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차승원과 송일국, 또 다른 차원의 딜레마 본문

옛글들/명랑TV

차승원과 송일국, 또 다른 차원의 딜레마

D.H.Jung 2015. 7. 3. 09:00
728x90

예능으로 펄펄 나는 배우들, 드라마 이미지는 어쩌나

 

매우 쳐라!” 사극에서 흔히 나오는 긴박한 상황과 대사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이 뒤에 박수를...”이라는 대사가 덧붙여지며 이 긴장감은 웃음으로 전화된다. 차승원이 현재 SK텔레콤의 이상하자캠페인으로 하고 있는 광고의 한 장면이다. 그는 이 광고에서 곤룡포를 입고 걸어 다닌다. 그 왕의 이미지는 당연히 지금 현재 방영되고 있는 MBC 사극 <화정>의 광해에서 나온 것이다. 사극 속 근엄했던 왕은 극이 끝나자마자 광고 속으로 들어와 우스꽝스런 모습을 보여준다. 이건 광고를 위한 사극인가.

 


차승원 SKT 광고 캠페인(사진출처:SKT)

이 광고의 캐치 프레이즈가 이상하자. 주로 서비스의 혁신을 기상천외한 이상한 상황들을 통해 강조하는 광고 캠페인이다. 사극을 배경으로 그 시대와는 전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하이힐이나 스마트폰 같은 현재의 문물들이 소개되는 장면들이 이어지며 이상한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고 말한다. 광고로만 보면 괜찮은 커뮤니케이션 전략이다. 하지만 지금 한창 방영 중인 드라마를 생각해보면 어떤 충돌지점이 느껴진다. <화정>에서 연기하는 차승원은 한껏 냉혹한 얼굴을 드러냈다가 광고 속에서 그 모습 그대로 등장해 그걸 무너뜨리는 중이다. 이건 과연 괜찮은 일일까.

 

드라마 속 이미지와 실제 모습을 분리해서 보는 시각은 이제 시청자들로서도 낯선 것이 아니다. 그러니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 그 주인공이 현실에서 광고를 하든 예능을 찍든 그게 무슨 상관이냐고 말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도 어느 정도가 있을 것이다. 드라마 속 캐릭터는 결국 몰입에 의해 그 힘을 얻을 수밖에 없다. 그런데 그 캐릭터의 몰입을 동시적으로 깨는 작업을 한다는 건 과연 시청자를 배려하는 일일까.

 

차승원은 <삼시세끼> 어촌편을 통해 차줌마라는 캐릭터를 갖게 되었다. 그 예능 캐릭터 때문에 <화정>이라는 사극을 시작할 때 부담이 됐었던 것도 사실이다. 왕의 이미지와 차줌마의 이미지는 순식간에 지워지고 새로 그려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 부담감을 토로하기도 했던 차승원이 이런 광고를 선뜻 하고 있다는 건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것은 광고를 위해서는 최선의 선택이 될 수 있지만, 드라마를 위해서는 최악의 선택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최근 KBS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통해 엄청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송일국이 KBS1TV의 차기 주말사극인 <장영실> 출연을 두고 고심 중이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사극의 노동 강도는 그 어떤 드라마보다 강하다. 따라서 <장영실>을 찍으며 동시에 <슈퍼맨이 돌아왔다>를 강행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송일국이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하차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돌았지만 제작진측은 전혀 그런 일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당연한 얘기다. 현재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송일국과 삼둥이는 중심축이나 다를 바 없다. 그러니 이들이 하차한다는 건 프로그램에 직격타가 될 수밖에 없다. 그걸 송일국 당사자도 모르는 바는 아닐 것이다. 하지만 송일국은 그 본질이 배우다. 언제까지 계속 예능으로 쌓은 이미지로만 살아갈 수는 없다는 얘기다. 그러니 <장영실> 같은 괜찮은 작품의 캐릭터라면 연기하고픈 마음이 클 것이다.

 

KBS 측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고 싶을 것이다. <슈퍼맨이 돌아왔다>도 하고 <장영실>도 하고. 그런데 여기서도 역시 저 차승원과 비슷한 딜레마가 생긴다. 장영실 캐릭터를 연기하게 된다면 그 이미지와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이미지가 어떤 식으로든 마찰을 일으킬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드라마와 예능의 병행이 가져올 엄청난 노동 강도는 양자를 모두 충실하지 못하게 만들 수도 있다.

 

연기와 예능은 병행해도 무관하고 또 그래야 하는 시대다. 하지만 그것이 동시에 이뤄지는 것은 양측에 모두 부담이 될 수 있는 일이다. 가끔씩 예능 프로그램을 하던 인물이 드라마를 하게 되는 경우를 종종 우리는 봐 왔다. 그 때마다 느끼는 건 드라마에 의해 축적된 피로감이 예능에서 고스란히 드러나곤 했다는 점이다. 그건 정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부작용으로 드러날 것이다.

 

최근 들어 예능으로 펄펄 나는 배우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그러다보니 이 배우들이 작품에 들어갔을 때 생겨나는 딜레마들도 점점 커지고 있다. 물론 예능도 잘하고 연기도 잘하는 배우들을 대중들은 원한다. 하지만 적어도 최소한의 지켜야할 것은 지켜야 하지 않을까. 사극에서 세운 캐릭터를 광고에서 웃음으로 소비해버린다거나, 과중할 수밖에 없는 동시 출연으로 양측에 모두 충실할 수 없다면 그건 고스란히 시청자들에 대한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