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유혹'은 과연 '밀회'가 될 수 있을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유혹'은 과연 '밀회'가 될 수 있을까

D.H.Jung 2014. 7. 17. 09:56
728x90

'유혹', 권상우는 아내에게 무슨 잘못을 한 걸까

 

SBS 월화드라마 <유혹>의 첫 회 마지막 장면은 도발적이었다. 빚으로 벼랑 끝에 몰린 석훈(권상우)에게 세영(최지우)“3일에 10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10억이라는 액수가 환기시키는 건 다름 아닌 불륜이다. 유혹을 뿌리칠 수 없어 제안을 받아들인 석훈을 놔두고 홀로 귀국한 홍주(박하선)가 상상하는 육체적 관계.

 

'유혹(사진출처:SBS)'

하지만 시청자가 상상하고 홍주가 상상하는 그런 육체적 관계, 즉 불륜은 벌어지지 않았다. 세영이 석훈에게 10억을 주며 한 일이라고는 홍콩에서의 업무를 돕는 것이었다. 사적인 자리라고 해봐야 일을 잘 끝내고 저녁에 와인을 한 잔 같이 한 것 정도. 그것을 갖고 불륜이라고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세영은 석훈에게 어린 시절 모래성을 쌓는 아이들을 보며 바보 같다고 생각했다며 자신은 세영과 홍주에게 파도 같은 존재가 되고 싶었다고 말한다. 그토록 굳건하다 믿는 사랑을 문득 시험해보고 싶었다는 것. 불륜은 벌어지지 않았지만 세영의 말대로 석훈과 홍주의 관계에는 균열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도대체 석훈은 무엇을 잘못한 것일까.

 

문제는 돈이다. 사정이야 어떻든 아내와 돈 10억 사이에서 돈을 선택했다는 사실은 불륜과 상관없이 이미 엇나가버린 석훈과 홍주의 관계를 보여준다. “돈이면 다 된다는 식의 행동에 대해 동생에게 과도하게 발끈하는 홍주는 돈 앞에 어쨌든 무너진 관계를 확인하고는 절망하는 중이다.

 

<유혹>‘3일에 10이라는 설정은 마치 전형적인 불륜 드라마의 하나처럼 오인시키는 구석이 있다. 하지만 2회에서 <유혹>이 보여준 진짜 유혹은 육체적 욕망이 만들어내는 불륜이라기보다는 돈의 유혹이다. 인간관계가 돈 앞에서 얼마나 쉽게 무너질 수 있는가 하는 걸 이 드라마는 마치 그 심리를 실험하듯 보여주고 있다.

 

세영이라는 캐릭터는 그래서 마치 돈의 이미지를 닮아있다. 아이를 가질 수 없는 몸이라는 통보를 무덤덤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은 모성마저 상실한 워커홀릭의 단면을 보여준다. 파트너십을 정하는데 있어 그녀는 상대방이 우익이든 뭐든 개념치 않는다. 석훈이 그런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과 사업을 할 수 있느냐고 말하는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유혹>이라는 드라마가 가진 이런 돈의 이미지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자본주의의 삶이 가진 부박함을 드러낸다. 그 안에서 인간관계란 세영이 말하듯 사실상 돈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모래성같은 한없이 가녀린 것이 된다. 하지만 돈에 아쉬움이 없는 세영이나 민우(이정진)는 아이러니하게도 진정한 인간관계에 대한 갈증을 내포하고 있다. 돈이 지배하는 사회지만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그리운.

 

드라마에서 불륜이라는 소재는 그 자체로 비난의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저 김수현 작가의 <내 남자의 여자>처럼 그 욕망을 적나라하게 탐구할 수도 있고 <밀회>처럼 그 관계 속에서 자본이 만들어내는 불편한 물질적인 삶에 대한 비판을 담아낼 수도 있다. 어떻게 소재를 다루느냐에 따라 불륜이라는 소재가 깊이 있는 작품이 되느냐 아니면 천박한 자극에 머무느냐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유혹>은 어떨까. 과연 이 작품은 불륜이라는 소재를 넘어서는 작품의 밀도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육체적 욕망이 아닌 돈의 욕망을 전면에 내세운 것을 보면 가능성은 충분히 있어보인다. 하지만 저 네 사람의 전형적인 통속극의 구도가 이러한 가능성을 불안하게 만들기도 한다. <유혹>은 과연 <밀회>가 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