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맹기용의 선택, 그나마 현명했던 까닭

728x90

맹기용 사태 복기를 통해 보는 대중과의 소통

 

맹기용은 결국 JTBC <냉장고를 부탁해>에서 자진하차를 선택했다. 몇 주 전에 이미 찍었던 분량이 다 방영되었고 그 후에 찍은 분량이 없으니 자연스럽게 하차 수순을 밟은 것이나 다름없다. 그래도 맹기용은 용기를 내 프로그램에 대한 고마움과 미안함 그리고 대중들에게 불편함을 끼친 점에 대해 죄송하다고 말했다.

 


'냉장고를 부탁해(사진출처:JTBC)'

사실 맹기용이 이렇게 사과할 일은 아니었다. 왜냐하면 이 사태는 맹기용의 잘못이라기보다는 그를 출연시켜 대중들에게 선보이는 과정에서 일어난 제작진의 실수들이 겹치면서 생겨난 일이기 때문이다. 아직 경험이 일천한 셰프라면 거기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했어야 하는 게 맞다. 하지만 <냉장고를 부탁해>는 대중들이 맹기용을 어떻게 생각하고 받아들일지에 대해서 그리 깊게 고려하지 않았다.

 

이것은 큰 실수였다. 왜냐하면 어떤 프로그램이든 새로운 인물을 들이고 내는 일이 그저 제작진의 자의적인 일이 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출연자들은 시청자들과 관계를 맺기 마련이다. 그러니 철저히 시청자들 입장에서 누가 나가고 누가 들어오는가에 대해 면밀히 그 생각과 감정들을 읽었어야 마땅하다. 이것은 마치 가족에 누군가를 새로 입양시키는 것과 마찬가지의 중대한 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냉장고를 부탁해>는 처음의 소소함을 훌쩍 벗어나 이제 가장 주목받는 예능 중 하나로 떠올랐다. 셰프의 전성시대를 만든 만큼 그 셰프들에 대한 대중들의 검증은 더 면밀해줄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마치 MBC <나는 가수다>가 점점 위상이 높아지면서 출연 가수들에 대한 검증이 치열해졌던 것과 똑같은 양상이다.

 

따라서 맹기용을 이 프로그램에 제대로 안착시키려 했다면 그의 진솔한 면면을 있는 그대로 다 드러내고 하는 편이 나았다. 그래서 도무지 이 프로그램에 적응하는 게 쉽지 않은 모습부터 시작했다면 훨씬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과정들이 나오지 않고 떡 하니 앉아 그것도 실험적인 요리로 첫 선을 보였다는 건 무리수가 아닐 수 없었다.

 

그렇게 맹모닝 샌드위치로 첫 번째 논란이 터졌을 때도 제작진은 기회가 있었다. 거기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을 부인하거나 무시하기보다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가 필요했다. 그랬다면 최현석 셰프나 김풍의 SNS를 통한 메시지들이 또 다른 논란으로 이어지는 걸 방지할 수 있지 않았을까.

 

두 번째와 세 번째 출연해서 연속으로 2연승을 하게 된 것은 결과적으로 보면 맹기용에게는 오히려 독이 되었다. 그것은 제작진이 여전히 맹기용은 이 프로그램에 출연할만한 자격과 능력이 있는 인물이라는 것을 강변하는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것은 이미 엇나간 대중들의 시각에서는 오히려 맹기용을 지원하는제작진으로 비춰질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맹기용을 위한 듯 만들어져 붙여진 프로그램 말미의 편집본은 사족이나 다름없었다. 이 상황이 되면 이제 대중들은 맹기용과는 상관없이 자신들의 뜻과는 반대의 각을 세우는 제작진과 대결구도를 갖게 된다. 문제는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이런 논란이 터질 때마다 착각하는 것이 있다. 그것은 자신들이 보기에는 아무 문제가 없고 심지어는 너무 괜찮은 사람인데 왜 그런 논란이 터지는가 하고 의아하게 생각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면 결국 대중들과 부딪칠 수밖에 없다. 여기서 간과하고 있는 건, 프로그램을 소비하는 건 제작진이 아니라 시청자라는 점이다. 시청자들에게 제작진이 좋다고 좋아할 의무 따위는 없다. 오히려 싫어할 권리는 있지만.

 

나영석 PD는 예전 <삼시세끼> 어촌편에 장근석 논란이 생겼을 때 재빨리 그를 통편집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그 때 필자와 만난 나영석 PD는 개인적으로 장근석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었지만 또한 대중들의 싫어할 권리를 이해하고 있었다. 대중들은 그 진위나 이유와 상관없이 보기 싫은 것을 보지 않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만일 이런 생각을 <냉장고를 부탁해> 제작진이 먼저 갖고 있었다면 어땠을까. 이렇게 논란이 더 커져 제작진도 맹기용 당사자도 더 큰 상처를 입지는 않았을 것이다.

 

어쨌든 맹기용은 그래도 현명한 선택을 했다. 사실 이번 사태가 그의 잘못이 아니라 그가 프로그램에 의해 스토리텔링되는 과정에서 벌어진 제작진의 실수가 크다는 점에서 그의 능동적인 하차는 그의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한다. 요리가 부족하다면 좀 더 배우면 된다. 만일 방송을 원한다면 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찾으면 된다. <냉장고를 부탁해>가 아니어도 된다는 얘기다.

 

여기서 중요한 건 이 맹기용 사태를 복기함으로써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지금의 대중들과의 소통법을 재점검해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그것이 어디서 비롯되든 대중들의 불편함이 소소한 의견이 아니라 지배적인 의견으로 등장하고 있다면 그것은 이유와 상관없이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 초기의 시점을 놓치게 되면 사태는 더 커지고 결국 대중들과 대립하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밖에 없다. 대중들과 대립하는 대중문화 콘텐츠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