없이 늘어나는 편성시간이 반갑지만은 않을 것이다. ‘좋은 콘텐츠’도 양적으로 늘리다 보면 긴장감 없이 엿가락처럼 늘어지는 콘텐츠가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제 아무리 재밌는 프로그램이라도 네 시간 가까이 되는 양이라면 시청자도 지칠 수밖에 없다. 결국 시청자도 현장 PD도 원치 않는 일을 오로지 시청률을 위해 강행함으로써 방송 질서 자체를 무너뜨리는 일이 되는 셈이다.
그런데 여기서 한번 생각해보자. 왜 KBS라는 공영방송은 이토록 시청률에 목을 매는 것일까. 공영방송이라면 공영방송에 걸맞는 좋은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방영해야 맞는 게 아닐까. 누군가 만들어놓은 걸 아무렇지도 않게 베끼다시피 가져온 것도 공영방송에 어울리지 않는 것이지만, 그것을 꼼수 편성으로 늘려 효과를 보려는 심산은 더더욱 공영방송에는 어울리지 않는 일이다. 이렇게 해서 수신료를 내는 대중들을 어떻게 공감시킬 수 있을 것인가.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설 주병진, 현역 주병진이 되려면 (0) | 2014.04.15 |
---|---|
동정과 비호감, MC몽 바라보는 양극단 시선 (0) | 2014.04.13 |
'무도' 카레이싱, 당장은 무모한 도전 같지만 (0) | 2014.04.07 |
'꽃할배', 나PD는 왜 이서진을 도발할까 (0) | 2014.04.07 |
'웃찾사', 왜 재밌는데 화제가 안 될까 (0) | 201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