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아이언맨', 이동욱의 분노 무엇을 말하기 위함일까

728x90

<아이언맨>, 사적인 분노가 아닌 사회적 분노이길

 

KBS의 새 수목드라마 <아이언맨>은 그 제목에서부터 설정 자체가 파격적이다. 분노하면 등줄기에서 칼날이 솟아나는 캐릭터라니. 마블의 슈퍼히어로물에서나 나올 법한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세운 것 자체가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아이언맨(사진출처:KBS)'

물론 드라마가 가진 한계인지는 모르나, <아이언맨>은 아직까지 그 캐릭터의 탄생을 설명하지도 않았고, 또 그 변화가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지를 영상으로 제대로 보여주지도 않았다. 다만 분노가 치밀어 오르면 등에 칼날이 나오는 것을 잠깐 보여줬을 뿐이고 그가 지나간 자리에 싹뚝 잘려버린 나무둥치를 보여줬을 뿐이다.

 

드라마는 이런 비주얼 대신 엉뚱하게도 아이언맨 주홍빈(이동욱)이 가진 남다른 후각에 더 집중시킨다. 그의 후각은 군중들 속에서도 사람을 찾아낼 수 있을 만큼 예민하다. 첫 회가 다소 밋밋하게 시청자들에게 느껴진 건 <아이언맨>이라는 캐릭터가 주는 비주얼적인 기대감을 채워주지 않고 대신 후각이라는 눈에는 보이지 않는 특징으로 주홍빈을 설명했기 때문이다.

 

후각이 예민해지고 등줄기에 칼날이 솟아나는 그 모습은 그래서 주홍빈이라는 캐릭터를 야수처럼 보이게 만든다. 김규완 작가가 다른 작품들을 통해 늘 보여왔던 잔혹동화의 특징을 그래서 이 작품에서도 그대로 느낄 수 있다. 마치 미녀와 야수의 새로운 해석이랄까.

 

하지만 CG를 통해 그 캐릭터가 얼마나 잘 구현됐을까 하는 그런 비주얼적인 관심보다 더 주목되는 것은 이 주홍빈이라는 인물이 분노를 캐릭터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헐크를 연상시키는 설정이지만 분노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현재 우리 사회에 내포된 억압된 감정이다. 사회적 불평등이나 상대적 박탈감, 갑을정서, 무수한 논란들 속에서 불쑥불쑥 솟아나는 그 감정. 분노는 실로 지금 우리 현실이 갖고 있는 감정상태가 아니던가.

 

드라마가 사회적 현실을 외면할 리가 없다. 하다못해 미녀와 야수를 그려도 거기에는 사회적 편견과 선입견을 깨버리는 현실적 모티브가 발견되기 마련이다. 다만 어떤 식으로 그것을 표현해내는가가 중요한 문제다. <아이언맨>은 그 CG 작업이 얼마나 치밀할지 알 수 없지만 적어도 캐릭터 설정만으로는 나쁘지 않은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이제 남은 것은 그 분노가 어디서 비롯된 것이고 그것이 어디를 향하는가 하는 점일 게다.

 

<아이언맨>은 아직까지 그 이유를 속 시원히 설명해주지 못하고 있다. 그저 주홍빈이 자신이 사랑하던 여자를 잃었다는 것이고 그 여자가 낳은 자신의 아이가 다시 자신 앞에 나타났다는 점이며, 그 여자를 연상시키는 냄새의 손세동(신세경)이 눈앞에 어른거린다는 것이다. 또 이 모든 그의 분노의 근원에는 도무지 소통이 될 것 같지 않은 아버지가 있다는 점 정도다.

 

사실 등줄기에 칼날이 나오는 비현실적 캐릭터라고 하더라도, 또 거기에 대한 그럴듯한 나름대로의 과학적 근거를 설명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게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그것은 하나의 상징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그가 그렇게 변하게 되는 이유는 분명해야 한다. 만일 그것이 지극히 사적인 것이라면 그것은 이 상징적인 캐릭터와 어울리기가 쉽지 않다. 싱징이라면 적어도 그 사회가 갖고 있는 집단적인 감정 상태를 끌어안을 만큼의 근거가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이언맨>에서 기대되는 것은 그 캐릭터가 얼마나 멋진 이미지로 구현되는가 하는 그런 점이 아니다. 그것은 그의 분노가 사적인 것을 넘어 사회적인 것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만일 그것이 가능하다면 이 작품은 의외로 꽤 흥미로운 시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에서 슈퍼 히어로물이 시도된 것은 처음은 아니다. 이미 <별에서 온 그대>가 도민준을 창조했으니 말이다. 하지만 사랑이 아닌 분노를 캐릭터화 했다는 건 <아이언맨>의 특별한 점이다. 그 분노의 칼날이 어디를 향할 지는 두고 봐야 될 문제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