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채플린처럼 웃기고 슬펐던 '1박' 김준호, 데프콘옛글들/명랑TV 2014. 10. 21. 09:42728x90
웃긴데 왜 슬플까, <1박2일>의 할머니들
일찍이 혼자된 할머니는 유난히 흥이 많아 보이셨다. 고추 수확 일을 하다 살짝 데프콘에게 한 눈을 팔던 김준호가 마치 도망친 것처럼 숨자 할머니는 갑자기 “마음 약해서- 잡지 못했네- 떠나버린 그 사람-”을 불러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다. 그런데 그 장면은 이상하게 마음이 짠했다. 그 할머니의 흥 속에 숨겨진 한 같은 것이 동시에 느껴졌기 때문이다. 김제로 떠난 <1박2일>은 내내 웃음과 슬픔이 교차하는 시간이었다. 너무너무 웃긴데 한없이 슬픈.
'1박2일(사진출처:KBS)'
김제 신덕마을에서 펼쳐진 ‘전원일기’ 특집의 주인공은 오롯이 할머니들이었다. <1박2일> MC들은 그저 거들뿐, 사실상 이 방송의 웃음도 슬픔도 따뜻한 정도 할머니들이 만들어주셨다. 잔뜩 주름진 얼굴에 깃든 세월의 흔적은 할머니들의 삶에 드리워진 결코 쉽지 않았을 노동의 강도를 고스란히 드러내고, 그럼에도 노래하고 춤추는 모습에서는 그렇게 해야 버텨낼 수 있었을 신산한 삶이 느껴진다.
상다리가 부러지게 차려놓고도 “차린 게 없어 어떡하냐”고 내주시는 밥상에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 뭉클하게 묻어나고, 촬영이고 뭐고 카메라 들고 있는 스텝이 눈에 밟혀 “밥 먹고 하라”시는 말씀에는 그 분들이 살아오셨을 그 정 가득한 삶이 그대로 느껴진다. 집안에 꺼져버린 형광등, 고장 난 노래방 기기 하나도 예사롭지 않았다.
아마도 시청자들은 그 꺼진 형광등을 다시 켜주는 멤버들의 모습을 통해 할머니들의 마음 한 구석이 환히 밝아지길 기원했을 것이다. 김준호가 고장 난 노래방 기기를 고쳐 할머니와 함께 흥겨운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장면은 그래서 마치 <인생은 아름다워>의 로베르토 베니니나 <모던 타임즈>의 찰리 채플린처럼 우스우면서도 슬펐다.
그들과 함께 울어주기보다는 오히려 한껏 웃게 함으로써 눈물을 웃음으로 전화시키는 모습들은 그것이 바로 코미디의 본령이라는 걸 깨닫게 해주었다. 그 와중에 가장 드러난 것은 김준호와 데프콘이다. 김준호는 그가 타고난 코미디언이라는 것을 이번 특집에서 발견하게 했다. 그는 <1박2일>의 얍쓰 캐릭터 그대로 일은 안하고 할머니와 놀려고만 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바로 거기에서 그의 마음이 느껴졌다. 너무 일만 하시고 사신 할머니들이 얼마나 눈에 밟혔을까.
데프콘은 일손이 없어 벌써 제거했어야 할 잡초가 무성한 논을 보며 젊은이들이 없는 농촌의 현실을 슬쩍 끄집어냈다. 그리고 ‘힙합 비둘기’다운 모습으로 할머니와 듀오(?)를 이뤄 힘겨운 노동을 힙합으로 풀어냈다. 할머니를 업어주고, 방에 잠시 뉘이게 한 후 자신은 다시 논으로 와 혼자 잡초를 뽑는 모습에서는 그의 진심이 느껴졌다.
드라마든 예능이든 많은 프로그램들이 최근 들어 농촌으로 향한다. 하지만 그 많은 프로그램들 속에서 <1박2일>의 전원일기 특집은 최고의 훈훈함을 전해주었다. 과거 2009년도에 경북 영양 기산리에서 했던 ‘집으로’ 특집 이후 가장 훈훈하고 정이 넘치는 <1박2일>을 보여주었다.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아 결국은 눈물을 쏟아내던 출연진들과 할아버지 할머니의 모습이 여전히 생생했던 그 기억을 이번 ‘전원일기’ 특집은 다시 떠오르게 만들었다.
찰리 채플린이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이고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는 말은 이번 전원일기 특집에 딱 어울리는 이야기일 것이다. 그 농촌에서 벌어진 1박2일 간의 풍경은 왁자한 웃음으로 먼저 다가오지만 그 안으로 점점 들어갈수록 먹먹한 슬픔을 보여준다. 마치 채플린처럼 김준호와 데프콘은 그 안에서 할머니들과 함께 나눈 웃기면서도 슬픈 정을 시청자들에게 전해주었다. 2009년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그 장면들은 또한 오랜 여운으로 두고두고 얘기될 것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이 대세? '헬로 이방인' 효과 없는 까닭 (0) 2014.10.25 서태지도 김창완도 인정한 아이유의 대견함 (0) 2014.10.22 '학교'에 에네스가? JTBC가 예능 영토를 넓히는 방식 (1) 2014.10.20 망했다고 하니 재밌어지는 '삼시세끼'의 역설 (0) 2014.10.19 '꽃보다' 시리즈와는 다른 '삼시세끼'의 관전 포인트 (1) 201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