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희경 작가는 왜 하필 정신분열을 멜로 소재로 삼았을까
멜로 소재에 정신분열이라니. 우리 드라마사에 이런 남자 주인공이 있었던가. <괜찮아 사랑이야>의 장재열(조인성)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봐왔던 멜로드라마의 남자 주인공과는 확연히 다르다. 그는 아프다. 어린 시절의 자신이 투영된 환시를 볼 정도로 아프다. 심각한 폭력을 겼었고 그 과정에서 아버지는 어머니에 의해 죽고 형이 대신 교도소에 갔다. 장재열의 집안은 그가 정신분열을 앓듯이 모두가 아프고 분열되어 있다.
'괜찮아 사랑이야(사진출처:SBS)'
대신 교도소에서 청춘을 보낸 형 장재범(양익준)은 그 억울함 때문에 동생인 장재범을 죽이겠다고 달려든다. 그에게서는 불쑥불쑥 내재된 공격성이 밖으로 표출된다. 어찌 보면 그는 심각한 폭력 행사를 해왔던 아버지를 닮았다. 출소한 후 집으로 돌아와 어머니를 쩔쩔 못하게 만드는 그 모습은 아버지의 폭력이 여전히 계속 이 집안에 이어지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 그는 정신과 의사인 조동민(성동일)에 의해 치료받고 나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치료가 필요한 환자다.
장재열의 어머니는 사실은 자신이 남편을 죽였다는 사실을 모른다. 순간적인 충동으로 살해를 했지만 기억이 그런 사실을 은폐하고 있는 것. 장재열이 아픈 것은 그 사실을 그는 알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어머니를 구하기 위해 형을 희생시켰고 그것에 대한 깊은 죄책감으로 자신을 파멸로 몰고 간다. 자책의 끝은 자살이다. 이런 문제적인 가정사에 정신분열이라는 심각한 상태를 가진 장재열이라는 남자주인공은 그래서 단순한 멜로의 주인공에 머물 수가 없다.
왜 하필 노희경 작가는 이런 정신분열을 앓는 남자 주인공을 세웠던 것일까. 노희경 작가는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깨고 싶다고 작품의 의도를 밝힌 바 있다. 로맨틱 코미디로 포장을 했지만 본래 하고픈 이야기는 바로 그런 사회적 편견에 대한 것이라는 것. 따라서 <괜찮아 사랑이야>는 최근 들어 사적 멜로가 점점 사라지고 점점 늘고 있는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멜로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멜로로 접근하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우리 사회의 문제가 드러나는.
우리 사회의 폭력성은 개발시대를 거치며 압축성장 과정에서 경제적 지표로 포장되며 마치 없는 것처럼 치부되던 것이었다. 그 과정에는 광주 민주화 운동 같은 거대한 사회적 트라우마도 있었고 비정규직의 문제에서부터 크고 작은 사회적 아픔들이 존재했다. 외형적인 경제성장으로 겉은 번지르르 해졌지만 속은 상처투성이인 우리 사회는 그래서 장재열식의 정신분열을 앓고 있는 지도 모른다. 아버지 시대의 폭력을 넘어섰지만 여전히 그 자장 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 우리는 정치 현장이든 사회의 사건사고든 또 심지어 가족 안에서도 보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10년 연속 자살률 1위다. 왜 그렇게 자기 자신을 파괴로 몰아가는 것일까. 자신을 파국으로 몰아가는 장재열은 그래서 어찌 보면 이 정신분열을 앓고 있는 사회의 안타까운 희생자처럼 보이는 면이 있다. 드라마는 멜로드라마의 틀로 ‘아버지의 문제’를 살짝 저 뒤편으로 숨겨두고 있지만 장재열의 정신분열의 근원은 다름 아닌 아버지의 폭력에서 비롯된다.
흥미로운 건 장재열을 사랑으로 보듬어 주는 정신과 의사 지해수(공효진)의 문제 또한 아버지로부터 비롯된다는 점이다. 그녀의 아버지는 장애를 앓고 있다. 평생 어머니의 병수발을 받아야 하는 무기력한 존재다. 어머니가 다른 남자를 만나고 다닌 것을 그녀는 이해하면서도 동시에 혐오한다. 그녀에게 남성과 스킨십조차 할 수 없는 트라우마가 생긴 건 어머니의 불륜 때문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근원을 따라가면 무기력한 아버지가 서 있는 걸 발견할 수 있다.
<괜찮아 사랑이야>가 그리는 아버지들의 모습은 이처럼 폭력적이거나 무기력하다. 그리고 바로 거기서부터 이 가정의 비극이 시작된다. 한 가족은 집단적인 정신증을 앓게 되고 다른 한 가족은 깊은 트라우마를 갖고 살아간다. 이것은 어쩌면 우리 사회가 겪었고 또 지금도 겪고 있는 사회적 병증의 원인인지도 모른다. 아버지로 대변되는 사회적 권위들은 지금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명량>이나 교황이 신드롬을 일으키는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래도 노희경 작가는 이 심각한 정신분열증을 겪고 있는 장재열로 대변되는 우리들에게 “괜찮다”고 등을 다독인다. 장재열이 정신분열이라는 건 슬픈 일이지만, 그의 주변에서 그를 위해 울어주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다는 건 그나마 희망이 있다는 것이다. 파리한 얼굴로 힘겨워하는 장재열을 껴안아 주는 지해수와 주변인물들에서는 그래서 이 작가가 우리 사회의 아픔을 보듬어주는 듯한 따뜻함을 느끼게 된다.
사랑은 과연 사회적 치유를 얘기할 수 있을까. 흔히들 ‘사랑타령’이라 표현하며 사랑의 가치가 경제적 지표 같은 현실적 가치에 비해 사치일 뿐이라고 말하곤 한다. 하지만 <괜찮아 사랑이야>는 그 사랑이 어쩌면 우리 사회의 아픔을 치유할 유일한 길이라는 걸 말해준다. 물론 여기서 사랑은 사적인 사랑 그 이상의 소통이나 공감 같은 사회적 사랑을 포괄하는 것이지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언맨', 이동욱의 분노 무엇을 말하기 위함일까 (0) | 2014.09.13 |
---|---|
'괜찮아 사랑이야', 괜찮아 조인성이야 (0) | 2014.09.12 |
공효진과 정유미, 로코퀸의 새로운 판도 (4) | 2014.08.30 |
지상파 드라마, 어쩌다 10%가 목표가 됐나 (0) | 2014.08.29 |
'괜찮아 사랑이야', 멜로도 병적 치유로 다뤄지는 멘붕의 시대 (0) | 201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