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시간마저 담는 '삼시세끼', 이것이 정착 예능이다

728x90

정착 예능의 시작, <삼시세끼>의 성공비결

 

도대체 이 세계의 무엇이 우리를 이토록 마음 훈훈하게 만들었을까. 과거 나영석 PD<12>유목 예능(?)’의 문을 활짝 열었다면, <삼시세끼>는 이른바 정착 예능의 시작을 알리는 듯하다. 아무 것도 하는 일 없고, 그저 잠시 멈춰서 있는 것처럼 보인 이 <삼시세끼>라는 정지의 시간은 우리가 그토록 바쁘게 움직이고 이동하느라 보지 못했던 것들을 발견시켰다. 거기에는 우리가 잃어버렸던 시간들이 비로소 손에 잡히는 기적 같은 순간들이 있었다.

 

'삼시세끼(사진출처:tvN)'

유목 예능이나 정착 예능이나 도시를 떠난다는 사실은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 두 다른 성격의 예능은 시간에 대한 전혀 다른 접근방식을 보여준다. ‘유목 예능은 끝없이 움직이고 이동함으로써 도시의 삶이 우리에게 부여한 시간의 일상화를 깨는 힘을 발휘했다. 늘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서 반복적으로 살아온 도시인들에게 여행의 의미는 바로 그 일상 탈출에서 찾아지는 것이 아닌가.

 

하지만 <삼시세끼> 같은 정착 예능은 그렇게 부유하며 끝없이 바쁘게 떠돌 듯 시간을 살다보니 정작 손에 잡히지 않고 하나로 묶여지지 않는 시간의 의미를 새삼스럽게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를 떠나 정선의 한 공간에 들어간 두 남자는 가을에서 겨울까지를 지내며 도시에서는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던 시간들을 한 웅큼 잡아낸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쌓여가는 것들. <삼시세끼>라는 정착 예능이 놀라웠던 것은 그 쌓여가는 시간을 우리 앞에 보여줬기 때문이다.

 

집 한 쪽 옆으로 가득 메워져 수수노예들을 양산했던 거대했던 수수밭이 어느 순간 다 거둬져 그 수수가 껍질이 벗겨지고 빻아지고 수수부꾸미로 재탄생하는 그 과정은 시간이라는 마법이 없다면 불가능한 일들이다. 작은 상자 속에 누워있던 밍키가 어느새 훌쩍 자라 집을 기웃거리는 동네 개들을 쫓아내며 제법 역할을 하게 만든 것도 그 시간의 힘이고, 처음에는 초라하기 이를 데 없던 밥상이 차츰 채워지며 이 초보 농부들에게도 그 밥상을 더 채우고픈 마음을 들게 만든 것도 그 시간이 가능하게 한 일들이다.

 

여행과 농사는 마치 인류가 유목을 하다가 정착함으로써 문화를 만들어냈던 그 원천이다. 멈춤으로써 사람은 비로소 그저 산개하고 날아가 버리던 시간을 축적해 무언가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 <삼시세끼>는 물론 그것을 의도하고 만든 것은 아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면 그 정착을 통해 하나하나 쌓여진 시간들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들인가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되었다.

 

찾아왔던 사람들과의 즐거웠던 기억 하나하나는 그 삼시세끼집 구석구석에 흔적으로 남아있다. 최지우가 담가놓았던 김치를 서진과 택연이 꺼내 김치찌개를 끓여먹고, 서진이 갖다놓은 화목 난로에 먼저 도착한 택연이 불을 피운다. 하다못해 아궁이에 땔감을 던져 넣을 때마다 그들은 어쩌면 어르신들이 오셨을 때 끓였던 곰탕과 고아라와 택연이 그 앞에서 알콩달콩 보냈던 그 시간들을 떠올릴 것이다.

 

이것이 시간의 진정한 의미다. 우리는 어쩌다 보니 도시에서 살며 시간의 향기를 잃어버렸다. 매일 매일 반복적으로 시간을 쓰고 하루를 보내다보니 정착해 있어도 그 시간이 어떤 의미인지 점점 잊게 된 것이다. 물론 잠시 동안의 피곤을 풀어주는 왁자지껄함이 있지만 그것도 어떤 손에 잡히는 시간의 묶음으로 우리에게 다가오지 못한다. <삼시세끼>는 그 시간의 묶음으로 한 다발 우리에게 선사했다.

 

<삼시세끼> 같은 정착 예능이 별거 아닌 것처럼 보여도 우리의 마음을 흔드는 것은 그만큼 의미 없이 흘러가는 시간 앞에 우리들의 마음 한 구석이 어떤 갈증을 느끼고 있었다는 걸 말해준다. 사실 삼시세끼 먹는다는 사실, 그것이 바로 시간의 진정한 의미인지도 모른다. 화려한 메뉴가 아니라고 해도 누군가와 진정한 소박한 한 끼를 나누는 그 진정한 시간에 대한 희구. <삼시세끼>가 이토록 우리의 마음을 뒤흔든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