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사랑과 계급사이, '상류사회'가 신데렐라에 던지는 질문

728x90

<상류사회>, 사랑과 계급의식에 대한 솔직한 시선

 

넌 네가 원하면 사람들 마음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해. 선민의식 있으니까. 넌 내 마음 못 가져. 네 계급의식 용납할 수 없어. 넌 널 뛰어넘을 수 없어. 이지이와 결혼 못해. 집안이 반대하고 누가 말려서가 아냐. 네 자신이 그걸 용납 못해. 네 계급의식 절대 뛰어넘을 수 없어. .”

 


'상류사회(사진출처:SBS)'

야망을 가진 서민의 자제인 준기(성준)가 친구이자 직장상사인 재벌가 아들 창수(박형식)에게 던지는 이 말 속에는 <상류사회>라는 드라마가 가진 사랑이야기가 왜 뻔한 스토리에 머물지 않는가를 잘 드러낸다. 준기는 자기 욕망에 솔직하면서도 동시에 우정과 사랑에 있어서도 솔직한 마음을 보여준다.

 

즉 계급의식이란 우리가 순수하게만 생각하는 사랑과 우정 관계마저 지배해버리는 어쩔 수 없는 힘이라는 것을 준기는 왜곡 없이 바라보고 있다. 그는 자신의 야망에 필요해 창수에게 접근했다. 그것은 사랑도 마찬가지다. 그는 의도적으로 재벌가의 딸인 윤하(유이)에게 접근했다. 그런데 그렇게 접근했다고 해도 지금의 우정과 사랑이 거짓은 아니라고 말한다. 어느 순간 그는 인정 있고 순수한창수에게 친구로서의 우정을 느끼기 시작했고, 또한 착하고 바른 윤하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된 것. 그는 의도가 불순하다고 과정이 계속 불순한 건아니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오히려 창수에게 계급의식을 벗어나지 못하면 서민의 딸인 이지이(임지연)와의 사랑은 불가능하다고 말한다. 즉 집안의 반대가 문제가 아니라 본인 스스로 그 계급이 갖는 선민의식을 버릴 수 없어서 그렇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이가 창수의 엄마를 만난 후 창수에게 이별을 통보하자 그 역시 헤어지자고 말한다. 이것은 두 사이 존재하는 계급의식의 벽이 얼마나 높은가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순수한 사랑이 계급의식에 무조건 무릎을 꿇을까. 갑자기 내리는 비에 이런 날을 헤어지는 거 아니다라고 두 사람이 함께 손을 잡고 비를 피하는 장면은 그래서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한편 불순한 의도로 접근했지만 진짜 사랑하게 된 준기의 입장과는 달리, 그 불순한 의도를 알아버린 윤하는 과연 그 계급의식을 뛰어넘을 수 있을까. 즉 자기 주관이 뚜렷하고 순수한 면을 가졌지만 의외로 사업가인 아버지의 냉철함을 가진 인물이 바로 윤하다. 상류사회의 그 숨 막힘으로부터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는 인물이지만 그녀 역시 뿌리 깊은 데는 계급의식이 남아 있을 지도 모르는 일이다.

 

<상류사회>가 틀에 박힌 이야기를 벗어날 수 있었던 건 이들의 사랑을 다루는데 있어서 서민이든 상류층 자제든 그 안에 존재하는 계급의식의 문제를 공평하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준기처럼 야망을 가지고 접근했다고 해도 진심으로 친구가 되고 사랑을 할 수도 있고, 지이처럼 계급의식 자체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만났어도 현실에서 그걸 맞닥뜨리고는 절망할 수도 있다. 또 윤하처럼 재벌가 자제지만 서민들의 소박한 삶을 막연히 판타지로 가지고 있다가 그 상대방이 그 서민들의 삶으로부터 벗어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도 있고, 창수처럼 뭐든 자신이 결정하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막상 계급의식 앞에서 흔들리는 자신을 발견할 수도 있다.

 

가치관을 바꾸려면 먼저 너 자신을 넘고 다른 사람을 넘어야 돼. 다른 사람을 넘고 자신을 못 넘으면 평생 자기비하 속에 살아야 돼.” 창수에게 건네는 준기의 이 말은 우리가 어찌어찌해 신데렐라가 재벌가 왕자님을 만나 결혼해 행복하게 살았습니다로 끝나는 통상적인 드라마들에 질문을 던진다. 그래서 과연 그들은 그 후에도 행복했냐고. 그들은 과연 자기 자신 속에 존재하는 계급의식을 먼저 넘어선 사람들이었느냐고.