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이 시대 주부, 지수의 사랑법

728x90

화영이 가장 원하지만 얻기 힘든 것

어찌 보면 화영(김희애)은 ‘내 남자의 여자’에서 ‘사랑한다’는 말을 가장 많이 하는 캐릭터가 아닐까. 사랑해. 보고싶어. 나 사랑해? 화영은 친구 지수(배종옥)의 남편, 준표(김상중)에게 늘 그렇게 말한다. 준표의 표현대로라면 “늘 도도도도도도...” 이렇게 같은 톤의 표현만 하는 지수하고는 전혀 다르다.

어리석게도 준표는 그 화려하고 다채로운 표현법에다, 식물 같이 보이는 지수와 전혀 다른 동물적 육탄공세의 화영에게 정신이 홱 돌아버린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다. 화영과 딴 살림을 차린 준표는 완전히 갈라서기까지 자꾸 고개가 지수에게 돌아간다. 함께 있을 땐 실감하지 못했던 지수의 모습을 떠올리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가 그렇게 지겨워했던 일상의 반란이다.

일상과 관계는 힘이 세다
화영과 함께 사는 준표에게 지수는 새벽 3시에 전화를 한다. 편도선염으로 고열에 시달리는 아들 경민을 데리고 병원에 가달라는 것. 준표는 두말 않고 새벽길을 달려간다. 그런데 그 새벽 준표는 깨닫는다. 자신은 공짜로 살았다는 것. 이런 새벽길을 지수는 10년 넘게 해왔다는 것을 알게된다.

준표는 차에서 조수석에 앉아 “목말라”하고 말하는 화영에게서, “그냥 물 줘? 녹차?”하고 지수가 하던 말을 떠올리고, “졸려”하고 말하는 화영에게서, “잠이 얼마나 전염성이 강한 건데 잠을 자”하는 지수를 떠올린다. 카라얀은 큰 소리로 들어야 제 맛이라는 화영에게서 논문 쓰는데 방해된다며 숨죽이며 살던 지수를 생각한다.

밥의 기억은 더 지독하다. 화영이 아침으로 주는 빵이나 인스턴트 음식, 심지어는 설익은 감자에 준표는 불평을 하면서 지수가 해주던 밥이 그립다. 심지어 아들 핑계를 대면서 밥 좀 먹여달라며 찾아간 지수네 집에서 두 그릇이나 비우고 생전 안 하던 말, “저녁 잘 먹었어. 고마워.”하는 진심 어린 말을 건네기까지 한다. 준표에게 지겨움으로 인식되던 일상은 그 밖으로 빠져나왔을 때 부메랑처럼 자신을 공격한다.

사는 것과 사랑하는 것, 어느 게 어려울까
아이러니하게도 준표가 지긋지긋하게 생각하던 일상을 깨뜨려 친구의 남자를 얻은 화영이 바란 것 역시 거창할 것 없는 일상이다. 화영은 준표가 주는 생활비에 감동해 울먹일 정도로 뭇 여성들이 갖는 일상을 원하는 여자다. 그러나 화영이 원하는 준표와 ‘슈퍼마켓 가기’나 ‘저녁 산보 가기’는 번번이 일상과 관계의 그물망에 걸린다.

슈퍼마켓에서는 은수에게 걸려 공개적으로 창피를 당하고, 저녁 산보 중 들른 아이스크림 가게에서는 아들 친구에게 딱 걸린다. 그것도 모자라 불륜사실을 알게된 집주인에게 거의 쫓겨나다시피 이사를 하게 된다. 게다가 그녀는 아이를 원하지만 준표는 거기에 진저리를 친다. 모든 여성들이 갖는 일상을 원하는 것이지만 그녀는 거기에 아무런 준비도 되어 있지 않고 자격도 없다.

일상은 힘이 세다. 사랑하는 것보다 더 가치 있는 것, 그리고 어려운 것은 사는 것이다. 그러니 화영은 사랑을 쟁취한 연후에 일상마저 얻으려 애쓴다. 요리학원도 다니고 운전면허 시험도 보고 어울리지 않게 “절약!”을 외치기도 한다. 그런다고 그녀가 평온한 부부의 일상을 얻을 수 있을까. 누군가의 상처를 주고 빼앗은 관계에서 그건 흉내낼 수는 있어도 얻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것도 가장 친한 친구에게서 빼앗은 거라면 더더욱. 그래서 그녀는 늘 도망중이다.

지수의 일상에 담은 사랑, 살림의 사랑법
‘내 남자의 여자’에서 가장 아파하고 힘들어하는 건 지수다. 그녀는 남편과 친구를 동시에 잃었다. 그 둘에게 배신을 당했다. 그런데 그 상황을 더 힘들게 하는 게 있다. 그것은 바로 지수의 사랑법 때문이다. 그녀의 사랑은 남녀로서의 사랑만이 아니다. 말로 백 번 사랑한다 말하는 것보다 그녀는 평범한 일상 속에 사랑을 담아 전한다. 밥 차리고 빨래하고 청소하는 그 모든 행동이 사랑이다. 흔히 일상이란 이름으로 잘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그래서 그녀가 준표에게 했던 사랑은 그녀의 일상 거의 대부분에 남겨져 있다. 그런 준표가 배신을 한 상황이니 그녀는 사는 게 사는 게 아니다. 밥을 하다가, 청소를 하다가, 빨래를 하다가 눈물이 나는 건 살뜰했던 일상이 주는 반격 때문이다. 하지만 그녀는 차츰 회복된다. 아무리 상처를 주었다지만 그것마저 끌어안아 긍정으로 고통을 넘어서려 한다. 살림하는 사람들의 본능이다.

장사를 시작하려는 지수에게 준표는 “살림만 했던 사람이 무슨 장사냐”고 말한다. 지수가 차려준 밥상에서 밥을 허겁지겁 먹는 그가 살림을 그런 식으로 생각하는 것이 비극의 시작이다. 사람. 삶. 살림. 이 세 단어는 모두 ‘살다’라는 말에서 나온 말이다. 그러니 가만 놔두면 죽게되는 것을 살리는 것, 그것이 살림이다. ‘눈에 띄지 않는 것이 살림’이라는 말은 그저 불평이 아니라, 그 속에 행동으로 담겨지는 사랑을 남자들이 잘 보지 못할 때 하는 주부들의 말이다.

지수의 아버지(송재호)가 하듯, 말없이 정원의 풀을 뽑아주고, “넌 된장국을 정말 잘 끓여!”하며 말해주는 것이 ‘사랑한다’는 백 마디보다 더 값진 것이란 걸 알게 해주는 것이 지수의 사랑법이다. 그녀는 석준(이종원)의 화실을 찾아와 이렇게 말한다. “난 밥순이였나봐. 누가 내가 해준 밥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더라.” 그것이 바로 살림하는 사람의 사랑법이다. 바로 이 시대 대부분의 가정을 지키고 있는 주부들이 하고 있는. 그리고 화영이 가장 원하지만 얻기 힘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