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유혹'이 묻는다, 당신의 관계는 안녕하십니까

728x90

<유혹>, 그것은 인간관계일까 거래관계일까

 

그것은 인간관계일까, 거래관계일까. <유혹>에서 3일에 10억을 제안한 세영(최지우)과 그것을 돈 때문에 수락한 석훈(권상우)의 관계는 그저 거래관계였을 뿐일까. 거래관계라면 일한만큼 대가로 돈을 받으면 그걸로 끝일 게다.

 

'유혹(사진출처:SBS)'

하지만 이 파격적인 제안 속에는 두 사람의 미묘한 감정이 뒤섞여 있다. 어린 시절 모래성을 쌓는 아이들을 보면 곧 무너질 걸 왜 쌓고 있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는 세영. 그녀는 모래성 같은 사람 사이의 관계가 돈 앞에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가 하는 걸 석훈에게 보여주려 한다.

 

그런 세영에게 석훈은 되묻는다. 그렇게 아이들이 모래성을 쌓고 있을 때 세영은 무얼 하고 있었냐고. 무너질 모래성이 두려워 그저 옆에서 쳐다보고 있지 않았냐고. 무너지더라도 다시 세울 수 있다는 석훈에게 세영은 아무런 대꾸도 하지 못한다.

 

그런데 이 모래성의 비유는 석훈과 세영의 관계가 단지 거래관계가 아니라는 걸 감지하게 만든다. 거래관계라면 이런 식의 대화는 왜 하는 걸까. 홍콩에서의 거래가 끝나고 국내로 돌아온 세영은 그래서 석훈이 3달러를 주고 산 시간동안 함께 지냈던 잠깐 동안의 추억을 떠올린다. 그 모래성 같은 시간은 지나버렸지만 그 추억은 잔상은 강렬하게 남았다.

 

<유혹>은 보는 관점에 따라 달리 보이는 드라마다. 만일 이 드라마를 전형적인 4각 구도의 불륜 드라마로 본다면 그저 그런 치정 멜로가 될 것이다. 하지만 여기 등장하는 이들이 보여주는 일련의 관계들을 세심하게 바라본다면 자본이 지배한 세상에서 사랑이라는 인간관계가 얼마나 물질과 얽혀 있는가를 발견하게 된다.

 

아이를 키워달라고 하며 보모 일에 대해 돈을 지불하겠다고 하는 민우(이정진)와 돈이면 다 되느냐는 식의 불편함을 토로하면서도 로이에 대한 동정심에 보모 일을 맡는 홍주(박하선)의 관계는 단순한 보모와 아이 아빠의 관계일까. 사실 보모라는 직업 자체가 그렇다. 그것은 냉철하게 뜯어보면 모성애와 돈관계가 뒤얽혀있는 직업일 수밖에 없다.

 

홍주와 로이 그리고 민우의 관계는 그래서 멀리서 바라보면 마치 한 가족처럼 보이고, 또 민우를 쫓아다니며 그 일거수일투족을 카메라에 담는 흥신소 업자들의 시선으로는 딴 살림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것은 가족관계가 아니라 돈 관계가 바탕이 된 보모와 아이, 아이 아빠의 모래성 같은 관계일 뿐이다.

 

그러고 보면 석훈을 빚더미에 앉게 만들고 자살해 버린 도식은 그에게 선배인가 아니면 사업적인 동업자에 불과한가. 사업을 꿈꿀 때만 해도 그들은 친한 선후배 관계였을 게다. 하지만 사업이 망가지면서 서로가 서로에게 부담을 주는 사업관계가 되어버린다.

 

쇼윈도 부부인 민우와 그의 아내는 호텔 레스토랑에서 부부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남편에 대한 신뢰가 거의 없는 아내는 그러나 민우가 건네는 목걸이에 금세 마음이 풀어진다. 그녀는 솔직하게 말한다. “그쪽(불륜을 저지르고 다니는)으로는 최악이지만 이쪽으로는(목걸이 같은 걸 사주는) 최고의 남편이라고. 그래서 그를 사랑한다고. 그러자 민우가 말한다. “널 놓치지 않으려면 회사부터 더 키워야겠다.

 

사람과 만날 때는 속내를 보이지 말라며 포커페이스를 얘기하는 세영에게 석훈은 아픈 이야기를 꺼낸다. 세영이 포커페이스를 얘기하는 건 지금껏 행복한 적도 불행한 적도 없었기 때문이라고. 아프면 아프다 드러내놔야 인간적인 관계도 가능해지는 법이다. 조기폐경이지만 늘 콧대높고 당당해 보이는 세영의 포커페이스는 그래서 안쓰럽게 여겨진다.

 

이 네 사람의 얽히고설킨 관계의 실타리를 풀다 보면 거기에 살짝 겹쳐져 있는 인간관계와 돈 관계의 혼재가 드러난다. 그것은 인간관계일까 아니면 거래관계일까. 이것은 자본주의 세상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이야기다. 불륜이라는 극적 설정을 갖고 있지만 그래서 <유혹>의 질문은 꽤 진지하다. 모래성 같이 얄팍해진 우리들의 관계. 그것은 과연 사랑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