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비정상회담' 1년, 이 돌연변이 예능이 바꿔놓은 것들 본문

옛글들/명랑TV

'비정상회담' 1년, 이 돌연변이 예능이 바꿔놓은 것들

D.H.Jung 2015. 7. 1. 12:00
728x90

<비정상회담>, 스튜디오에서도 연예인이 아니어도

 

벌써 1주년이란다. 짧다면 짧은 시간이지만 그 1년 간 <비정상회담>이 만들어낸 파장은 적지 않았다. “정상인 듯 정상 아닌 정상 같은 너로 시작했지만 <비정상회담>은 적어도 토크쇼의 신기원을 만들었고, 그 분야에서 정상의 위치에 올랐다. JTBC라는 플랫폼이 지상파와는 다르지만 그 플랫폼의 인지도를 만들어내는데 있어 <비정상회담>은 마치 돌연변이 같은 힘을 발휘한 것이 사실이다.

 


'비정상회담(사진출처:JTBC)'

<비정상회담>이 이끌어낸 건 외국인 출연자 전성시대. 이전까지만 해도 대중들이 방송을 통해 접해온 외국인들은 그저 한국말을 잘하는 신기한 존재들이었다. 하지만 <비정상회담>은 달랐다. 그들은 각국의 문화를 소개해주고 또 우리 문화에 대한 각자의 식견을 밝히는 지적인 인물들이었고, 한편으로는 언제든 재치 있는 끼로 즐거움을 줄줄 아는 존재들이었다. 이 진지함과 경쾌함의 조화 속에 우리가 갖고 있던 막연한 외국인들의 이미지는 좀 더 가까이 대중들에게 다가올 수 있었다.

 

<비정상회담>이 놀라운 건 이 회의 테이블(?)에 올라온 토론의 주제가 논술시험에 내놔도 괜찮을 법한 것들이었다는 점이다. 외국인들이 각국의 문화에 맞춰 다채롭게 바라보는 주제에 대한 시선은 시청자들의 식견을 한층 넓혀주었다. 가벼운 문화의 차이에서부터 안락사나 동성애, 낙태, 전쟁 문제 등에 이르기까지 이 테이블 위에는 뭐든지 오를 수 있었다. 그것은 정상회담이 아닌 비정상회담이라는 타이틀을 달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비정상회담>이라는 예능의 테이블은 무거운 주제도 즐거운 토론이 될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 토론 프로그램에서는 결코 볼 수 없었던 일이다.

 

외국인들이 나오고 또 그 토론 주제가 진지한 문제들이지만 그것이 시청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는 것은 <비정상회담>이 지상파 토크쇼들에게 던지는 질문이기도 했다. 늘 연예인들이 나와 그들의 시시콜콜한 사생활을 털어놓는 것이 지상파 토크쇼가 오래도록 해왔던 것들이다. 한 때는 그것이 시청자들의 시선을 잡아끌었지만 지금은 식상해진 것이 사실. <비정상회담>은 연예인이 아니어도, 또 사생활 토크가 아니어도(아니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충분히 된다는 걸 보여줬다.

 

하지만 뜨거운 화제에 오른 만큼 논란도 많았던 <비정상회담>이었다. 기미가요 논란이 터지기도 했고, 에네스 카야의 사생활 논란은 프로그램의 위기설을 만들기도 했다. 여러모로 외국인들이라는 새로운 인물군들을 출연시키면서 생겨난 논란들이었다. 지금껏 어떠한 전례도 없었기 때문에 이 경험은 향후 <비정상회담>에는 꽤 쓴 약이 되지 않았을까 싶다. 출연자들에 대한 관리와 이문화를 다룰 때 조심해야 될 민감한 부분들에 대해 <비정상회담>은 비싼 수업료를 낸 셈이다.

 

무엇보다 <비정상회담>의 성과는 그간 야외 예능의 전성시대에 가려 점점 힘이 빠져가고 있던 스튜디오 예능에 그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이다. 스튜디오가 문제가 아니라 그 안에서 다뤄지는 내용이 문제라는 것. 새로운 인물군을 찾고 콘텐츠를 달리하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는 걸 <비정상회담>은 보여줬다.

 

이제 겨우 1년이 지난 것이지만 <비정상회담>이 만들어낸 길은 의외로 넓고 새롭다. 그 길의 연장선으로서 <냉장고를 부탁해> 같은 프로그램이 가능했을 것이다. 외국인 대신 셰프를 세우고 그들의 콘텐츠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스튜디오물을 만든 것이 이제는 셰프의 전성시대로까지 이어지고 있지 않은가. 스튜디오물의 돌연변이처럼 나타난 <비정상회담>1년은 그래서 지금 현재 예능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의 1년이 더 기대되는 프로그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