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오만과 편견'의 연애, 득일까 독일까

728x90

지상파 드라마, 왜 연애를 버리지 못할까

 

MBC <오만과 편견>은 검사들이 주인공이다. 소위 말하는 나쁜 놈들때려잡는 검사들의 이야기. 그런데 눈에 띄는 것은 이 하드보일드 할 것만 같은 드라마에 남녀 주인공 간의 미묘한 의 기류가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한열무(백진희)는 무슨 이유 때문인지 힘겹게 검사가 되어 굳이 구동치(최진혁)가 있는 지검으로 자청해 들어온다.

 

'오만과 편견(사진출처:MBC)'

이들은 과거 서로 사귀던 사이였지만 어떤 사건(?) 때문에 헤어졌다. 그들이 다시 만나 생겨나는 묘한 연애의 기류. 왜 이 검사들의 나쁜 놈들과의 전쟁 이야기에 연애가 들어 있는 걸까.

 

어찌 보면 이것은 이질적인 요소처럼 보인다. 첫 회에서 <오만과 편견>이 다룬 것은 아동 성추행범을 검거해내는 과정이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도 한열무와 구동치의 밀당은 계속 이어졌다. 마지막에 어찌 어찌해 성추행범들을 검거한 후에 한열무가 구동치에게 보내는 시선은 연애감정을 떠올리기에 충분했다.

 

이것은 2회에서 마약을 거래하는 범인들을 잡고는 한열무가 구동치와 강수(이태환)가 함께 기거하는 숙소로 들어오는 내용이 담겼다. 숙직실에서 지내는 한열무에게 자기가 마음이 불편하다며 호텔에서 자라는 구동치의 말에 그의 숙수로 들어온 것. 첫 회에서도 살짝 보인 것이지만 한열무, 구동치, 강수는 전형적인 삼각 멜로의 구도를 보인다.

 

<오만과 편견>이라는 검사들의 범인 잡는 장르물에 굳이 멜로가 들어간 이유는 명백하다. 지상파 드라마의 불문율로 자리하고 있는 멜로 없이는 안 된다는 생각 때문이다. 실로 지상파 드라마에서 멜로란 불가근불가원(不可近不可遠)’, 즉 너무 가까이 해도 너무 멀리 해도 안되는 어떤 것이다. 너무 멜로에만 매몰되다 보면 그저 그런 식상한 드라마로 전락하고, 그렇다고 아예 빼버리면 대중성이 사라져버리는 결과를 만들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 방영되고 있는 월화드라마들의 면면을 보면 멜로가 드라마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BS <비밀의 문>은 아예 멜로 구도 자체를 만들어내지 않고 영조(한석규)와 사도세자(이제훈)의 맹의를 둘러싼 대결구도에만 천착하고 있다. 드라마는 흥미진진하지만 시청률은 낮다. 멜로라는 일종의 윤활유가 빠져버린 탓이다. 한편 KBS <내일도 칸타빌레>는 클래식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그 메인은 차유진(주원)과 설내일(심은경)의 청춘 멜로가 차지하고 있다. 거기에 어떤 현실적인 사회성이 들어 있지 않은 이 멜로는 그 결과로 시청률이 낮다.

 

결과적으로 이야기하면 <오만과 편견>의 사회성과 멜로를 적절히 섞은 선택은 현재의 지상파 드라마의 시청 패턴 속에서는 옳은 선택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시청률 같은 대중성을 잣대로 두고 볼 때 그렇다는 것이지, 작품 자체의 완성도에 있어서 그렇다는 얘기는 아니다. 즉 어찌 보면 억지로 엮은 듯한 멜로는 지상파 드라마의 필요악처럼 여겨진다는 점이다.

 

그러고 보면 최근 케이블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tvN <미생>OCN <나쁜 녀석들>은 오히려 멜로가 없어서 잘 된 작품들이다. 사실 <응답하라> 시리즈의 성공 이후 쏟아져 나온 tvN표 드라마들이 계속 로맨틱 코미디의 언저리를 방황하다가 추락하게 됐던 사실과, 최근 멜로 없는 <미생>의 성공은 그래서 케이블 드라마를 찾아보는 시청자의 시청패턴이 지상파와는 사뭇 다르다는 걸 말해준다.

 

케이블이 보다 높은 완성도와 리얼리티를 위해 멜로를 과감히 배제하고 있는 반면, 지상파는 괜찮은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대중성을 위해 어디나 멜로를 끼워 넣으려 한다. 지상파의 이른바 보편적 시청층이라는 타깃은 그래서 어떤 면에서는 드라마의 완성도를 저해하는 족쇄가 되기도 한다. 물론 그러면서도 케이블은 지상파가 시도할 수 있는 보편적 타깃을 부러워 하지만.

 

<오만과 편견>이 보여주고 있는 장르물의 성격과 멜로의 퓨전은 그래서 지금 현재 지상파 드라마들이 갖고 있는 힘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준다. 혹자는 이 드라마의 연애가 장르물의 몰입을 방해한다고 여길 것이고, 혹자는 바로 그 연애가 있어 장르물의 딱딱함을 견뎌낼 수 있다고 말할 것이다. 물론 이것은 <너의 목소리가 들려><별에서 온 그대>처럼 복합 퓨전 장르물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독특한 우리네 드라마의 색깔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그것은 멜로라는 족쇄를 벗어나지 못하는 우리 드라마의 한계일 수도 있다. 당장의 시청률에는 득이 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 보면 독이 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