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의 문>이 현실에 던지는 날선 문제의식
“어떤 진실 말인가. 아비가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아들에게 살인을 청부했다. 헌데 쓸모없어지니 버리려 한다. 국청에서 보여준 아비노릇은 가증스러운 연희에 불과했다. 이런 진실을 말인가?” 김택(김창완)의 숨겨진 아들 김무(곽희성)는 세자 이선(이제훈)의 추궁에 이렇게 답한다. 결국 김무는 아비인 김택이 자신을 이용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 하지만 안다고 해도 자신 같은 놈을 “아들이라 당당히 말해준” 아비의 추억이라도 갖고 죽겠다는 것이다.
'비밀의 문(사진출처:SBS)'
이 장면은 SBS <비밀의 문>이 다루고 있는 영조(한석규)와 사도세자의 이야기의 복선이자 데자뷰인 셈이다. 아버지가 정치적인 이유로 아들을 이용하고 결국 죽음에 이르게 만드는 이 김택과 김무의 이야기는 앞으로 펼쳐질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그대로 재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선은 김택이 적어도 “아들의 진심조차 계산에 넣은 것”이 아니기를 바랐지만 김택은 잔인하게도 이런 바람마저 깨버린다. “천한 것들은 원래 잔정에 약하다”는 말로.
<비밀의 문>이 영조와 사도세자의 과거 이야기를 빌어, 현 대중들이 갖고 있는 ‘진실’에 대한 갈증을 다루고 있다는 건 이미 드라마 초반부터 드러난 바 있다. 이선이 점점 진실에 가까이 다가갈수록 아버지 영조와 노론이 결탁한 사실에 근접하게 되고, 영조는 이것이 밝혀지지 않게 하기 위해 끝없이 노론의 수장인 김택과 거래를 한다.
여기에는 두 개의 세계가 부딪친다. 하나는 정치꾼들처럼 권력을 유지하고 쟁취하기 위해 끝없이 거래하는 어른들의 세계이고, 다른 하나는 순진하지만 오로지 백성을 위해 또 진실을 밝히기 위해 눈빛을 반짝이는 아이의 세계다. 어른들이 아비의 세계라면 아이는 아들의 세계다. 이것은 심지어 소론이면서 이선을 남모르게 도우려는 박문수(이원종)도 마찬가지다. 그는 아이의 그 순수함을 지켜내고 싶지만 어른들의 세계가 가진 거래의 무서움을 알고 있다.
<비밀의 문>이 다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그 이야기 자체가 어렵다기보다는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우리가 지금껏 알던 것과는 달리 풀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 그 이야기가 아버지와 아들의 대결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낯설게 다가올 수 있다. 게다가 여기서 아버지라는 존재는 권력을 쥐기 위해 아들에게 살인을 청부하거나(김택), 아들을 살인용의자로 지목해 의금부 감옥에 가두는(영조) 인물들이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아들을 죽게 만들고 그 아버지와의 정이라는 진심마저도 이용하는 인물들이다.
조선시대의 궁이라는 역사적 시공간을 떼어놓고 보면 이 사극은 살벌한 가족극에 가깝다. 아버지와 아들이 대립하고 며느리는 자신의 정치적인 목적 때문에 남편을 구하기 위해 네 살 박이 아들을 무릎 꿇여 시아버지 앞에서 시위를 한다. 장인은 진실을 밝히려는 사위와 뜻을 함께 하기보다는 정치적인 이득을 놓고 모든 사건을 덮는데 앞장선다. 실로 비정한 가족(?)이 아닌가. 그리고 그 끝은 우리가 이미 역사를 통해 알고 있듯이 아들을 뒤주에 가둬 죽음에 이르게 하는 아버지의 이야기다.
왜 <비밀의 문>은 굳이 조선시대의 영조와 사도세자의 이야기까지 끌고 와 아버지와 아들의 대결을 보여주는 것일까. 그것도 역사적 기록과는 전혀 다른 해석으로.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는 나라’라는 표현은 살벌하지만 안타깝게도 이것은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우리네 현실 그대로다. 아버지를 어른으로, 아들을 아이로, 또 아버지를 기득권층으로 아들을 서민들로, 또 아버지를 기성세대로 아들을 청춘들로 바꿔 바라보면 그 몇 백 년의 세월을 훌쩍 넘은 현재까지 또다시 재연되고 있는 비극을 실감할 수 있다.
각종 사건 사고 속에서 어른들의 잘못으로 아이들이 죽음을 맞이하고, 한창 피어날 청춘들이 경제적 볼모가 되어 잉여의 세상에 버려지는 곳. 어버이라는 단어가 내포한 정마저 정치적 쇼로 활용되는 나라, 그 곳이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야합과 결탁의 결과로 정통성의 부족 때문에 생겨난 이 비극은 우리의 근대와 현대를 관통하고 있는 아픔의 정체이기도 하다. 아버지와 아들로 대변되는 세대 간의 대립은 그래서 더 아프다.
“모진 아비 만나 고생이구만.” 아비 때문에 죽음을 앞둔 김무가 이선에게 체념한 듯 던지는 이 말은 그래서 비수처럼 우리의 가슴을 찌른다. “아비와 아들, 어미와 자식들, 형제와 자매 그리고 친구. 삶은 그들로 인해 따뜻하지만 때론 모순된다.” 김무의 체념을 보고 발길을 돌리며 이선이 던지는 나직한 이 말 속에는 지금의 청춘들이 어른들에게 갖고 있는 양가적이고 모순된 마음이 아프게도 드러난다.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는 나라라니. <비밀의 문>이 던지는 날선 문제의식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만과 편견'의 연애, 득일까 독일까 (0) | 2014.10.30 |
---|---|
'미생'의 몰입감, 임시완과 이성민 덕분이다 (0) | 2014.10.27 |
임시완이란 청춘의 자학, '미생'이 더 슬픈 이유 (0) | 2014.10.20 |
'내일도 칸타빌레', 심은경에게 왜 힘겨운 도전일까 (1) | 2014.10.17 |
지상파 드라마, 이제 아침드라마만 살아남나 (0) | 201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